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심야영업 약국’ 18곳으로 확대
서울시는 밤에도 문을 여는 심야약국이 18곳으로 확대됐다고 13일 밝혔다.
심야약국은 시민이 늦은 밤이나 새벽에 의약품을 사는 데 겪는 불편을 덜어주고자 대한약사회가 7월 19일부터 시범적으로 자율 운영하고 있다.
심야약국은 아침 6시까지 운영하는 ‘레드마크’ 약국 6곳과 새벽 2시에 문을 닫는 ‘블루마크’ 약국 12곳으로 분류된다.
심야약국은 시작 당시 14곳이 문을 열었으나 3곳이 포기했고, 성동구 도원약국, 광진구 신중앙약국, 강북구 세화약국, 도봉구 진성온누리약국, 영등포구 영등포제일약국이 운영을 시작했다.
종로구와 구로구에서는 각각 31개 약국과 54개 약국이 돌아가며 1곳씩 심야 영업한다.
심야약국과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다산콜센터(120)나 응급의료정보센터(1339), 자치구 보건소에 전화로 문의하거나 당번약국 홈페이지(www.pharm114.or.kr)에서 확인하면 된다.
김선일 기자 si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는 밤에도 문을 여는 심야약국이 18곳으로 확대됐다고 13일 밝혔다.
심야약국은 시민이 늦은 밤이나 새벽에 의약품을 사는 데 겪는 불편을 덜어주고자 대한약사회가 7월 19일부터 시범적으로 자율 운영하고 있다.
심야약국은 아침 6시까지 운영하는 ‘레드마크’ 약국 6곳과 새벽 2시에 문을 닫는 ‘블루마크’ 약국 12곳으로 분류된다.
심야약국은 시작 당시 14곳이 문을 열었으나 3곳이 포기했고, 성동구 도원약국, 광진구 신중앙약국, 강북구 세화약국, 도봉구 진성온누리약국, 영등포구 영등포제일약국이 운영을 시작했다.
종로구와 구로구에서는 각각 31개 약국과 54개 약국이 돌아가며 1곳씩 심야 영업한다.
심야약국과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다산콜센터(120)나 응급의료정보센터(1339), 자치구 보건소에 전화로 문의하거나 당번약국 홈페이지(www.pharm114.or.kr)에서 확인하면 된다.
김선일 기자 si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