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근당이 회사의 원료사업 부문을 분리, 계열기업별로 사업을 전문화하고 있다.
이 회사는 9일 임시주총에서 바이오·원료사업부문 분할계획에 따라 신설법인인 (주)종근당바이오의 분할을 승인하고 새로운 임원진을 최종 확정했다.
분리 후 존속법인 (주)종근당은 신약개발, 완제품생산, 국내시장의 마케팅 및 영업 등의 제약부문을 더욱 집중화하고 신설되는 (주)종근당바이오를 통해 원료생산, 해외수출, 생명공학 연구 및 투자 등의 전문화된 바이오·원료사업부문을 이어가게 된다.
이 회사 관계자에 따르면 이번 분할은 기업별 전문화로 풀이된다. 원료와 완제품 사업은 서로 성격이 달라 분리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또, 지난해 원료부문의 실적이 크게 악화돼 전사적으로 수익률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 관계자는 “이번 분할을 통해 각기 핵심사업에 집중함으로서 전문화 및 효율화를 기할 수 있게 됐다”며 “무엇보다 기업가치향상과 경영투명성으로 투자자들의 인식이 바뀌고 실질적인 시장가치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다”라고 말했다.
바이오 분야의 분리는 연구개발을 위한 투자유치에도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이 관계자는 내다봤다.
이번 분리에 따라 제약업계 매출 부동의 2위를 지켰던 종근당의 매출순위는 떨어질 전망이다.
이날 주총은 신설법인인 (주)종근당바이오 대표이사에는 정진영종근당 부사장을, 이사에는 종근당 해외사업본부장 김정우전무, 경영관리본부장 박철용상무를 각각 내정했다. 또한, 사외이사에는 장문호 전 한국과학기술평가원 원장, 감사에는 김영은 전 종근당 상무이사가 선임됐다.
이 회사는 9일 임시주총에서 바이오·원료사업부문 분할계획에 따라 신설법인인 (주)종근당바이오의 분할을 승인하고 새로운 임원진을 최종 확정했다.
분리 후 존속법인 (주)종근당은 신약개발, 완제품생산, 국내시장의 마케팅 및 영업 등의 제약부문을 더욱 집중화하고 신설되는 (주)종근당바이오를 통해 원료생산, 해외수출, 생명공학 연구 및 투자 등의 전문화된 바이오·원료사업부문을 이어가게 된다.
이 회사 관계자에 따르면 이번 분할은 기업별 전문화로 풀이된다. 원료와 완제품 사업은 서로 성격이 달라 분리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또, 지난해 원료부문의 실적이 크게 악화돼 전사적으로 수익률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 관계자는 “이번 분할을 통해 각기 핵심사업에 집중함으로서 전문화 및 효율화를 기할 수 있게 됐다”며 “무엇보다 기업가치향상과 경영투명성으로 투자자들의 인식이 바뀌고 실질적인 시장가치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다”라고 말했다.
바이오 분야의 분리는 연구개발을 위한 투자유치에도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이 관계자는 내다봤다.
이번 분리에 따라 제약업계 매출 부동의 2위를 지켰던 종근당의 매출순위는 떨어질 전망이다.
이날 주총은 신설법인인 (주)종근당바이오 대표이사에는 정진영종근당 부사장을, 이사에는 종근당 해외사업본부장 김정우전무, 경영관리본부장 박철용상무를 각각 내정했다. 또한, 사외이사에는 장문호 전 한국과학기술평가원 원장, 감사에는 김영은 전 종근당 상무이사가 선임됐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