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개발ㆍ재건축조합들 “시공사부터 뽑고 보자”
내달 적용 공공관리제 피하려 막판에 총회 … 서두르면서 부실 우려도 제기
공공관리제 도입 기한이 다가오면서 서울시내 재개발ㆍ재건축 조합이 시공사 선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3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모두 20여 곳에 달하는 서울 재개발·재건축 사업장이 공공관리제의 적용을 피하기 위해 이달 안에 시공사 선정을 위한 총회 개최를 예정 중이다.
공공관리제는 그동안 말이 많았던 재건축ㆍ재개발 사업에 투명성을 불어넣고자 구청 등 공공기관이 사업 과정을 관리하는 제도로, 설계와 정비사업전문관리 부문은 이미 7월 16일부터 시행 중이고 시공 부문은 다음 달 1일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서울 시내의 재건축ㆍ재개발 조합들은 이 공공관리제가 적용되면 구청의 간섭을 받아 자율성이 보장되지 않고, 사업이 지연될 수 있다는 이유를 들어 시공사 선정 총회를 서두르고 있다.
이번 주말인 18일 878단지의 봉천제4-1구역을 시작으로 봉천4-1ㆍ2구역, 흑석3구역, 아현1-3구역 등 재개발 조합이 총회를 열고, 청담동 삼익아파트, 등촌1구역, 아현2구역 등 재건축 사업장도 이달 안에 시공사를 뽑을 계획이다.
특히 이번 달에는 유난히 긴 추석연휴가 걸려 있기 때문에 날짜를 못 골라 다급한 일부 조합들은 시공사 선정 투표일을 평일로 잡기도 했다.
신길1구역은 수요일인 지난 8일 총회를 열었고, 이밖에 삼선5구역, 장위8구역 등이 시공사 선정 총회 일자로 평일을 잡았다.
특히 공공관리제 시행을 그야말로 코앞에 둔 이달 마지막 주에는 1530단지의 흑석3구역(28일)과 1274단지의 장위6구역(29일) 등 매머드급 사업장들이 잇따라 주중에 총회를 연다.
이렇게 이달 안에 많은 총회가 잇따르면서 적지 않은 폐해도 우려된다.
일부 조합들은 총회 개최를 서두르며 조합원 전체에게 제대로 된 설명이나 동의과정을 거치지 않아 반발을 사기도 했다.
한 재개발구역의 조합원은 “총회 개최가 불과 1주일 만에 일사천리로 정해져 일자가 통보됐다”며 “건설사들이 내세우는 조건에 대해 잘 모르고 있거니와 지방에 살거나 생업에 바쁜 조합원들은 평일 열리는 총회 참가도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건설사들의 지나친 경쟁도 우려된다.
국내 건설경기가 침체한 상황에서 어떻게든 일감을 따내려는 건설사들이 무리한 조건을 제시하며 ‘제 살 깎아 먹기’ 경쟁에 돌입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지난 5월 두산건설은 고덕주공 6단지에서 무려 174%라는 높은 무상지분율을 제시해 현대건설, 대우건설 등 쟁쟁한 경쟁자들을 제치고 시공권을 따냈다.
이들은 도급 공사액이 3000억원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흑석3구역 재개발 사업에서 다시 맞붙는데, 당시 ‘물을 먹은’ 건설사들이 무상지분율 경쟁에 돌입하면 사업 전체가 부실화될 수도 있을 것으로 우려된다.
조합원들이 추가 부담금 없이 확보할 수 있는 주택 면적의 비율인 무상지분율을 높이면, 그만큼 일반분양가가 올라가기 때문에 자연스레 사업성은 떨어지게 된다.
또 일각에선 2008년 분양가상한제를 피하고자 ‘밀어내기’식으로 대거 분양한 단지들이 올해 ‘입주폭탄’으로 돌아왔듯이, 비슷한 시기에 재건축 사업이 시작되고 입주일이 돌아오면 또다시 미분양 사태가 반복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하고 있다.
연합뉴스 홍지인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내달 적용 공공관리제 피하려 막판에 총회 … 서두르면서 부실 우려도 제기
공공관리제 도입 기한이 다가오면서 서울시내 재개발ㆍ재건축 조합이 시공사 선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3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모두 20여 곳에 달하는 서울 재개발·재건축 사업장이 공공관리제의 적용을 피하기 위해 이달 안에 시공사 선정을 위한 총회 개최를 예정 중이다.
공공관리제는 그동안 말이 많았던 재건축ㆍ재개발 사업에 투명성을 불어넣고자 구청 등 공공기관이 사업 과정을 관리하는 제도로, 설계와 정비사업전문관리 부문은 이미 7월 16일부터 시행 중이고 시공 부문은 다음 달 1일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서울 시내의 재건축ㆍ재개발 조합들은 이 공공관리제가 적용되면 구청의 간섭을 받아 자율성이 보장되지 않고, 사업이 지연될 수 있다는 이유를 들어 시공사 선정 총회를 서두르고 있다.
이번 주말인 18일 878단지의 봉천제4-1구역을 시작으로 봉천4-1ㆍ2구역, 흑석3구역, 아현1-3구역 등 재개발 조합이 총회를 열고, 청담동 삼익아파트, 등촌1구역, 아현2구역 등 재건축 사업장도 이달 안에 시공사를 뽑을 계획이다.
특히 이번 달에는 유난히 긴 추석연휴가 걸려 있기 때문에 날짜를 못 골라 다급한 일부 조합들은 시공사 선정 투표일을 평일로 잡기도 했다.
신길1구역은 수요일인 지난 8일 총회를 열었고, 이밖에 삼선5구역, 장위8구역 등이 시공사 선정 총회 일자로 평일을 잡았다.
특히 공공관리제 시행을 그야말로 코앞에 둔 이달 마지막 주에는 1530단지의 흑석3구역(28일)과 1274단지의 장위6구역(29일) 등 매머드급 사업장들이 잇따라 주중에 총회를 연다.
이렇게 이달 안에 많은 총회가 잇따르면서 적지 않은 폐해도 우려된다.
일부 조합들은 총회 개최를 서두르며 조합원 전체에게 제대로 된 설명이나 동의과정을 거치지 않아 반발을 사기도 했다.
한 재개발구역의 조합원은 “총회 개최가 불과 1주일 만에 일사천리로 정해져 일자가 통보됐다”며 “건설사들이 내세우는 조건에 대해 잘 모르고 있거니와 지방에 살거나 생업에 바쁜 조합원들은 평일 열리는 총회 참가도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건설사들의 지나친 경쟁도 우려된다.
국내 건설경기가 침체한 상황에서 어떻게든 일감을 따내려는 건설사들이 무리한 조건을 제시하며 ‘제 살 깎아 먹기’ 경쟁에 돌입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지난 5월 두산건설은 고덕주공 6단지에서 무려 174%라는 높은 무상지분율을 제시해 현대건설, 대우건설 등 쟁쟁한 경쟁자들을 제치고 시공권을 따냈다.
이들은 도급 공사액이 3000억원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흑석3구역 재개발 사업에서 다시 맞붙는데, 당시 ‘물을 먹은’ 건설사들이 무상지분율 경쟁에 돌입하면 사업 전체가 부실화될 수도 있을 것으로 우려된다.
조합원들이 추가 부담금 없이 확보할 수 있는 주택 면적의 비율인 무상지분율을 높이면, 그만큼 일반분양가가 올라가기 때문에 자연스레 사업성은 떨어지게 된다.
또 일각에선 2008년 분양가상한제를 피하고자 ‘밀어내기’식으로 대거 분양한 단지들이 올해 ‘입주폭탄’으로 돌아왔듯이, 비슷한 시기에 재건축 사업이 시작되고 입주일이 돌아오면 또다시 미분양 사태가 반복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하고 있다.
연합뉴스 홍지인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