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LG그룹의 최고경영자들이 중국행 출장중이거나 계획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정보통신부 장관 및 관련 업계 대표들도 통신외교를 위해 중국길에 나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양승택 정통부 장관, 오길록 전자통신연구원장, 윤창번 정보통신정책연구원장, 서삼영 한국전산원장 등 정보통신 관련 인사들이 25일 대규모로 중국을 방문한다. 이번 방문단에는 구자홍 LG전자부회장, 조정남 SK텔레콤부회장, 이건수 동아일렉콤 회장, 이용태 삼보TG그룹회장, 박학송 한국통신 부사장 등 정보통신 기업인들도 포함됐다.
24일 정통부에 따르면 이번 중국방문단은 아·태지역 CDMA벨트를 구축하고, 초고속인터넷 등 유망정보통신산업의 해외수출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구성됐다.
양 장관은 중국 상해시와 정보통신산업협력의정서를 체결하고, 중국 상해시와 3000만달러 규모로 조성할 예정인 한·중 무선기술벤처펀드 조인식에 서광적 상해시장 함께 참여할 예정이다. 또한 홍콩의 둥젠화 행정수반을 예방해 홍콩의 IT투자자금과 한국의 벤처기업의 기술력을 결합시키는 방안에 관해 논의한다. 뿐만 아니라 홍콩에서 개최되는 아시아 IT장관회담과 세계경제포럼(통신혁명에 대한 기조연설)에도 참가하여 한국과 세계IT산업계와의 협력방안을 강구할 예정이다.
정통부 정진규 이동통신해외진출지원팀장은 “한·중 무선기술벤처펀드가 조성되면 그동안 중국 진출에 애로를 겪었던 중소기업들이 중국 파트너들에게 끌려다니지 않고도 사업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중국측이 우리나라의 CDMA 기술과 초고속인터넷 사업경험에 대해 매력을 느끼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앞서 이번 방문단은 베트남의 사이공우정청과 SK텔레콤, LG전자, 동아일렉콤 3사의 합작 이동통신운영업체인 SLD의 베트남 CDMA사업추진을 지원하기 위해, 쩐덕 렁 국가주석, 판반 카이 수상, 마이리엠 쭉 우전총국 장관을 만나 협력증진방안을 논의하고, 현대정보기술이 추진하고 있는 금융전산망 사업에 있어서의 협력방안도 논의할 예정이다.
정통부는 이번 방문 일정과 관련 “CDMA 이동통신과 ADSL, FTTC-LAN 등 초고속인터넷 산업의 수출기반을 구축하고, 고위급 산업협력외교를 통해 한국 IT위상을 제고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양승택 정통부 장관, 오길록 전자통신연구원장, 윤창번 정보통신정책연구원장, 서삼영 한국전산원장 등 정보통신 관련 인사들이 25일 대규모로 중국을 방문한다. 이번 방문단에는 구자홍 LG전자부회장, 조정남 SK텔레콤부회장, 이건수 동아일렉콤 회장, 이용태 삼보TG그룹회장, 박학송 한국통신 부사장 등 정보통신 기업인들도 포함됐다.
24일 정통부에 따르면 이번 중국방문단은 아·태지역 CDMA벨트를 구축하고, 초고속인터넷 등 유망정보통신산업의 해외수출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구성됐다.
양 장관은 중국 상해시와 정보통신산업협력의정서를 체결하고, 중국 상해시와 3000만달러 규모로 조성할 예정인 한·중 무선기술벤처펀드 조인식에 서광적 상해시장 함께 참여할 예정이다. 또한 홍콩의 둥젠화 행정수반을 예방해 홍콩의 IT투자자금과 한국의 벤처기업의 기술력을 결합시키는 방안에 관해 논의한다. 뿐만 아니라 홍콩에서 개최되는 아시아 IT장관회담과 세계경제포럼(통신혁명에 대한 기조연설)에도 참가하여 한국과 세계IT산업계와의 협력방안을 강구할 예정이다.
정통부 정진규 이동통신해외진출지원팀장은 “한·중 무선기술벤처펀드가 조성되면 그동안 중국 진출에 애로를 겪었던 중소기업들이 중국 파트너들에게 끌려다니지 않고도 사업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중국측이 우리나라의 CDMA 기술과 초고속인터넷 사업경험에 대해 매력을 느끼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앞서 이번 방문단은 베트남의 사이공우정청과 SK텔레콤, LG전자, 동아일렉콤 3사의 합작 이동통신운영업체인 SLD의 베트남 CDMA사업추진을 지원하기 위해, 쩐덕 렁 국가주석, 판반 카이 수상, 마이리엠 쭉 우전총국 장관을 만나 협력증진방안을 논의하고, 현대정보기술이 추진하고 있는 금융전산망 사업에 있어서의 협력방안도 논의할 예정이다.
정통부는 이번 방문 일정과 관련 “CDMA 이동통신과 ADSL, FTTC-LAN 등 초고속인터넷 산업의 수출기반을 구축하고, 고위급 산업협력외교를 통해 한국 IT위상을 제고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