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부터 근무 … 교총 "땜질식 처방, 교원정원 확대해야"
학습 보조 인턴교사 1만명이 채용돼 3월 새 학기부터 전국의 초·중·고교에 배치된다. 그러나 교육계에서는 학교에 정규 교사는 늘지 않고 임시직인 인턴교사만 배치해 교육의 질이 떨어지는 것이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에 따르면 채용분야는 기초학력 미달 학생 지도 2361명을 비롯해 전문계고 산학협력 949명, 특수교육 지원센터 운영 851명, 전문상담 1929명, 수준별 이동수업 1270명,과학실험 1057명, 사교육 없는 학교 운영 872명, 학교보건 586명, 예술교육 125명 등 9개 분야 총 1만명이다. 특히 학교보건, 예술교육이 추가돼 채용분야가 지난해보다 두 가지 늘었다.
이에 대해 한국교총 김동석 대변인은 "청년실업을 해소하고, 교원부족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결정이라는 점은 이해 한다"며 "주5일 수업, 교과교실제 등으로 인한 교원수요가 증가할 것인데 정부는 땜질식 처방만 반복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전문성이 낮고 이직이 잦은 인턴교사로 공교육의 질을 높인다는 것은 한계가 있다"며 "인턴교사, 기간제교사 등 비정규직 교사를 통한 땜질식 처방을 최소화하고 정규교원을 증원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명박 정부의 공무원 정원 동결 방침에 따라 현재 교원 수는 법정정원보다 턱없이 부족하다. 또 교사 1인당 학생 수(OECD 기준)도 초등학교 21.1명, 중학교 19.6명, 고등학교 16.5명으로 OECD 평균보다 각각 5.1명, 6.4명, 4명이 많다.
한편 시도별 인턴교사 채용 인원은 경기가 1922명으로 가장 많고 서울 988명, 경남 772명, 경북 751명, 부산 698명, 전북 618명, 전남 573명, 충남 560명, 충북 516명, 인천 498명, 대구·강원 각 492명, 대전 360명, 광주 351명, 울산 228명, 제주 181명이다.
채용기간은 방학을 제외하고 총 9개월(3~7월, 9~12월)이다. 보수는 4대 보험 개인 부담금을 포함해 월 120만원 수준을 지급한다. 지원자격은 교원자격증 소지자를 원칙으로 하되 특수교육, 전문상담 등 일부 분야는 예외적으로 관련 자격증 소지자도 지원할 수 있다. 기초생활 보호대상자는 우대한다.
학교별로 14일부터 지원서를 접수하고 채용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세부 사항은 전국 16개 시도 교육청 홈페이지에 게재된 채용공고 안내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장세풍 기자 spj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