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의 ‘환경호르몬 잔류실태조사’발표후 안산과 시흥지역의 시민환경단체들은 반월·시화공단의 대기오염 책임이 정부에 있음을 밝히고 적극적인 대책을 요구하고 나섰다.
환경단체들은 공단지역의 대기오염 문제는 정부가 오염원을 배출하는 중소기업을 반월, 시화공단에 집중적으로 유치했음에도 대기오염문제 개선을 위한 대책을 내놓지 않고 이를 회피함으로써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환경단체들은 법적규제 강화와 시설개선자금 지원 등을 요구하고 환경부장관의 면담을 요청했다.
그린스카우트 안산시지부 박현규 사무국장은 “공단의 환경문제의 가장 큰 책임은 환경부에 있기 때문에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시설개선자금을 정부에서 무이자로 융자해주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공단의 지도단속권을 지방자치단체에 위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소비자문제를 연구하는 시민의 모임 안산지부도 성명서를 내고 안산시의 향후 대책을 촉구했다. 소시모는 민·관 합동으로 특별단속반을 구성하여 지도단속을 실시할 것과 2000년 10월까지 ‘안산환경기술센터’를 설치하여 다이옥신저감 기술지원 등을 요구했다.
안산시도 시에 오염물질 배출업체에 대한 단속권이 없어 효율적인 지도단속이 이뤄지지 않는다고 판단, 시흥시 등과 공동으로 단속업무의 이관을 중앙정부에 지속적으로 건의하기로 했다.
환경단체들은 공단지역의 대기오염 문제는 정부가 오염원을 배출하는 중소기업을 반월, 시화공단에 집중적으로 유치했음에도 대기오염문제 개선을 위한 대책을 내놓지 않고 이를 회피함으로써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환경단체들은 법적규제 강화와 시설개선자금 지원 등을 요구하고 환경부장관의 면담을 요청했다.
그린스카우트 안산시지부 박현규 사무국장은 “공단의 환경문제의 가장 큰 책임은 환경부에 있기 때문에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시설개선자금을 정부에서 무이자로 융자해주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공단의 지도단속권을 지방자치단체에 위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소비자문제를 연구하는 시민의 모임 안산지부도 성명서를 내고 안산시의 향후 대책을 촉구했다. 소시모는 민·관 합동으로 특별단속반을 구성하여 지도단속을 실시할 것과 2000년 10월까지 ‘안산환경기술센터’를 설치하여 다이옥신저감 기술지원 등을 요구했다.
안산시도 시에 오염물질 배출업체에 대한 단속권이 없어 효율적인 지도단속이 이뤄지지 않는다고 판단, 시흥시 등과 공동으로 단속업무의 이관을 중앙정부에 지속적으로 건의하기로 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