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지자체 모두 "광역화장장 아니다" … 도 나서서 '준 광역화장장' 추진해야
경기도 안산시에 이어 시흥시도 '장사시설' 건립을 추진하고 나섰지만 화장장시설 규모와 활용범위를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전국의 모든 공설화장장이 타 지자체도 이용 가능한 광역시설로 운영되고 있어 두 지자체 모두 시설중복투자 등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안산시는 지난해 말 상록구 양상동 159의 4 서락골 일대 7만5000여㎡에 화장로 6기, 봉안당(3만기 규모), 편의시설 등을 갖춘 추모공원 조성계획을 발표했다. 시는 민간이 주도하는 추모공원추진위원회에서 후보지 7곳을 선정, 수십 차례에 걸친 회의를 거쳐 최종 후보지를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해당지역 주민들과 정치권을 중심으로 화장장 반대 운동 움직임이 일고 있다.
특히 해당지역 출신인 민주당 김영환 의원은 "안산의 화장 수요가 1일 3.5인임을 감안할 때 화장로는 1기면 충분하다"며 "화장로 6기 규모의 추모공원을 조성하지 말고 부천 시흥 화성 등 인근 지자체와 함께 광역화장장 건립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안산시는 "광역화장장 건립은 시민정서와 정치적 여건을 고려할 때 현실적으로 추진하기 어렵다"며 반대입장을 밝혔다.
안산시 관계자는 "후보지 7곳을 놓고 검토할 땐 아무 말 없다가 대상지를 결정했는데 이제 와서 광역화장장을 거론하는 것은 진정성이 떨어진다"며 "광역화장장은 이미 도 차원에서 추진했다가 실패한 정책"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시흥시가 봉안당 등을 갖춘 장사시설을 추진하기로 하면서 상황이 복잡해졌다. 시흥시는 종합장사시설을 오는 2014년까지 짓기로 하고 지난 19일 시민, 전문가 등 23명을 '추모공원조성 추진위원'으로 위촉했다. 추진위는 앞으로 화장장 봉안시설 장례식장 등을 포함한 종합장사시설 규모와 추진방향 등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다.
시흥시는 지난 2001년부터 용역을 의뢰하고 충남 등 전국의 화장장을 조사하는 등 장사시설 건립을 추진해왔다. 시흥시는 장사시설과 별도로 시립정황공설묘지 옆 공터 2650㎡에 자연장지를 오는 3월까지 조성하고 택지개발지구 분묘 이전에 대비하기로 했다.
시흥시가 종합장사시설 건립을 추진하고 나서자 안산시의 입장이 난처해졌다. 안산시 관계자는 "김영환 의원이 화성시장을 만나 광역화장장 추진을 제안했지만 수원시가 화성시민도 수원시민과 같은 비용으로 수원연화장을 이용토록 해 문제가 안됐는데 시흥시가 이 시점에 장사시설을 짓겠다고 나서면 일이 복잡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만약 시흥시가 준 광역시설로 추진하겠다면 안산은 즉시 중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시흥시 관계자는 "장사시설의 위치와 규모는 물론 화장장이 포함할 지도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며 "화장장을 설치한다 해도 광역시설이 아닌 자족형으로 설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안산·시흥시와 인접한 지자체들은 '화장장' 문제에서 한 발 물러서는 모양새다. 부천시는 서울 구로구와 경계지역에 추진했던 추모공원 건립계획을 사실상 철회했다. 대신 인천시와 화장장을 공동 이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만약 안산이나 시흥시에 화장장이 들어선다면 화장장 건립을 서두를 필요도 없어진다.
부천지역 시민단체 관계자는 "국·도비 지원을 받아 짓는 공설화장장을 이용료에 차등을 둘 순 있지만 타 지역주민의 이용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없고 운영비 조달 등 시설운영의 효율성 측면에서도 함께 이용하는 게 낫다"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 "이런 딜레마에 빠지지 않으려면 경기도가 앞장서서 중복투자 등 부작용이 없도록 지자체들과 협의해 준 광역화장장 건립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