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호 국무총리 후보자의 자진사퇴 이후 진행된 한나라당 의원연찬회에서는 ‘인사검증 책임자에 대한 인책론’을 제기하는 의원들이 눈에 띄었지만 “이제는 국정운영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는 목소리가 대세를 이뤘다. 야당의 추가 사퇴 공세에 대해 분명히 선을 그은 셈이다.
안상수 한나라당 대표는 30일 충남 천안 지식경제부 공무원교육원에서 열린 연찬회에서 “이 대통령이 총리 등 내정자의 사퇴를 수용한 것은 결연한 의지”라고 평가하며 “(공정사회의 가치를) 행동으로 우리가 보여줄 때”라고 말했다. 사실상 인사청문회 국면의 종료를 선언한 셈이다.
김무성 원내대표도 “(김 총리 후보자 등의 자진사퇴로) 국민들과 당이 걱정하던 문제가 좋게 일단락됐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다만 조현오 신임 경찰청장 임명을 수용하면서도 “이번 인사검증에 관련된 청와대 인사는 누가 됐던 문책을 해야 한다”고 요구하기도 했다.
연찬회에 참석한 의원 중 일부는 인사검증시스템의 문제를 제적하기도 했지만 대부분은 “더 이상의 문제제기는 부담”이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장광근 의원은 “이제는 국정운영의 힘을 보탤 때”라고 했고 초선 권택기 의원도 “정권의 기반을 흔드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을 보였다. 권영세 의원도 “이제 당 중심으로 가는 게 맞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청와대가 너무 힘이 빠지면 안된다”면서 “청와대와 당이 적당히 밀고 당기는 것이 맞다고 본다”고 신중한 자세를 취했다.
쇄신그룹을 이끌었던 권영진 의원도 “인사검증시스템에 문제가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국정운영에 부담이 되어서는 곤란한 것 아닌가”라고 말했다. 홍정욱 의원도 “김 후보자 외에 장관 내정자 두 명도 사퇴하면서 청와대가 초상집인데 여기에다 대고 뭐를 하라고 요구하면 나쁜 사람이 된다”며 “청와대의 인사검증이 실패했다는 지적은 맞지만 그것도 대통령이 책임지고 해결하면 될 문제”라고 지적했다.
인책론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렸다.
정두언 최고위원은 “(인사 검증) 자료를 다 대통령이 보느냐. 대통령은 종합 정리한 자료만 보는 건데, 문제는 사실대로 자료를 올리느냐다”며 “잘못한 게 있어도 책임을 묻지 않으면 기강이 안선다”고 강조했다. 서병수 최고위원도 “한두 번도 아니고 현 정부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인사검증 시스템에 문제 있다는 게 드러났다”며 “책임 있는 사람은 마땅히 책임져야 하며, 자리와 사람도 필요에 따라 바꿔야 한다”고 가세했다.
반면 김영선 의원은 “그 사람들이 (검증을) 잘못한 것 보다 우리가 검증을 잘한 것이라고 생각해야지”라며 인책론에 대한 우회적 반대의사를 분명히 했다. 익명을 요구한 친박계 초선 의원은 “(인책론 제기는) 바닥에 엎어진 정권을 다시한번 깔아뭉개겠다는 것”이라며 “정권 절반이 지나도록 가만히 있다가 문제가 되니 벌떼처럼 달려드는 것은 스스로 침뱉기”라고 강도높게 비판했다.
이날 연찬회는 김 후보자의 사퇴 이후 진행되면서 다소 맥이 풀렸다는 평가를 받았다. 개회식에는 140여명의 의원들이 참석했지만 지역구 행사 등을 이유로 한두명씩 빠져나가면서 썰렁한 분위기가 연출되기도 했다.
다만 임태희 대통령실장과 정진석 정무수석 등 청와대 인사와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 이재오 특임장관 등 국무위원들이 대거 참석해 ‘당정청 소통강화’를 주장해 온 한나라당 지도부에 힘을 보탰다. ‘제대증’까지 받았다 이재훈 후보자의 낙마로 복귀하게 된 최경환 지식경제부 장관도 눈에 띄었다.
천안=허신열 기자 syhe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안상수 한나라당 대표는 30일 충남 천안 지식경제부 공무원교육원에서 열린 연찬회에서 “이 대통령이 총리 등 내정자의 사퇴를 수용한 것은 결연한 의지”라고 평가하며 “(공정사회의 가치를) 행동으로 우리가 보여줄 때”라고 말했다. 사실상 인사청문회 국면의 종료를 선언한 셈이다.
김무성 원내대표도 “(김 총리 후보자 등의 자진사퇴로) 국민들과 당이 걱정하던 문제가 좋게 일단락됐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다만 조현오 신임 경찰청장 임명을 수용하면서도 “이번 인사검증에 관련된 청와대 인사는 누가 됐던 문책을 해야 한다”고 요구하기도 했다.
연찬회에 참석한 의원 중 일부는 인사검증시스템의 문제를 제적하기도 했지만 대부분은 “더 이상의 문제제기는 부담”이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장광근 의원은 “이제는 국정운영의 힘을 보탤 때”라고 했고 초선 권택기 의원도 “정권의 기반을 흔드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을 보였다. 권영세 의원도 “이제 당 중심으로 가는 게 맞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청와대가 너무 힘이 빠지면 안된다”면서 “청와대와 당이 적당히 밀고 당기는 것이 맞다고 본다”고 신중한 자세를 취했다.
쇄신그룹을 이끌었던 권영진 의원도 “인사검증시스템에 문제가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국정운영에 부담이 되어서는 곤란한 것 아닌가”라고 말했다. 홍정욱 의원도 “김 후보자 외에 장관 내정자 두 명도 사퇴하면서 청와대가 초상집인데 여기에다 대고 뭐를 하라고 요구하면 나쁜 사람이 된다”며 “청와대의 인사검증이 실패했다는 지적은 맞지만 그것도 대통령이 책임지고 해결하면 될 문제”라고 지적했다.
인책론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렸다.
정두언 최고위원은 “(인사 검증) 자료를 다 대통령이 보느냐. 대통령은 종합 정리한 자료만 보는 건데, 문제는 사실대로 자료를 올리느냐다”며 “잘못한 게 있어도 책임을 묻지 않으면 기강이 안선다”고 강조했다. 서병수 최고위원도 “한두 번도 아니고 현 정부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인사검증 시스템에 문제 있다는 게 드러났다”며 “책임 있는 사람은 마땅히 책임져야 하며, 자리와 사람도 필요에 따라 바꿔야 한다”고 가세했다.
반면 김영선 의원은 “그 사람들이 (검증을) 잘못한 것 보다 우리가 검증을 잘한 것이라고 생각해야지”라며 인책론에 대한 우회적 반대의사를 분명히 했다. 익명을 요구한 친박계 초선 의원은 “(인책론 제기는) 바닥에 엎어진 정권을 다시한번 깔아뭉개겠다는 것”이라며 “정권 절반이 지나도록 가만히 있다가 문제가 되니 벌떼처럼 달려드는 것은 스스로 침뱉기”라고 강도높게 비판했다.
이날 연찬회는 김 후보자의 사퇴 이후 진행되면서 다소 맥이 풀렸다는 평가를 받았다. 개회식에는 140여명의 의원들이 참석했지만 지역구 행사 등을 이유로 한두명씩 빠져나가면서 썰렁한 분위기가 연출되기도 했다.
다만 임태희 대통령실장과 정진석 정무수석 등 청와대 인사와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 이재오 특임장관 등 국무위원들이 대거 참석해 ‘당정청 소통강화’를 주장해 온 한나라당 지도부에 힘을 보탰다. ‘제대증’까지 받았다 이재훈 후보자의 낙마로 복귀하게 된 최경환 지식경제부 장관도 눈에 띄었다.
천안=허신열 기자 syhe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