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로

지역내일 2010-07-06
MB와 이명박

서종택(소설가, 고려대 명예교수)

신문을 읽고 있노라면 낯선 용어나 신조어를 만나게 되고 그럴 때마다 어떤 것은 용어해설이나 부연설명이 없으면 해독이 안 되는 경우가 많다. 매일매일 빠르게 변하는 세상을 읽기에는 따라가야 할 공부도 많아졌다. 가령 FBI나 NATO나 AIDS는 등장한 지가 오래되어서 곧바로 미연방수사국, 북대서양조약기구, 후천성면역결핍증 따위로 해석이 되지만 최근의 ‘아프칸 한국 PRT 로켓포 피격’ 같은 기사는 PRT에 ‘지방재건팀’이라는 설명을 곁들이지 않으면 뉴스가 생소해진다. 이처럼 쏟아져 나오는 신용어나 신조어는 우리에게 점점 친숙해지면서 우리를 훈련시키고 있다.
그래서 가령 ‘유럽공동체’보다는 ‘EC''가 이제는 낯익고 ‘핵확산금지조약기구’보다는 ‘IAEA’가 더 친숙해졌다. 언어는 이처럼 단어는 물론 용어까지도 읽고 쓰고 말하기 쉬운 쪽으로 태어나서 변화하고 없어지는 생태적 활동을 반복한다. 언어가 사회적 현상의 반영인 것은 이 때문이다.
우리는 언제부터인가 특정 지역이나 인사에게 영어이니셜을 붙여 표기하는 야릇한 버릇을 이어오고 있다. 이 또한 기형적 언어행태의 하나요 사회심리현상으로서의 언어적 국면이다. 가령 ‘DJ와 YS의 화해’ ‘TK와 PK의 힘겨루기’에서 보이는 약호(略號) 들은 읽기에 불온하다.
DJ, YS, TK, PK 같은 표기는 김대중씨, 김영삼측, 대구경북지역, 부산경남쪽 등을 지칭하는 약호로서 그렇게 표현하고자 하는 사람의 정치적 의도나 사회적 편견이 음험하게 도사리고 있음을 보게 된다. 그것은 비무장지대를 DMZ로 표기하는 기호와는 다른 문제이며 특정 정치인의 책략과 이해집단으로서의 특정지역을 가리키는 약호, 혹은 암호이다. 일부 스포츠맨이나 연예인에게 애칭으로나 불러질 수도 있을 이 이니셜이 유독 특정 정치인이나 특정지역을 표현하는 대목에 붙여지는 한국적 현상은 사회적 병폐의 언어적 표현이다.
이러한 이니셜들은 용어가 아니라 암호로서 존재하며 인명과 지명을 기호화하고 이를 쫓는 경향은 본명과 실명이 제몫을 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 - 가명과 차명과 암호가 판을 치던, 지나간 오랜 독재시절의 관행들이 정보와 책략의 세월과 결탁한 흔적에 다름 아니다.
이름이란 그렇게 불러줌으로서 그렇게 존재하기 시작한다. 이름이 사람과 사물을 구속하지만 그것은 스스로 그렇게 불리워지기를 요구하고 있으므로 스스로 자유롭다. 사람이나 사물이 자신의 독자성을 주창하는 이름이란 세상에 대하여 내세우는 자신의 절대성에 대한 표상이며 그 존립의 근거일 것이다.
이름이란 이처럼 자신의 이상을 담은 하나의 환상일 수도 있지만 중요한 것은 그 이름이 추구하는 바 가치이다. ‘명전자성’(名銓自性)의 논리란 바로 이러한 지경의 정점이 될 것이다. 사람은 생명은 빼앗겨도 이름은 빼앗기지 않는다. 이를 뒤집으면 사람이 자신의 이름에 부응하며 살기가 얼마나 중요하고 어려운가를 말해준다.
과거 “JP를 사이에 두고 DJ가 YS와 협상하고 TK와 PK의 관계를 강화”하기도 했지만 이제는 “MJ가 MB를 독대하고 DY를…”하던 구시대는 아니다. 최근의 신문들은 ‘이명박’을 ‘MB’로 표기하기를 좋아한다. 그것은 기호인가 약호인가. 시청 앞 광장의 ‘MB OUT’이라고 쓰인 피켓은 그것이 결코 애칭은 아님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익명화 차명화 가명화된 시대의 암호들을 불러내 이제는 그들을 실명을 호명(呼名)해 주어야 한다. 금융실명제가 경제정의를 실현하는 첫걸음이듯이 정치실명화야말로 사회정의를 실현하는 지름길이다. 이명박은 일차적으로 그가 명명받았던 이름이요 MB는 역사적 소명으로서의 실명(實名)이냐고 우리가 묻는 이름이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닫기
(주)내일엘엠씨(이하 '회사'라 함)은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고 있으며, 지역내일 미디어 사이트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에 대한 귀하의 동의를 받고자 합니다. 내용을 자세히 읽으신 후 동의 여부를 결정하여 주십시오. [관련법령 개인정보보호법 제15조, 제17조, 제22조, 제23조, 제24조] 회사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중요시하며,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하여 회사가 이용자로부터 제공받은 개인정보를 어떠한 용도와 방식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어떠한 조치를 취하고 있는지 알려드립니다.


1) 수집 방법
지역내일 미디어 기사제보

2)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이용 목적
기사 제보 확인 및 운영

3) 수집 항목
필수 : 이름, 이메일 / 제보내용
선택 : 휴대폰
※인터넷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아래 개인정보 항목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수집될 수 있습니다. (IP 주소, 쿠키, MAC 주소, 서비스 이용 기록, 방문 기록, 불량 이용 기록 등)

4) 보유 및 이용기간
① 회사는 정보주체에게 동의 받은 개인정보 보유기간이 경과하거나 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이 달성된 경우 지체 없이 개인정보를 복구·재생 할 수 없도록 파기합니다. 다만, 다른 법률에 따라 개인정보를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기간 동안 개인정보를 보존합니다.
② 처리목적에 따른 개인정보의 보유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문의 등록일로부터 3개월

※ 관계 법령
이용자의 인터넷 로그 등 로그 기록 / 이용자의 접속자 추적 자료 : 3개월 (통신비밀보호법)

5) 수집 거부의 권리
귀하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하지 않으실 수 있습니다. 다만, 수집 거부 시 문의하기 기능이 제한됩니다.
이름*
휴대폰
이메일*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