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내년초 최악의 취업난이 예고되고 있지만, 중소제조업체들의 구인난이 좀처럼 해소되지 않아 정부가 대책마련에 나섰다.
노동부는 5일 중소제조업체들이 인력을 보다 쉽게 구할 수 있도록 정보·직업훈련·재정 등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노동부는 한국노동연구원을 통해 지난 7월 30일부터 8월 17일까지 중소제조업체가 밀집해 있는 경기도 안산·시흥지역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이들 업체들의 구인난은 임금·연령·직종·지역 등에서 업체와 구직자간에 이해가 맞아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 구인·구직자간 조건 불일치 = 노동연구원이 안산·시흥지역의 구인업체(718개소) 구직자(509명) 공공근로참여자(511명) 등을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구인업체가 제시한 월급과 구직자가 원하는 월급간에 차이가 있어, 업체들의 구인난이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업체 쪽에서는 사무관리직 105만5000원, 생산기능직 112만4000원, 단순노무직 95만2000원 정도를 월급으로 제시한 반면, 구직자들은 사무관리직은 적게는 120만8000원 많게는 155만7000원, 생산기능직 130만3000원, 단순노무직 104만원을 원했다.
연령도 서로 달랐다.
구직자의 40.5%가 ‘30대 후반 이상’이었지만 업체 10개소 가운데 8개소 이상에서 ‘20대부터 30대 초반’까지의 인력을 선호했다.
또한 구직자들의 희망직종이 사무관리직 33.9%, 단순노무직 19.8%, 생산기능직 17.3% 등의 순으로 나타나 생산기능·단순노무직 위주인 제조업체의 특성과는 동떨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이밖에 제조관련 단순노무자의 경우 46%를 수도권 소재의 업체에서 필요로 했지만 전체 구직자의 77%가 지방에 거주하고 있어 차이가 났다.
◇ 구직자 ‘눈높이 조절’이 관건 = 노동부 관계자는 이와 관련 “취업난과 구인난이 양립하는 모순구조를 해소해 나가려면 ‘구직자가 눈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분위기’를 정착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고용정보의 정확성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도 이 때문”이라고 말했다.
노동부는 이에 따라 오는 12월중 공단 소재 모든 기업체를 대상으로 구인·훈련수요를 조사하기로 했다.
이를 바탕으로 전국 167곳에 있는 고용안정센터로 하여금 지역단위 고용정보를 만들어 구인업체와 구직자들에게 제공, 정보의 정확성을 높여나갈 방침이다. 노동부가 관리하는 취업정보망인 ‘워크넷(WorkNet)’의 고용정보자료도 확충하고 수요자 중심의 검색시스템을 구축키로 했다.
정부는 또 고용보험에서 능력개발지원액 등을 늘려 중소기업 재직근로자를 상대로 한 직업훈련을 활성화시킬 계획이다.
내년부터 능력개발지원액의 최저한도액도 75만원에서 150만원으로 늘리고, 유급휴가훈련으로 인정하는 경우도 ‘30일 이상’에서 ‘10일∼14일 이상’으로 기준을 완화했다. 이직예정자나 50세 이상 근로자에게만 수강장려금을 지원했던 것 역시 바꿔 ‘50인 미만 사업장에서 일하는 근로자’면 누구나 지원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노동부는 특히 2002년에 예산 720억원을 투입, 인력부족 직종(금형 선반 등)에 대한 직업훈련을 1만2000명에게 시행키로 했다.
사내기숙사 설치 또는 임차비용을 최고 1억원까지 연리 6%로 계속 지원키로 했고, 이달부터 통근차량을 구입·운영하는 중소기업에게는 자금을 빌려 주기로 했다.
올해 275억원이었던 작업환경개선보조금도 내년에는 365억원으로 늘려 시행할 예정이다.
노동부는 5일 중소제조업체들이 인력을 보다 쉽게 구할 수 있도록 정보·직업훈련·재정 등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노동부는 한국노동연구원을 통해 지난 7월 30일부터 8월 17일까지 중소제조업체가 밀집해 있는 경기도 안산·시흥지역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이들 업체들의 구인난은 임금·연령·직종·지역 등에서 업체와 구직자간에 이해가 맞아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 구인·구직자간 조건 불일치 = 노동연구원이 안산·시흥지역의 구인업체(718개소) 구직자(509명) 공공근로참여자(511명) 등을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구인업체가 제시한 월급과 구직자가 원하는 월급간에 차이가 있어, 업체들의 구인난이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업체 쪽에서는 사무관리직 105만5000원, 생산기능직 112만4000원, 단순노무직 95만2000원 정도를 월급으로 제시한 반면, 구직자들은 사무관리직은 적게는 120만8000원 많게는 155만7000원, 생산기능직 130만3000원, 단순노무직 104만원을 원했다.
연령도 서로 달랐다.
구직자의 40.5%가 ‘30대 후반 이상’이었지만 업체 10개소 가운데 8개소 이상에서 ‘20대부터 30대 초반’까지의 인력을 선호했다.
또한 구직자들의 희망직종이 사무관리직 33.9%, 단순노무직 19.8%, 생산기능직 17.3% 등의 순으로 나타나 생산기능·단순노무직 위주인 제조업체의 특성과는 동떨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이밖에 제조관련 단순노무자의 경우 46%를 수도권 소재의 업체에서 필요로 했지만 전체 구직자의 77%가 지방에 거주하고 있어 차이가 났다.
◇ 구직자 ‘눈높이 조절’이 관건 = 노동부 관계자는 이와 관련 “취업난과 구인난이 양립하는 모순구조를 해소해 나가려면 ‘구직자가 눈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분위기’를 정착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고용정보의 정확성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도 이 때문”이라고 말했다.
노동부는 이에 따라 오는 12월중 공단 소재 모든 기업체를 대상으로 구인·훈련수요를 조사하기로 했다.
이를 바탕으로 전국 167곳에 있는 고용안정센터로 하여금 지역단위 고용정보를 만들어 구인업체와 구직자들에게 제공, 정보의 정확성을 높여나갈 방침이다. 노동부가 관리하는 취업정보망인 ‘워크넷(WorkNet)’의 고용정보자료도 확충하고 수요자 중심의 검색시스템을 구축키로 했다.
정부는 또 고용보험에서 능력개발지원액 등을 늘려 중소기업 재직근로자를 상대로 한 직업훈련을 활성화시킬 계획이다.
내년부터 능력개발지원액의 최저한도액도 75만원에서 150만원으로 늘리고, 유급휴가훈련으로 인정하는 경우도 ‘30일 이상’에서 ‘10일∼14일 이상’으로 기준을 완화했다. 이직예정자나 50세 이상 근로자에게만 수강장려금을 지원했던 것 역시 바꿔 ‘50인 미만 사업장에서 일하는 근로자’면 누구나 지원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노동부는 특히 2002년에 예산 720억원을 투입, 인력부족 직종(금형 선반 등)에 대한 직업훈련을 1만2000명에게 시행키로 했다.
사내기숙사 설치 또는 임차비용을 최고 1억원까지 연리 6%로 계속 지원키로 했고, 이달부터 통근차량을 구입·운영하는 중소기업에게는 자금을 빌려 주기로 했다.
올해 275억원이었던 작업환경개선보조금도 내년에는 365억원으로 늘려 시행할 예정이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