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 : 212곳 정비구역 전망 불투명 … “송영길 시장이 물꼬 터야”
인천시 재개발·재건축 사업에 대한 총체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신임 단체장 취임 초기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경우 거센 후폭풍에 직면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인천시는 지난해 말 일부 지구의 도시재생사업을 중단한 후 재개발·재건축 사업에 대한 이렇다 할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LH, 인천도개공 부채로 동력 상실 =
“선거 이후 가장 많은 민원은 재개발·재건축이었다.” 최근 취임 100일을 맞은 인천시 한 자치구 단체장의 하소연이다. 이 단체장만이 아니다. 구도심 자치단체장 대부분이 같은 민원에 시달리고 있다.
제물포 역세권 일부 주민들은 최근 인천시에 공영개발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 지역은 지난해 말 주민투표로 지구지정이 해제됐던 곳이다. 이곳만이 아니다. 인천시 재개발 구역 곳곳에선 주민간 찬반논란이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현재 인천시 재개발·재건축 구역은 212곳. 일부 신도시를 제외하고 대부분 인천지역이 재개발 구역으로 지정된 것이다. 여기에 대규모 도시재생사업으로 도화, 숭의운동장, 루윈시티 등이 추진되고 있다.
문제는 이들 사업 대부분이 거의 진행되지 않거나 초반부터 삐걱대고 있다는 점이다.
이런 상황는 전임 단체장 시절 인천시와 각 구청의 무모한 재개발정책에서 비롯됐다. 212곳을 연이어 정비구역으로, 구도심 교통요지는 잇따라 도시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하면서 너무 많은 재개발사업을 동시에 추진한 것이다.
여기에 부동산 경기 하락은 결정타가 됐다. 사업성이 사라지면서 민간개발업자들이 손을 뗐고 주민들은 오히려 추가분담금을 내거나 개발 이후 쫓겨나야 하는 상황에 몰렸다. 이 때문에 일부에선 212곳 중 그나마 사업 추진이 가능한 곳은 30여곳에 불과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그나마 기대했던 LH나 인천도시개발공사도 막대한 부채로 현재 사업 추진은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다.
◆“인천시 재개발·재건축 방향이 없다” =
인천시는 최근 송영길 시장 취임 100일을 맞아 도화구역 등 일부 도시재생사업 지구의 방향을 제시했다.
하지만 각 재개발·재건축 구역에선 불만의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일부 구역의 방향만 나왔을 뿐 재개발·재건축 전체 방향이 없다는 것이다.
오두제 계양구 작전현대재개발조합장은 “선거 이후 시나 구청에 많은 기대를 하고 있는데 이렇다 할 대책이 나오지 않아 답답하다”며 조속한 대책을 요구했다. 이도형 인천시의원 역시 “지역마다 심각한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며 “특단의 대책이 요구된다”고 주장했다.
김송원 인천경실련 사무처장은 “지금은 시나 구청 모두 누가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달 것인지 서로 눈치만 보고 있는 상황”이라며 “인천시 특히 송영길 시장이 공론화의 물꼬를 터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인천시 등이 우려하고 있는 것은 재개발 구역 주민의 집단반발 등이다. 찬반의견이 엇갈린 상황에서 자칫 불똥이 시에 튈 것을 염려한 것이다.
관련 토론회를 준비하고 있는 이성만 인천시의원은 “단체장 취임 초기 문제해결에 나서지 않는다면 후폭풍이 엄청날 것”이라며 “시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인천 윤여운 기자 yuyoo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인천시 재개발·재건축 사업에 대한 총체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신임 단체장 취임 초기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경우 거센 후폭풍에 직면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인천시는 지난해 말 일부 지구의 도시재생사업을 중단한 후 재개발·재건축 사업에 대한 이렇다 할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LH, 인천도개공 부채로 동력 상실 =
“선거 이후 가장 많은 민원은 재개발·재건축이었다.” 최근 취임 100일을 맞은 인천시 한 자치구 단체장의 하소연이다. 이 단체장만이 아니다. 구도심 자치단체장 대부분이 같은 민원에 시달리고 있다.
제물포 역세권 일부 주민들은 최근 인천시에 공영개발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 지역은 지난해 말 주민투표로 지구지정이 해제됐던 곳이다. 이곳만이 아니다. 인천시 재개발 구역 곳곳에선 주민간 찬반논란이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현재 인천시 재개발·재건축 구역은 212곳. 일부 신도시를 제외하고 대부분 인천지역이 재개발 구역으로 지정된 것이다. 여기에 대규모 도시재생사업으로 도화, 숭의운동장, 루윈시티 등이 추진되고 있다.
문제는 이들 사업 대부분이 거의 진행되지 않거나 초반부터 삐걱대고 있다는 점이다.
이런 상황는 전임 단체장 시절 인천시와 각 구청의 무모한 재개발정책에서 비롯됐다. 212곳을 연이어 정비구역으로, 구도심 교통요지는 잇따라 도시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하면서 너무 많은 재개발사업을 동시에 추진한 것이다.
여기에 부동산 경기 하락은 결정타가 됐다. 사업성이 사라지면서 민간개발업자들이 손을 뗐고 주민들은 오히려 추가분담금을 내거나 개발 이후 쫓겨나야 하는 상황에 몰렸다. 이 때문에 일부에선 212곳 중 그나마 사업 추진이 가능한 곳은 30여곳에 불과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그나마 기대했던 LH나 인천도시개발공사도 막대한 부채로 현재 사업 추진은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다.
◆“인천시 재개발·재건축 방향이 없다” =
인천시는 최근 송영길 시장 취임 100일을 맞아 도화구역 등 일부 도시재생사업 지구의 방향을 제시했다.
하지만 각 재개발·재건축 구역에선 불만의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일부 구역의 방향만 나왔을 뿐 재개발·재건축 전체 방향이 없다는 것이다.
오두제 계양구 작전현대재개발조합장은 “선거 이후 시나 구청에 많은 기대를 하고 있는데 이렇다 할 대책이 나오지 않아 답답하다”며 조속한 대책을 요구했다. 이도형 인천시의원 역시 “지역마다 심각한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며 “특단의 대책이 요구된다”고 주장했다.
김송원 인천경실련 사무처장은 “지금은 시나 구청 모두 누가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달 것인지 서로 눈치만 보고 있는 상황”이라며 “인천시 특히 송영길 시장이 공론화의 물꼬를 터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인천시 등이 우려하고 있는 것은 재개발 구역 주민의 집단반발 등이다. 찬반의견이 엇갈린 상황에서 자칫 불똥이 시에 튈 것을 염려한 것이다.
관련 토론회를 준비하고 있는 이성만 인천시의원은 “단체장 취임 초기 문제해결에 나서지 않는다면 후폭풍이 엄청날 것”이라며 “시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인천 윤여운 기자 yuyoo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