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9억9천만원
서울지역 지하철 역세권 아파트 중 3호선 주변이 가장 비싼 것으로 조사됐다.
13일 부동산 정보업체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서울지역 내 지하철 1~9호선 도보 10분 거리 역세권 아파트 가구당 평균매매를 조사한 결과 3호선이 9억9220만원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1호선은 평균매매가 4억3033만원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3호선은 강남구와 서초구 송파구 등 강남 3구를 모두 지나고 입지가 좋은 아파트가 대거 몰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3호선 역세권 아파트 가구수는 총 13만316가구지만 시가총액은 129조원으로 가장 많았다. 역세권 아파트 가구수가 가장 많은 곳은 7호선으로 18만9351가구였으며 7호선 시가총액은 48조원에 그쳤다.
3호선 다음으로는 역세권 아파트 값이 높은 노선은 9호선(7억9156만원), 8호선(7억697만원)으로 조사됐다. 8호선의 경우 노선이 짧아 아파트 시가총액은 32조원에 불과했다. 이는 9개 노선 중 가장 작은 액수다. 1호선 역세권 아파트 값은 4억333만원으로 9개 노선 중 가장 낮았다. 이는 1호선이 매매가가 낮은 노원 금천 도봉 성북 지역은 가격을 지나기 때문이다.

오승완 기자 osw@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서울지역 지하철 역세권 아파트 중 3호선 주변이 가장 비싼 것으로 조사됐다.
13일 부동산 정보업체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서울지역 내 지하철 1~9호선 도보 10분 거리 역세권 아파트 가구당 평균매매를 조사한 결과 3호선이 9억9220만원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1호선은 평균매매가 4억3033만원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3호선은 강남구와 서초구 송파구 등 강남 3구를 모두 지나고 입지가 좋은 아파트가 대거 몰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3호선 역세권 아파트 가구수는 총 13만316가구지만 시가총액은 129조원으로 가장 많았다. 역세권 아파트 가구수가 가장 많은 곳은 7호선으로 18만9351가구였으며 7호선 시가총액은 48조원에 그쳤다.
3호선 다음으로는 역세권 아파트 값이 높은 노선은 9호선(7억9156만원), 8호선(7억697만원)으로 조사됐다. 8호선의 경우 노선이 짧아 아파트 시가총액은 32조원에 불과했다. 이는 9개 노선 중 가장 작은 액수다. 1호선 역세권 아파트 값은 4억333만원으로 9개 노선 중 가장 낮았다. 이는 1호선이 매매가가 낮은 노원 금천 도봉 성북 지역은 가격을 지나기 때문이다.

오승완 기자 osw@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