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조합원의 동의서를 받았다는 이유로 노조원의 근로조건을 떨어뜨리려는 회사의 태도는 노조의 실체를 인정
하지 않는 것과 같다.” 한국산업단지공단노조가 ‘노조 실체인정’과 ‘회사측의 성실교섭’ 등을 요구하며
전면파업에 들어갈 태세다. 이들이 파업하면 경기도 안산시 소재 반월공단과 경북 구미시 구미공단의 열병합발
전소가 가동이 중단되고, 전기와 난방 공급이 멈춰 수천억원 대의 손실이 예상된다.
산업단지공단 노사는 올 3월 7일부터 교섭을 시작해 퇴직금 문제를 중심으로 17차례나 협상 테이블에 마주 앉았
다.
교섭은 별다른 진전이 없었고 8월 중순 행정직 위주로 190여명의 직원이 노조를 탈퇴하면서 노·사 갈등이 촉발
됐다. 노조는 이에 따라 열병합발전소 직원을 중심으로 체제를 정비하고 사용자 쪽과의 일전불사를 다짐하게 됐
다는 것이 이곳 노사관계에 정통한 인사들의 주장이다.
공단 쪽은 노조가 전체 직원들의 과반수를 대변하지 못한다며 9월초부터 노조의 실체를 인정하지 않는 듯한 태
도를 보였고, 노조는 격앙되기 시작했다.
노조 쪽은 이와 관련 “노조원의 근로조건은 공단과 노조가 상호협의해서 결정하는 것인 데도 공단 측은 이를 무
시, 단체교섭을 회피했다”고 비난했다. 16일부터 이틀간 실시된 파업찬반투표에서 노조원 203명(비조합원 360
여명) 중 96%가 파업을 지지했다. 이들은 23일 운영위원회를 통해 30일 전면파업에 들어가기로 최종 확정했다.
2001년으로 계획된 민영화도 노사갈등을 증폭시키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산업단지공단의 한 고위 관계자는 “민영화 대상인 열병합발전소 직원은 고용불안과 함께 퇴직금마저 불이익을
받는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노조의 반발은 충분히 예상된 것”이라면서 “노조와의 협상에서 회사가 이런 부분
을 간과하고 소극적인 자세로만 일관했다”고 인정했다.
구미 민주노총 배태선 부장은 “정부의 일방적인 밀어붙이기식 민영화 계획도 문제지만 이를 무비판적으로 수
용하고 있는 산업단지공단의 태도는 노동자들의 불신을 더 깊게 만든다”고 밝혔다.
한편 노조의 파업으로 반월·구미 열병합발전소가 인근 업체에 난방과 전기 공급을 중단할 경우 반월 189개, 구
미 60개 등 수용업체의 생산차질이 불가피해 수천억원대의 피해가 예상된다. 구미 열병합발전소와 연관된 60개
업체의 9월 생산액은 1조1906억원, 수출액은 5억5659만달러이다.
하지 않는 것과 같다.” 한국산업단지공단노조가 ‘노조 실체인정’과 ‘회사측의 성실교섭’ 등을 요구하며
전면파업에 들어갈 태세다. 이들이 파업하면 경기도 안산시 소재 반월공단과 경북 구미시 구미공단의 열병합발
전소가 가동이 중단되고, 전기와 난방 공급이 멈춰 수천억원 대의 손실이 예상된다.
산업단지공단 노사는 올 3월 7일부터 교섭을 시작해 퇴직금 문제를 중심으로 17차례나 협상 테이블에 마주 앉았
다.
교섭은 별다른 진전이 없었고 8월 중순 행정직 위주로 190여명의 직원이 노조를 탈퇴하면서 노·사 갈등이 촉발
됐다. 노조는 이에 따라 열병합발전소 직원을 중심으로 체제를 정비하고 사용자 쪽과의 일전불사를 다짐하게 됐
다는 것이 이곳 노사관계에 정통한 인사들의 주장이다.
공단 쪽은 노조가 전체 직원들의 과반수를 대변하지 못한다며 9월초부터 노조의 실체를 인정하지 않는 듯한 태
도를 보였고, 노조는 격앙되기 시작했다.
노조 쪽은 이와 관련 “노조원의 근로조건은 공단과 노조가 상호협의해서 결정하는 것인 데도 공단 측은 이를 무
시, 단체교섭을 회피했다”고 비난했다. 16일부터 이틀간 실시된 파업찬반투표에서 노조원 203명(비조합원 360
여명) 중 96%가 파업을 지지했다. 이들은 23일 운영위원회를 통해 30일 전면파업에 들어가기로 최종 확정했다.
2001년으로 계획된 민영화도 노사갈등을 증폭시키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산업단지공단의 한 고위 관계자는 “민영화 대상인 열병합발전소 직원은 고용불안과 함께 퇴직금마저 불이익을
받는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노조의 반발은 충분히 예상된 것”이라면서 “노조와의 협상에서 회사가 이런 부분
을 간과하고 소극적인 자세로만 일관했다”고 인정했다.
구미 민주노총 배태선 부장은 “정부의 일방적인 밀어붙이기식 민영화 계획도 문제지만 이를 무비판적으로 수
용하고 있는 산업단지공단의 태도는 노동자들의 불신을 더 깊게 만든다”고 밝혔다.
한편 노조의 파업으로 반월·구미 열병합발전소가 인근 업체에 난방과 전기 공급을 중단할 경우 반월 189개, 구
미 60개 등 수용업체의 생산차질이 불가피해 수천억원대의 피해가 예상된다. 구미 열병합발전소와 연관된 60개
업체의 9월 생산액은 1조1906억원, 수출액은 5억5659만달러이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