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를 상쾌하게 시작하는 것은 아침 기상후 화장실에서의 결과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만큼 배변 곤란은 생활에 불쾌감을 초래하고 하루의 기분을 망치게 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상쾌한 하루를 위해 변비 증상을 개선시키는 생활 습관에 대해 알아보자.
변비의 원인으로는 식사량이 적어 대변이 만들어지기 부족한 경우, 대장운동이 저하된 경우, 직장 항문 주변의 대변 기구가 정상적으로 작용하지 못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변비는 크게 기질성 변비와 기능성 변비로 나누어진다.
기질성 변비는 대장암이나 직장암 탈장 등으로 변비가 되는 경우처럼 변비의 원인이 확실한 경우를 말한다. 이 경우에는 원인이 되는 병이 치료되면 저절로 변비가 해소된다. 이와 달리 기능성 변비는 몸에 특별한 이상이 없는데 대장 기능의 이상으로 변비가 되었을 때를 말하고 대부분 노인이나 여성에게서 빈발하는 변비의 유형이다.
변비는 여성이나 노인 그리고 어린이에게 흔히 나타날 수 있으며 그들의 생활 습관을 살펴서 변비의 원인을 제거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변비를 일으키거나 악화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는 약물 복용(향정신성 약물, 제산제, 항경련제, 고혈압 약물, 항콜린 약물, 철분제제 등) 정신적 상태(우울증 스트레스) 전신질환(당뇨병 갑상선 질환 폐질환 등)과 장관질환 저섬유식이 또는 고칼슘 식이요법 운동부족 등이 있다.
변비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은 대변의 양, 딱딱한 정도, 배변시 들어가는 힘의 양, 배변후의 잔 변감 등 주관적인 요소들이 많기 때문에 배변에 관한 정상범주를 정하기란 매우 어렵다. 그러나 보통 하루 3회에서 주 3회까지의 배변횟수를 정상으로 본다.
배변의 양이 적거나 횟수가 일주일에 2번 또는 그 미만일 경우, 배변시 힘을 많이 주어야 하는 경우, 대변이 너무 딱딱한 경우, 배변후 잔변감이 있는 경우 등의 증상이 있을 때 변비로 간주하고 이를 치료하기 위해 다음의 생활 개선법을 실시해 본다.
먼저 운동량을 증가시키고 정해진 시간에 배변하는 습관을 기른다. 특히 아침식사 후 5-15분 이내에 배변을 시도한다. 양변기에 걸터 앉는것보다 쪼그리고 앉는 자세가 배변에 유리하다. 발밑에 15cm정도 높이의 발받침을 놓고 본다.
배위에 손을 얹고 압박을 가하거나 기침을 하면서 복압을 증가시킨다. 섬유소를 많이 섭취하며 이 때 과일보다 콩 팥 옥수수 수수 조 현미 등 잡곡이 더 유리하다.
수분을 충분히 섭취한다. 스트레스 우울증 정신적인 불안감을 없앤다. 기상시와 취침전에 물 한컵씩을 마신다. 변비를 유발시킬 수 있는 약제의 복용을 확인해 본다. 흔히 먹는 기침약 제산제 진통제 혈압약 등도 변비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김미경 리포터 mikigold@naeil.com
변비의 원인으로는 식사량이 적어 대변이 만들어지기 부족한 경우, 대장운동이 저하된 경우, 직장 항문 주변의 대변 기구가 정상적으로 작용하지 못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변비는 크게 기질성 변비와 기능성 변비로 나누어진다.
기질성 변비는 대장암이나 직장암 탈장 등으로 변비가 되는 경우처럼 변비의 원인이 확실한 경우를 말한다. 이 경우에는 원인이 되는 병이 치료되면 저절로 변비가 해소된다. 이와 달리 기능성 변비는 몸에 특별한 이상이 없는데 대장 기능의 이상으로 변비가 되었을 때를 말하고 대부분 노인이나 여성에게서 빈발하는 변비의 유형이다.
변비는 여성이나 노인 그리고 어린이에게 흔히 나타날 수 있으며 그들의 생활 습관을 살펴서 변비의 원인을 제거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변비를 일으키거나 악화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는 약물 복용(향정신성 약물, 제산제, 항경련제, 고혈압 약물, 항콜린 약물, 철분제제 등) 정신적 상태(우울증 스트레스) 전신질환(당뇨병 갑상선 질환 폐질환 등)과 장관질환 저섬유식이 또는 고칼슘 식이요법 운동부족 등이 있다.
변비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은 대변의 양, 딱딱한 정도, 배변시 들어가는 힘의 양, 배변후의 잔 변감 등 주관적인 요소들이 많기 때문에 배변에 관한 정상범주를 정하기란 매우 어렵다. 그러나 보통 하루 3회에서 주 3회까지의 배변횟수를 정상으로 본다.
배변의 양이 적거나 횟수가 일주일에 2번 또는 그 미만일 경우, 배변시 힘을 많이 주어야 하는 경우, 대변이 너무 딱딱한 경우, 배변후 잔변감이 있는 경우 등의 증상이 있을 때 변비로 간주하고 이를 치료하기 위해 다음의 생활 개선법을 실시해 본다.
먼저 운동량을 증가시키고 정해진 시간에 배변하는 습관을 기른다. 특히 아침식사 후 5-15분 이내에 배변을 시도한다. 양변기에 걸터 앉는것보다 쪼그리고 앉는 자세가 배변에 유리하다. 발밑에 15cm정도 높이의 발받침을 놓고 본다.
배위에 손을 얹고 압박을 가하거나 기침을 하면서 복압을 증가시킨다. 섬유소를 많이 섭취하며 이 때 과일보다 콩 팥 옥수수 수수 조 현미 등 잡곡이 더 유리하다.
수분을 충분히 섭취한다. 스트레스 우울증 정신적인 불안감을 없앤다. 기상시와 취침전에 물 한컵씩을 마신다. 변비를 유발시킬 수 있는 약제의 복용을 확인해 본다. 흔히 먹는 기침약 제산제 진통제 혈압약 등도 변비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김미경 리포터 mikigold@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