캔서셀 표지논문…신개념 항암제 가능성 열어
(서울=연합뉴스) 김영섭 기자 = 국내 연구진이 암 성장과 전이에 관여하는 새 인자를 발견함으로써 신개념의 암 치료제 개발에 전기를 마련했다.
18일 교육과학기술부에 따르면 카이스트(KAIST) 생명과학과 고규영 교수팀은 기존 혈관성장인자(VEGF) 이외에 또 다른 성장인자(안지오포이에틴-2, Ang2)가 혈관신생을 촉진한다는 사실을 발견, 두 인자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이중혈관성장차단제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특히 이번 연구결과는 국내 연구진으로서는 처음으로 암 분야 최고 권위의 학술지인 ''캔서 셀(Cancer Cell)'' 최신호 표지논문으로 소개됐다.
고 교수팀의 연구는 혈관신생과 혈관성장인자와 직접 관계가 있다.
혈관신생(angiogenesis)이란 몸속에 새로운 혈관이 만들어지는 현상으로, 악성종양(암)의 성장과 전이에 매우 중요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또 혈관성장인자는 혈관신생을 촉진하는 인자로, 지금까지는 VEGF가 대표적인 인자로 인식됐지만 이번 연구에서 Ang2도 암의 혈관신생을 촉진한다는 사실이 새롭게 발견된 것이다.
지금까지 의학계에서는 VEGF가 혈관신생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인식, 이를 억제하는 항암제인 아바스틴(Avastin)을 개발해 환자들에게 투여해왔다.
이 치료는 항암 효과가 크지 않고 오히려 상당수 사례에서 암을 촉진시키는 등 부작용이 적지 않았다.이번 연구에서 고 교수팀은 VEGF 억제제를 투여하자 Ang2가 급격히 증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이어 연구진은 VEGF과 Ang2을 동시에 차단하는 이중혈관성장 차단제를 제작해 환자에게 투여한 결과, 기존 VEGF만을 차단했던 치료제보다 암 성장과 전이를 훨씬 효과적으로 차단한다는 사실을 검증했다.고 교수는 "이중 혈관성장차단제 개발에 성공함으로써 효과는 탁월하지만 부작용은 적은 신개념 항암치료제 신약 개발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연구의의를밝혔다.
< 사진설명="" :="" 고규영="" 교수="">kimys@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서울=연합뉴스) 김영섭 기자 = 국내 연구진이 암 성장과 전이에 관여하는 새 인자를 발견함으로써 신개념의 암 치료제 개발에 전기를 마련했다.
18일 교육과학기술부에 따르면 카이스트(KAIST) 생명과학과 고규영 교수팀은 기존 혈관성장인자(VEGF) 이외에 또 다른 성장인자(안지오포이에틴-2, Ang2)가 혈관신생을 촉진한다는 사실을 발견, 두 인자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이중혈관성장차단제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특히 이번 연구결과는 국내 연구진으로서는 처음으로 암 분야 최고 권위의 학술지인 ''캔서 셀(Cancer Cell)'' 최신호 표지논문으로 소개됐다.
고 교수팀의 연구는 혈관신생과 혈관성장인자와 직접 관계가 있다.
혈관신생(angiogenesis)이란 몸속에 새로운 혈관이 만들어지는 현상으로, 악성종양(암)의 성장과 전이에 매우 중요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또 혈관성장인자는 혈관신생을 촉진하는 인자로, 지금까지는 VEGF가 대표적인 인자로 인식됐지만 이번 연구에서 Ang2도 암의 혈관신생을 촉진한다는 사실이 새롭게 발견된 것이다.
지금까지 의학계에서는 VEGF가 혈관신생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인식, 이를 억제하는 항암제인 아바스틴(Avastin)을 개발해 환자들에게 투여해왔다.
이 치료는 항암 효과가 크지 않고 오히려 상당수 사례에서 암을 촉진시키는 등 부작용이 적지 않았다.이번 연구에서 고 교수팀은 VEGF 억제제를 투여하자 Ang2가 급격히 증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이어 연구진은 VEGF과 Ang2을 동시에 차단하는 이중혈관성장 차단제를 제작해 환자에게 투여한 결과, 기존 VEGF만을 차단했던 치료제보다 암 성장과 전이를 훨씬 효과적으로 차단한다는 사실을 검증했다.고 교수는 "이중 혈관성장차단제 개발에 성공함으로써 효과는 탁월하지만 부작용은 적은 신개념 항암치료제 신약 개발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연구의의를밝혔다.
< 사진설명="" :="" 고규영="" 교수="">kimys@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