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유치원과 각급 학교에 다문화 가정 자녀가 5000명을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17일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올해 현재 서울지역 유·초·중·고교에 다니는 다문화 가정 자녀는 5222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4064명과 비교해 28.4% 증가한 것이다.
이 가운데 초등학생은 전체의 66.8%(3492명)로 작년보다 761명 늘었다. 중학생은 15.7%(824명)로 293명 증가했고, 고교생은 5.5%(289명)으로 98명 많아졌다.
유치원생은 11.8%(617명)으로 지난해 611명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다문화 가정 학생은 부모 중 한쪽이 외국인인 경우가 4424명(84.7%)으로 대다수였지만, 부모 양쪽 모두 외국인인 경우도 798명(15.2%)이나 됐다.
출신국별로 보면 부모 중 한쪽이 외국인인 초·중학생 기준으로 일본(1330명·36.0%)이 가장 많았고, 중국(734명·19.8%), 조선족(445명·12.0%), 필리핀(395명·10.0%) 순이었다.
지역교육청별로는 초·중학교만 따졌을 때 남부교육청 관할 다문화 학생이 692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서부(571명), 동부(430명), 중부(430명), 강서(371명), 동작(371명), 성동(361명), 북부(333명), 강동(302명), 성북(292명), 강남(163명) 등이 뒤를 이었다.
장세풍 기자 spj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17일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올해 현재 서울지역 유·초·중·고교에 다니는 다문화 가정 자녀는 5222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4064명과 비교해 28.4% 증가한 것이다.
이 가운데 초등학생은 전체의 66.8%(3492명)로 작년보다 761명 늘었다. 중학생은 15.7%(824명)로 293명 증가했고, 고교생은 5.5%(289명)으로 98명 많아졌다.
유치원생은 11.8%(617명)으로 지난해 611명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다문화 가정 학생은 부모 중 한쪽이 외국인인 경우가 4424명(84.7%)으로 대다수였지만, 부모 양쪽 모두 외국인인 경우도 798명(15.2%)이나 됐다.
출신국별로 보면 부모 중 한쪽이 외국인인 초·중학생 기준으로 일본(1330명·36.0%)이 가장 많았고, 중국(734명·19.8%), 조선족(445명·12.0%), 필리핀(395명·10.0%) 순이었다.
지역교육청별로는 초·중학교만 따졌을 때 남부교육청 관할 다문화 학생이 692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서부(571명), 동부(430명), 중부(430명), 강서(371명), 동작(371명), 성동(361명), 북부(333명), 강동(302명), 성북(292명), 강남(163명) 등이 뒤를 이었다.
장세풍 기자 spj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