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 노총 정치인 후원 계획서 입수
"한나라당 의원에 70% 이상 갔을 것"
한국노총이 지난 2009년 소속 노조를 대상으로 15억원의 정치후원금을 걷어 여야의원에게 지원키로 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내일신문이 25일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노총은 2009년 8월 열린 제13차 중앙집행위원회에서 노조원 1만5000명을 상대로 1인당 10만원씩 총 15억원의 정치후원금을 모금하기로 결정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산하 금융산업노조와 금속노련에 각각 1억 7300만원으로 가장 많은 액수를 배당했고, 최근 검찰수사를 받고 있는 전력노조는 3400만원을 배정했다.
한국노총은 당시 '하반기 총력투쟁 계획'(안)을 토의하면서 "각 조직은 지역구 국회의원과 간담회를 진행하고 정치후원금도 난제를 풀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해야 한다"며 후원금 모금계획안을 원안대로 통과시켰다.
당시 노총은 노조 전임자임금 금지와 복수노조 시행 등을 담은 노동법을 개정하기 위해 투쟁을 벌이고 있었는데, 각종 집회·농성과 함께 정치권을 상대로 후원금을 모금키로 한 것이다.
노총은 이 계획서대로 집행되지는 않았다고 해명했다. 이 계획에 깊숙이 참여했던 한 관계자는 "해마다 연말정산 때 10만원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정치후원금을 기부해왔다"며 "조합원수에 비례해서 할당을 했지만 실제로 이뤄지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하지만 다른 복수의 노총 및 산별노조 관계자에 따르면 상급단체인 한국노총에 보고만 안됐을 뿐 대부분 조직에서 상당한 액수의 정치후원금이 건네진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들어 검찰수사 등에서 전력노조와 KT링커스노조, 대원고속노조 등 한국노총 소속의 노조가 조합원 명의로 이른바 '쪼개기 후원'을 통해 수억원의 후원금을 전달한 것으로 드러나고 있고, 이 과정에서 노총 전현직 간부가 비중있는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노총 한 관계자는 "당시 한국노총이 한나라당과 정책연대를 맺고 있어서 후원액의 70~80%가 한나라당 의원에게 흘러갔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최근 검찰이 수사를 하고 있는 한 공기업노조의 경우 18대 국회에서 1000만원 이상 후원한 여야의원 18명 가운데 12명이 한나라당 소속인 것으로 파악됐다.
내일신문 취재결과 노동계가 조직적으로 정치후원금을 조달·기부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정치후원금 제도를 전면적으로 재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국노총 김동만 부위원장은 25일 내일신문과의 통화에서 "우리는 선관위가 권장해서 10만원 후원을 한 것"이라며 "이제 와서 수사를 한답시고 난리를 피우고 후원금을 받은 정치인은 나몰라라 하고 있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한편 서울중앙지검 공안부 관계자는 "(한국노총의 정치자금 모금에 대해)그런 사실에 대해서 아는 바 없다"며 "관련 자료를 주면 수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백만호 기자 hopebai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한나라당 의원에 70% 이상 갔을 것"
한국노총이 지난 2009년 소속 노조를 대상으로 15억원의 정치후원금을 걷어 여야의원에게 지원키로 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내일신문이 25일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노총은 2009년 8월 열린 제13차 중앙집행위원회에서 노조원 1만5000명을 상대로 1인당 10만원씩 총 15억원의 정치후원금을 모금하기로 결정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산하 금융산업노조와 금속노련에 각각 1억 7300만원으로 가장 많은 액수를 배당했고, 최근 검찰수사를 받고 있는 전력노조는 3400만원을 배정했다.
한국노총은 당시 '하반기 총력투쟁 계획'(안)을 토의하면서 "각 조직은 지역구 국회의원과 간담회를 진행하고 정치후원금도 난제를 풀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해야 한다"며 후원금 모금계획안을 원안대로 통과시켰다.
당시 노총은 노조 전임자임금 금지와 복수노조 시행 등을 담은 노동법을 개정하기 위해 투쟁을 벌이고 있었는데, 각종 집회·농성과 함께 정치권을 상대로 후원금을 모금키로 한 것이다.
노총은 이 계획서대로 집행되지는 않았다고 해명했다. 이 계획에 깊숙이 참여했던 한 관계자는 "해마다 연말정산 때 10만원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정치후원금을 기부해왔다"며 "조합원수에 비례해서 할당을 했지만 실제로 이뤄지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하지만 다른 복수의 노총 및 산별노조 관계자에 따르면 상급단체인 한국노총에 보고만 안됐을 뿐 대부분 조직에서 상당한 액수의 정치후원금이 건네진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들어 검찰수사 등에서 전력노조와 KT링커스노조, 대원고속노조 등 한국노총 소속의 노조가 조합원 명의로 이른바 '쪼개기 후원'을 통해 수억원의 후원금을 전달한 것으로 드러나고 있고, 이 과정에서 노총 전현직 간부가 비중있는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노총 한 관계자는 "당시 한국노총이 한나라당과 정책연대를 맺고 있어서 후원액의 70~80%가 한나라당 의원에게 흘러갔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최근 검찰이 수사를 하고 있는 한 공기업노조의 경우 18대 국회에서 1000만원 이상 후원한 여야의원 18명 가운데 12명이 한나라당 소속인 것으로 파악됐다.
내일신문 취재결과 노동계가 조직적으로 정치후원금을 조달·기부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정치후원금 제도를 전면적으로 재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국노총 김동만 부위원장은 25일 내일신문과의 통화에서 "우리는 선관위가 권장해서 10만원 후원을 한 것"이라며 "이제 와서 수사를 한답시고 난리를 피우고 후원금을 받은 정치인은 나몰라라 하고 있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한편 서울중앙지검 공안부 관계자는 "(한국노총의 정치자금 모금에 대해)그런 사실에 대해서 아는 바 없다"며 "관련 자료를 주면 수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백만호 기자 hopebai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