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적자원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인간을 생산수단으로 보는 개념에서 탈피해야 하며 국가의 인적자원정책도 사회· 철학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직업교육개발원(원장 강무섭)은 17일 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실에서‘인간, 직업 그리고 미래’를 주제로 개원 4주년 기념 학술심포지엄을 개최하고 이 같은 논의를 전개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 기조 강연자로 나선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한상진 위원장은 “경쟁력 있는 인적자원의 요건은 전문화된 직업능력과 인간 중심의 문화”라며 “특히 내실이 견고하고 속이 단단하게 인적자원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정신력과 문화능력으로 구성된 보편적 인간 중심 문화가 더 중시된다”고 강조했다.
한 위원장은 이러한 발전을 추구하기 위해 “사회의 취약계층에 대한 교육기회 제공의 확대는 생산적 복지의 핵심조건”이라고 지적한 뒤 “생산적 복지를 위한 인적자원개발정책은 청년층에서 장년층까지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는 지속적이고 내실 있는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으로 구체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기조 강연에 이어 첫 번째 주제발표를 맡은 연세대 김형철 교수는 “인간·자연에 대한 관계를 재정립하고 사회의 기회 불평등을 최소화하며 국가와 기업의 윤리가 확립될 때 인적자원 경쟁력이 높아지고 개인이 행복할 수 있다”며 “우리 사회에 평생교육 이념이 확립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평생교육을 확립하기 위해 △사이버 교육을 통한 맞춤교육 △직업준비 유지를 위한 교육 △인성교육강화 △학문·분야별로 연계된 교육 및 훈련 등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한편‘미래사회와 직업’으로 주제발표에 나선 성균관대 유홍준 교수는 “미래 직업구조는 핵심직업과 주변직업으로 양극화된다”며 “기회와 부의 불평등이 이같은 현상을 심화시킨다”고 주장했다.
유 교수는 또 “이러한 상황에서 평생 동안의 경력개발은 일부계층에게만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국가 차원의 대응책이 마련돼야 한다”며 “미래사회 인적자원개발 정책은 사회 통합을 위한 기회 형평성에 있다”고 제안했다.
이날 마지막 주제 발표자로 나선 이화여대 김성국 교수는 ‘국가 인적자원개발의 미래’를 주제로 논의를 전개했다.
김 교수는 국가 인적자원개발의 주체로 국가, 기업, 대학을 제시하면서 “특히 대학이 지식창출과 혁신능력의 극대화를 위해 가장 중요한 주체”라고 말했다.
그는 △정부의 국가적 차원의 인재육성 계획 제시 △기업의 고용 향상을 위한 노력 △대학의 열린 대학 등을 제시했다.
김 교수는 “국가는 종합적 인력수급 계획 수립과 국가고시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라면서 “기업의 학습조직화, 국내외 인적자원개발 관련 네트워크 강화 등을 통해 기업형 대학과 기업의 결합, 사내대학의 활성화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직업교육개발원(원장 강무섭)은 17일 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실에서‘인간, 직업 그리고 미래’를 주제로 개원 4주년 기념 학술심포지엄을 개최하고 이 같은 논의를 전개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 기조 강연자로 나선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한상진 위원장은 “경쟁력 있는 인적자원의 요건은 전문화된 직업능력과 인간 중심의 문화”라며 “특히 내실이 견고하고 속이 단단하게 인적자원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정신력과 문화능력으로 구성된 보편적 인간 중심 문화가 더 중시된다”고 강조했다.
한 위원장은 이러한 발전을 추구하기 위해 “사회의 취약계층에 대한 교육기회 제공의 확대는 생산적 복지의 핵심조건”이라고 지적한 뒤 “생산적 복지를 위한 인적자원개발정책은 청년층에서 장년층까지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는 지속적이고 내실 있는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으로 구체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기조 강연에 이어 첫 번째 주제발표를 맡은 연세대 김형철 교수는 “인간·자연에 대한 관계를 재정립하고 사회의 기회 불평등을 최소화하며 국가와 기업의 윤리가 확립될 때 인적자원 경쟁력이 높아지고 개인이 행복할 수 있다”며 “우리 사회에 평생교육 이념이 확립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평생교육을 확립하기 위해 △사이버 교육을 통한 맞춤교육 △직업준비 유지를 위한 교육 △인성교육강화 △학문·분야별로 연계된 교육 및 훈련 등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한편‘미래사회와 직업’으로 주제발표에 나선 성균관대 유홍준 교수는 “미래 직업구조는 핵심직업과 주변직업으로 양극화된다”며 “기회와 부의 불평등이 이같은 현상을 심화시킨다”고 주장했다.
유 교수는 또 “이러한 상황에서 평생 동안의 경력개발은 일부계층에게만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국가 차원의 대응책이 마련돼야 한다”며 “미래사회 인적자원개발 정책은 사회 통합을 위한 기회 형평성에 있다”고 제안했다.
이날 마지막 주제 발표자로 나선 이화여대 김성국 교수는 ‘국가 인적자원개발의 미래’를 주제로 논의를 전개했다.
김 교수는 국가 인적자원개발의 주체로 국가, 기업, 대학을 제시하면서 “특히 대학이 지식창출과 혁신능력의 극대화를 위해 가장 중요한 주체”라고 말했다.
그는 △정부의 국가적 차원의 인재육성 계획 제시 △기업의 고용 향상을 위한 노력 △대학의 열린 대학 등을 제시했다.
김 교수는 “국가는 종합적 인력수급 계획 수립과 국가고시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라면서 “기업의 학습조직화, 국내외 인적자원개발 관련 네트워크 강화 등을 통해 기업형 대학과 기업의 결합, 사내대학의 활성화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