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세월을 기다리며 어떻게 하면 남이 아픈지 아프지 않은지 잘 알게 됐습니다.”
성장현 서울 용산구청장 당선자는 “ 구청장이나 구청 때문에 힘들고 가슴 아픈 주민이 없도록 하겠다”고 자신했다. 민선2기 용산구청장에 당선된 뒤 주민들에게 44만원어치 밥을 샀다는 이유로 2년만에 낙마했다. 10년을 기다렸다. 지역에 살면서 주민과 호흡하고 함께 준비해왔다. 성 당선자는 “주민들이 그걸 평가해줬다”고 말했다.
한나라당 구청장 10년만에 지방정권 교체를 이룬 만큼 공무원 조직이 동요하지 않도록 신경쓰고 있다. 성 당선자는 “단체장이 바뀐다고 조직이 균열되거나 위기가 생기면 안된다”고 강조했다. “지방자치제도 역사가 일천해서 공무원들이 주민이 아닌 당선자나 낙선자에 줄을 서고 있습니다. 공무원은 지역사회 엘리트이자 주민들 공복입니다. 주민에 충성하면 됩니다.”
그 역시 지역주의나 서열·당파를 타파하고 실력과 일로 공무원을 평가할 계획이다. 그는 “공무원이 자부심과 긍지를 갖고 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단체장 역할”이라며 “근무평정도 주민과 조직에 대한 기여도로 따지겠다”고 말했다.
용산 전 지역 중 80%가 재건축·재개발 지역인 만큼 취임 전부터 신경을 집중하고 있다. 성 당선자는 “현재 한 곳도 제대로 진행되는 곳이 없다”며 “소통이 부족한 결과”라고 단언했다. 그는 ‘제2의 용산참사’를 막을 특단의 조치를 준비하고 있다. 현장 책임자부터 건축 공무원, 찬성·반대 주민, 세입자 비대위까지 모두 포함하는 협의체를 구청장 직속으로 만들어 대화를 통해 공통분모를 찾아나갈 계획이다. 성 당선자는 “건설업자에게 휘둘리지 않고 주민이 주인되는 개발을 하겠다”고 말했다.
또 한가지 우선할 부문은 교육이다. 성 당선자는 “아이들 울음소리가 없는 동네는 미래가 없다”고 말했다. 현재 25억원 수준인 교육예산을 200억원까지 확대해 교육특구를 만들기로 하고 교육감 교육의원 당선자와 머리를 맞대고 있다.
한강르네상스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국제터미널이 용산에 예정돼있어 서울시와의 관계설정도 관심을 끈다. 성 당선자는 한나라당 서울시장에 민주당 구청장이 다수인 구조에 대해 “시민들을 위해서는 더 좋은 대안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지금까지는 서울시의 일방독주에 제어할 구청장도 없어 문제가 있는지조차 몰랐지만 이제는 서로가 의논하고 긴밀하게 협조하면서 사업을 진행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성장현 당선자는 “방법에 차이는 있겠지만 대화가 안될 이유는 없다”고 자신했다.
김진명 기자 jm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