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여의도 국제무역항 지정에 이어 서울시가 지천운하 환경영향평가에 돌입하는 등 ‘한강운하’ 추진에 속도를 내자 환경단체가 제동을 걸고 나섰다.
한강운하백지화서울행동은 16일 양화대교 남단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양화대교 철거작업과 지천운하 중단을 요구했다. 서울행동은 “지방선거에서도 시민사회단체와 야당후보 전문가들이 줄곧 한강운하가 생태계 환경을 훼손하고 있고 경제성은 없다고 비판해왔다”며 “오세훈 시장이 진정 서울시민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자 한다면 한강운하 독주부터 중단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강운하는 경기도 김포에서 서울 용산에 이르는 15㎞ 주운수로(폭 50m, 깊이 6.5m). 서울시는 여의도국제무역항과 용산국제터미널에서 5000톤급 선박을 띄워 정부가 추진하는 경인운하를 통해 서해를 거쳐 중국으로 왕래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중랑천(한강합류부~군자교) 안양천(한강합류부~고척돔구장)에는 폭 40m, 깊이 2m, 연장 12㎞ 뱃길을 조성할 계획이다. 시는 “1년에 42편, 5000명 정도 승객만 있어도 사업성이 충분하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이를 위해 대형 선박이 한강으로 드나들 수 있도록 양화대교 구조를 개선하는 공사를 지난 2월 착공했다. 최근에는 지천운하 환경영향평가와 문화재지표조사를 담당할 용역업체 공고를 내고 발걸음을 서두르고 있다. 양화대교 철거·재건축사업에는 적어도 582억원이 투입된다.
그러나 시민행동은 경제성 검토는 짜맞추기식이며 환경영향평가는 미비한 상황에서 교량안전을 위협하는 사업을 무리하게 추진하고 있다고 강도높게 비판했다.
임석민 한신대 교수는 “매번 120명 정원을 모두 채워 연간 1억원 수익을 낸다해도 양화대교 공사비 회수에만 582년이 걸린다”고 혹평했다. 한강과 서해를 연결하는 경인운하가 무산될 경우 양화대교 철거공사 자체가 무용지물이 될 수도 있다. 실제 송영길 인천시장 당선자는 경인운하를 전면 재검토하겠다고 천명했다. 최 성 고양시장 당선자가 경인운하와 한강운하를 연결하기 위한 신곡수중보 이전에 반대하고 있다는 점도 걸림돌이다.
대형 선박충돌사고 가능성도 크다.
서울행동은 “기본설계에서 지적한대로 서강대교와 마포대교 충돌확률이 각각 1만번에 1번꼴이라면 8개월마다 한번씩 충돌사고가 날 수 있다”며 “운행 예정인 선박 크기와 운항 속도를 기준으로 볼 때 배가 측면에서 충돌해도 성수대교 사고와 같은 교각붕괴가 일어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시민행동은 “서울시민 60%가 한강르네상스를 예산낭비 사업으로 보고 있다”며 “운하를 밀실추진해온 오세훈 시장은 ‘한강운하를 원치 않는’ 서울민들의 민심을 무겁게 받아들여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 단체는 시의회와의 연계, 주민감사 청구는 물론 점거농성까지 불사하고 운하 백지화에 나설 방침이다.
김진명 기자 jm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한강운하백지화서울행동은 16일 양화대교 남단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양화대교 철거작업과 지천운하 중단을 요구했다. 서울행동은 “지방선거에서도 시민사회단체와 야당후보 전문가들이 줄곧 한강운하가 생태계 환경을 훼손하고 있고 경제성은 없다고 비판해왔다”며 “오세훈 시장이 진정 서울시민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자 한다면 한강운하 독주부터 중단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강운하는 경기도 김포에서 서울 용산에 이르는 15㎞ 주운수로(폭 50m, 깊이 6.5m). 서울시는 여의도국제무역항과 용산국제터미널에서 5000톤급 선박을 띄워 정부가 추진하는 경인운하를 통해 서해를 거쳐 중국으로 왕래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중랑천(한강합류부~군자교) 안양천(한강합류부~고척돔구장)에는 폭 40m, 깊이 2m, 연장 12㎞ 뱃길을 조성할 계획이다. 시는 “1년에 42편, 5000명 정도 승객만 있어도 사업성이 충분하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이를 위해 대형 선박이 한강으로 드나들 수 있도록 양화대교 구조를 개선하는 공사를 지난 2월 착공했다. 최근에는 지천운하 환경영향평가와 문화재지표조사를 담당할 용역업체 공고를 내고 발걸음을 서두르고 있다. 양화대교 철거·재건축사업에는 적어도 582억원이 투입된다.
그러나 시민행동은 경제성 검토는 짜맞추기식이며 환경영향평가는 미비한 상황에서 교량안전을 위협하는 사업을 무리하게 추진하고 있다고 강도높게 비판했다.
임석민 한신대 교수는 “매번 120명 정원을 모두 채워 연간 1억원 수익을 낸다해도 양화대교 공사비 회수에만 582년이 걸린다”고 혹평했다. 한강과 서해를 연결하는 경인운하가 무산될 경우 양화대교 철거공사 자체가 무용지물이 될 수도 있다. 실제 송영길 인천시장 당선자는 경인운하를 전면 재검토하겠다고 천명했다. 최 성 고양시장 당선자가 경인운하와 한강운하를 연결하기 위한 신곡수중보 이전에 반대하고 있다는 점도 걸림돌이다.
대형 선박충돌사고 가능성도 크다.
서울행동은 “기본설계에서 지적한대로 서강대교와 마포대교 충돌확률이 각각 1만번에 1번꼴이라면 8개월마다 한번씩 충돌사고가 날 수 있다”며 “운행 예정인 선박 크기와 운항 속도를 기준으로 볼 때 배가 측면에서 충돌해도 성수대교 사고와 같은 교각붕괴가 일어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시민행동은 “서울시민 60%가 한강르네상스를 예산낭비 사업으로 보고 있다”며 “운하를 밀실추진해온 오세훈 시장은 ‘한강운하를 원치 않는’ 서울민들의 민심을 무겁게 받아들여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 단체는 시의회와의 연계, 주민감사 청구는 물론 점거농성까지 불사하고 운하 백지화에 나설 방침이다.
김진명 기자 jm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