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교육업체 측="" 코멘트="" 추가.="">>"학생 선발권 침해…점수 줄세우기 관행 고착화"학원 "객관적 근거로 작성…고객 선택권 보장"
(서울=연합뉴스) 김태균 기자 =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입시학원의 수시모집 배치 참고표를 강하게 비판하면서 직접 실태조사까지 벌이기로 한 데는 일선 대학들의반감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30일 대학가에 따르면 상당수 대학은 학원들이 배포하는 수시 배치표가 학생부와 수능 성적으로 지원 가능한 대학ㆍ학과를 미리 규정한 탓에 논술과 면접, 특기실적 평가 등 선발기법을 수시에 도입하는 데 장애가 된다고 본다.
여기에는 배치표가 고질적인 ''점수 줄세우기''식 관행을 고수함으로써 시험점수 이외 다양한 측면을 보고 학생을 뽑자는 수시모집 제도를 무력화할 것이란 판단도 작용한다.예컨대 논술과 면접 반영률이 70%가 넘으면 내신이 떨어져도 얼마든지 역전할 가능성이 있는데, 무조건 일정 수준을 못 넘으면 지원이 안 되는 것으로 오해하는 사례가 속출한다는 것이다.
서강대 이욱연 입학처장은 "일부 수능 최소학력을 빼면 적정 점수대가 아예 존재하지 않는다고 입학설명회에서 설명하지만, 정반대의 문의가 계속 들어온다. 이는교육적으로 문제가 있다"며 수시 배치표의 폐단을 지적했다.수시 배치표는 현재 유웨이중앙교육과 이투스청솔 등 많은 사교육 업체들이 배포하고 있는데 특히 경쟁이 치열한 수도권 상위 대학의 진학 상담에서 영향력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경기도의 한 일선 고3 교사는 "학생들이 지원에 앞서 자기 위치를 알고 싶어하는 경우가 많아 수시 배치표가 다소 정확성이 떨어지지만 참고 자료로 많이 본다"고전했다.
대학들의 모임인 대교협이 `교과부와 대책 모색''까지 거론하며 이례적으로 수시배치표에 대한 실태조사에 나선 데는 수시 제도의 취지를 무색케 하는 배치표의 영향력을 더는 방관하지 않겠다는 것이다.계속 놔두면 대학들의 학생 선발권이 침해될뿐만 아니라 수능점수에 의한 대학의 서열화가 고착화할 수 있다는 게 학교 측의 우려다.그러나 대학들의 반발에도 주요 학원들이 수시 배치표를 쉽게 포기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배치표에 대학광고를 실을 수 있는 데다 학교ㆍ학과별 수준을 정하며 대학입시 전반에 큰 영향력을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입시 학원들은 배치표가 객관적인 근거가 있고, 학생ㆍ학부모가 자유롭게 택할 수 있는 참고자료일 뿐이라 문제가 없다고 주장한다.예전 지원자들의 평균 수준 등을 분석해 표를 만든 만큼 다양한 입시 정보를 살펴볼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이런 자료를 막을 명분이 없다는 것이다.
한 사교육업체 관계자는 "실제 배치표로 상담을 해보면 적정 점수에 맞춰 원서를 쓰는 경우는 거의 없다"며 수시 제도를 붕괴시킨다는 대학들의 주장을 `지나친 오해''라고 강조했다.
다른 업체의 관계자는 "대학 측의 주장도 일리가 있으나 이런 정보를 인위적으로 막으면 고액의 대입 컨설팅이 더 많이 퍼지는 부작용도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tae@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사교육업체>
(서울=연합뉴스) 김태균 기자 =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입시학원의 수시모집 배치 참고표를 강하게 비판하면서 직접 실태조사까지 벌이기로 한 데는 일선 대학들의반감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30일 대학가에 따르면 상당수 대학은 학원들이 배포하는 수시 배치표가 학생부와 수능 성적으로 지원 가능한 대학ㆍ학과를 미리 규정한 탓에 논술과 면접, 특기실적 평가 등 선발기법을 수시에 도입하는 데 장애가 된다고 본다.
여기에는 배치표가 고질적인 ''점수 줄세우기''식 관행을 고수함으로써 시험점수 이외 다양한 측면을 보고 학생을 뽑자는 수시모집 제도를 무력화할 것이란 판단도 작용한다.예컨대 논술과 면접 반영률이 70%가 넘으면 내신이 떨어져도 얼마든지 역전할 가능성이 있는데, 무조건 일정 수준을 못 넘으면 지원이 안 되는 것으로 오해하는 사례가 속출한다는 것이다.
서강대 이욱연 입학처장은 "일부 수능 최소학력을 빼면 적정 점수대가 아예 존재하지 않는다고 입학설명회에서 설명하지만, 정반대의 문의가 계속 들어온다. 이는교육적으로 문제가 있다"며 수시 배치표의 폐단을 지적했다.수시 배치표는 현재 유웨이중앙교육과 이투스청솔 등 많은 사교육 업체들이 배포하고 있는데 특히 경쟁이 치열한 수도권 상위 대학의 진학 상담에서 영향력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경기도의 한 일선 고3 교사는 "학생들이 지원에 앞서 자기 위치를 알고 싶어하는 경우가 많아 수시 배치표가 다소 정확성이 떨어지지만 참고 자료로 많이 본다"고전했다.
대학들의 모임인 대교협이 `교과부와 대책 모색''까지 거론하며 이례적으로 수시배치표에 대한 실태조사에 나선 데는 수시 제도의 취지를 무색케 하는 배치표의 영향력을 더는 방관하지 않겠다는 것이다.계속 놔두면 대학들의 학생 선발권이 침해될뿐만 아니라 수능점수에 의한 대학의 서열화가 고착화할 수 있다는 게 학교 측의 우려다.그러나 대학들의 반발에도 주요 학원들이 수시 배치표를 쉽게 포기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배치표에 대학광고를 실을 수 있는 데다 학교ㆍ학과별 수준을 정하며 대학입시 전반에 큰 영향력을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입시 학원들은 배치표가 객관적인 근거가 있고, 학생ㆍ학부모가 자유롭게 택할 수 있는 참고자료일 뿐이라 문제가 없다고 주장한다.예전 지원자들의 평균 수준 등을 분석해 표를 만든 만큼 다양한 입시 정보를 살펴볼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이런 자료를 막을 명분이 없다는 것이다.
한 사교육업체 관계자는 "실제 배치표로 상담을 해보면 적정 점수에 맞춰 원서를 쓰는 경우는 거의 없다"며 수시 제도를 붕괴시킨다는 대학들의 주장을 `지나친 오해''라고 강조했다.
다른 업체의 관계자는 "대학 측의 주장도 일리가 있으나 이런 정보를 인위적으로 막으면 고액의 대입 컨설팅이 더 많이 퍼지는 부작용도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tae@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사교육업체>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