미국이 보복공격을 선언함에 따라 보험료 인상과 승객감소 등 심각한 경영난이 예상되는 국내 항공업계가 정부지원을 요청하기로 했다. 항공업계가 요청할 지원책은 세금감면과 각종 사용료, 분담금 감면 등으로 알려지고 있다.
항공업계는 지난해부터 고유가·고환율로 인해 최악의 경영실적을 기록하고 있다. 그동안 항공업계는 수익성 개선을 위해 인력감축, 비수익 자산 처분 등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펼쳐왔다. 그러나 지난 주 발생한 미국 항공테러로 인해 국내 항공업계는 자구책을 통한 수익성 개선 노력의 한계에 도달했다. 특히 미국이 보복공격 장기화를 선언하고 나서 정부지원 없이는 생존까지 위협받을 수 있는 상황이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항공업계는 최종문안작성이 끝나면 곧바로 건설교통부에 대정부 건의안을 제출할 방침이다. 국내 항공업계가 정부에 지원을 요청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대한항공은 인천공항공사와 함께 매년 16억원씩 부담해온 공항 및 운송관련 보안업무를 정부가 전담하고 비수익 지방노선에 대해 운항중단을 허용하거나 보조금을 지급할 것을 요청할 방침이다. 또 10월 1일부터 적용되는 전쟁책임보상보험료(승객 1인당 1.25달러)를 승객이 부담할 수 있도록 해줄 것을 요구할 계획이다. 여기에 착륙료, 공항시설 사용료, 소음분담금, 항공기 관련 지방세, 취득세, 항공유특소세 등을 한시적으로 면제하거나 낮춰주고 95년 폐지된 항공기 도입용 특별외화대출제도 부활 등도 요청할 예정이다.
아시아나항공도 대항항공과 유사한 대정부 건의안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항공업계는 정부지원 요청과 별도로 항공기 매각, 비수익 부동산 처분, 인력 감축, 비용절감 등 자구노력도 더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건교부는 항공사의 건의서가 제출되면 이를 검토, 관계기관과 협의를 거쳐 수용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항공업계는 지난해부터 고유가·고환율로 인해 최악의 경영실적을 기록하고 있다. 그동안 항공업계는 수익성 개선을 위해 인력감축, 비수익 자산 처분 등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펼쳐왔다. 그러나 지난 주 발생한 미국 항공테러로 인해 국내 항공업계는 자구책을 통한 수익성 개선 노력의 한계에 도달했다. 특히 미국이 보복공격 장기화를 선언하고 나서 정부지원 없이는 생존까지 위협받을 수 있는 상황이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항공업계는 최종문안작성이 끝나면 곧바로 건설교통부에 대정부 건의안을 제출할 방침이다. 국내 항공업계가 정부에 지원을 요청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대한항공은 인천공항공사와 함께 매년 16억원씩 부담해온 공항 및 운송관련 보안업무를 정부가 전담하고 비수익 지방노선에 대해 운항중단을 허용하거나 보조금을 지급할 것을 요청할 방침이다. 또 10월 1일부터 적용되는 전쟁책임보상보험료(승객 1인당 1.25달러)를 승객이 부담할 수 있도록 해줄 것을 요구할 계획이다. 여기에 착륙료, 공항시설 사용료, 소음분담금, 항공기 관련 지방세, 취득세, 항공유특소세 등을 한시적으로 면제하거나 낮춰주고 95년 폐지된 항공기 도입용 특별외화대출제도 부활 등도 요청할 예정이다.
아시아나항공도 대항항공과 유사한 대정부 건의안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항공업계는 정부지원 요청과 별도로 항공기 매각, 비수익 부동산 처분, 인력 감축, 비용절감 등 자구노력도 더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건교부는 항공사의 건의서가 제출되면 이를 검토, 관계기관과 협의를 거쳐 수용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