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화 요구하는 주민 뜻 잘 받들어야”
허태정(44) 구청장은 대전에서 유일한 민주당 소속 단체장이다. 일반적인 예상을 뒤엎고 현역 구청장을 1만표 이상의 표차로 누르고 당선됐다. 전국적으로는 반한나라당 정서가 반영됐다 하더라도 최소한 대전에서는 민주당 바람이 거셌다고 볼 수 없다. 단체장과 지방의원 절반 이상을 자유선진당이 차지했기 때문이다. 그만큼 유권자들이 허 구청장에게 거는 기대가 컸다고 볼 수 있다.
허 구청장은 이런 주민들의 바람을 ‘변화에 대한 요구’로 이해하고 있다. 민주당의 정책지향성과 함께 40대의 젊은 단체장을 통한 새로운 리더십의 요구가 그가 이해하는 ‘변화에 대한 요구’다.
이런 주민들의 요구를 반영하듯 허 구창장은 취임 일성으로 “쌍방 소통의 주민참여행정 실현”을 강조했다. 이를 위해 시민창안과 정책제안을 활성화하고 주요 쟁점현안들에 대한 다양한 여론수렴을 위해 공청회와 주민투표도 제도화하겠다고 약속했다. 구청의 예산과 업무추진비 사용내역을 완전히 공개하겠다고도 했다. 또 정책 수립 단계에서 예산편성과 운영에 이르기까지 구정 전반에 각계 전문가와 구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만들겠다고 했다. 그는 “구정 운영 전반에서 대화와 토론을 통한 의사결정 과정을 지켜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그는 취임 후 곧바로 구청 내 각 과별로 정기적인 ‘토론식 회의’를 주문했다. 이를 통해 구청 공무원 하나하나에게 ‘구정 전체를 바라볼 수 있는 안목’을 요구한 것이다.
세종시 문제나 대덕연구개발특구 문제 등 유성의 경제나 비전과 직결된 굵직한 정치현안도 허 구청장의 고민거리다. 그는 “사실 구청장이 이런 국가적 정책현안에 대해 할 수 있는 일이 많지는 않다”면서도 “구민들의 뜻을 정치권이나 정부에 잘 전달하고 또 상황에 가장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가 취임 후 가장 많이 강조한 정책은 ‘교육’이다.
우선 교육환경 개선을 위해 마을별로 작은 도서관을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가장 가까운 곳에, 가장 안전하게, 또한 가장 편안하게 다닐 수 있는 도서관을 만드는 것이 지역의 교육문화를 바꿔놓는 가장 빠른 지름길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학교와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연결하는 과학멘토사업을 추진, 유성을 과학영재의 산실로 만들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유성장학재단 설립을 통한 인재육성에도 구청이 직접 나서겠다고 했다.
허 구청장은 일자리와 복지 문제를 종합적으로 고민하고 있다. 친환경 무상급식 시행 과정의 지원조직과 물류센터를 통해, 또 장애인재활사업장을 설치해 통해 일자리를 만드는 방법을 구상 중이다. 이렇게 복합행정을 통해 구정을 빠른 속도로 쇄신해 나가겠다는 것이다.
축제에 대해서도 허 구청장은 “여러 지자체들이 다양한 축제를 열지만 성공한 곳은 많지 않다”며 “실패한 원인 중 하나가 축제를 개인 업적홍보의 장으로 활용하려고 했거나 공무원 중심의 동원 축제화 됐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아직 구체화되지는 않았지만 지역 특성을 살린 차별화된 축제를 만드는 방법을 구상 중이다.
대전 김신일 기자 ddhn21@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허태정(44) 구청장은 대전에서 유일한 민주당 소속 단체장이다. 일반적인 예상을 뒤엎고 현역 구청장을 1만표 이상의 표차로 누르고 당선됐다. 전국적으로는 반한나라당 정서가 반영됐다 하더라도 최소한 대전에서는 민주당 바람이 거셌다고 볼 수 없다. 단체장과 지방의원 절반 이상을 자유선진당이 차지했기 때문이다. 그만큼 유권자들이 허 구청장에게 거는 기대가 컸다고 볼 수 있다.
허 구청장은 이런 주민들의 바람을 ‘변화에 대한 요구’로 이해하고 있다. 민주당의 정책지향성과 함께 40대의 젊은 단체장을 통한 새로운 리더십의 요구가 그가 이해하는 ‘변화에 대한 요구’다.
이런 주민들의 요구를 반영하듯 허 구창장은 취임 일성으로 “쌍방 소통의 주민참여행정 실현”을 강조했다. 이를 위해 시민창안과 정책제안을 활성화하고 주요 쟁점현안들에 대한 다양한 여론수렴을 위해 공청회와 주민투표도 제도화하겠다고 약속했다. 구청의 예산과 업무추진비 사용내역을 완전히 공개하겠다고도 했다. 또 정책 수립 단계에서 예산편성과 운영에 이르기까지 구정 전반에 각계 전문가와 구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만들겠다고 했다. 그는 “구정 운영 전반에서 대화와 토론을 통한 의사결정 과정을 지켜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그는 취임 후 곧바로 구청 내 각 과별로 정기적인 ‘토론식 회의’를 주문했다. 이를 통해 구청 공무원 하나하나에게 ‘구정 전체를 바라볼 수 있는 안목’을 요구한 것이다.
세종시 문제나 대덕연구개발특구 문제 등 유성의 경제나 비전과 직결된 굵직한 정치현안도 허 구청장의 고민거리다. 그는 “사실 구청장이 이런 국가적 정책현안에 대해 할 수 있는 일이 많지는 않다”면서도 “구민들의 뜻을 정치권이나 정부에 잘 전달하고 또 상황에 가장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가 취임 후 가장 많이 강조한 정책은 ‘교육’이다.
우선 교육환경 개선을 위해 마을별로 작은 도서관을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가장 가까운 곳에, 가장 안전하게, 또한 가장 편안하게 다닐 수 있는 도서관을 만드는 것이 지역의 교육문화를 바꿔놓는 가장 빠른 지름길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학교와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연결하는 과학멘토사업을 추진, 유성을 과학영재의 산실로 만들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유성장학재단 설립을 통한 인재육성에도 구청이 직접 나서겠다고 했다.
허 구청장은 일자리와 복지 문제를 종합적으로 고민하고 있다. 친환경 무상급식 시행 과정의 지원조직과 물류센터를 통해, 또 장애인재활사업장을 설치해 통해 일자리를 만드는 방법을 구상 중이다. 이렇게 복합행정을 통해 구정을 빠른 속도로 쇄신해 나가겠다는 것이다.
축제에 대해서도 허 구청장은 “여러 지자체들이 다양한 축제를 열지만 성공한 곳은 많지 않다”며 “실패한 원인 중 하나가 축제를 개인 업적홍보의 장으로 활용하려고 했거나 공무원 중심의 동원 축제화 됐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아직 구체화되지는 않았지만 지역 특성을 살린 차별화된 축제를 만드는 방법을 구상 중이다.
대전 김신일 기자 ddhn21@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