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교육종합시스템·에듀팟 분리 … 학부모·교사 지원도 강화
초·중·고생을 위한 각종 독서체험 프로그램이 확대된다. 또 독서 기록이 대학입시와 연결돼 학생들에게 지나친 독후감 기록·관리의 부담을 주고, 독서의 재미와 자발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는 지적에 따라 독서교육종합시스템과 에듀팟의 연계도 분리된다.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4일 오전 서울 양천구 목원초등학교를 방문, 이런 내용을 담은 '초중등학교 독서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독서활성화 방안은 국어교과의 '읽기' 영역을 실제 책을 읽고, 쓰고, 말하고, 토론하는 실천 중심의 독서활동으로 운영하고, 다른 교과에서도 독서와 연계한 주제탐구학습을 늘리도록 했다.
이를 위해 교과부는 교과 시간, 창의적 체험활동, 방과후 활동 등 모든 학교생활 속에서 독서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정규교과에서는 국어교과의 '읽기' 영역을 실천 중심의 독서활동으로 운영하고, 타 교과에서도 독서 연계 주제탐구학습을 확대한다. 창의적 체험활동과 방과후학교에서도 사제동행 독서토론동아리, 독서문학기행, 독서캠프, 문예창작, NIE(신문활용교육) 등 다양한 독서체험프로그램을 활성화한다. 이를 위해 교과별 독서연계형 수업모델을 개발하고, 학교회계에 '독서활동지원' 항목을 신설한다.
학생들의 독서를 도울 수 있도록 교사와 학부모들에 대한 지원도 강화할 계획이다.
교과부는 하반기부터교사 독서교육연구회 500개(교사 5000명)를 지원해 교수법 연구와 실기 연수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지원 대상을 2013년까지 1000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학부모를 위해서는 내년부터 학부모 독서토론 동아리, 자녀 독서지도법 연수 등을 활성화하고, 시도교육청별로 학부모 명예사서과정을 운영한다.
학교 전체에 책을 배치해 언제라도 책을 접할 수 있는 독서환경도 조성된다. 이에 따라 학교도서관을 지속적으로 정비해 나가면서 학급문고, 복도문고를 학교 곳곳에 설치한다. 또 교과교실제 운영학교와 창의경영학교 사업비의 일부를 도서 확충, 독서프로그램 운영 등에 활용하도록 할 계획이다.
교과부는 이에 앞서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독서교육 포털)과 에듀팟(창의적체험활동 기록·관리시스템)을 지난 6월부터 분리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는 에듀팟이 상급학교 진학자료로도 활용되는 상황에서 독서기록을 연계해 학생들에게 과중한 독후감 기록ㆍ관리의 부담을 주고, 독서에 대한 흥미와 자발성을 떨어뜨린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이 밖에 학교·교육청 중심으로 책읽기 운동을 추진하고 '학급문고의 날' '책의 날' '독서의 달' 행사 등 자율운동도 펼친다. '2011년 인문주간'(9.19∼25)에 청소년 인문교양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내년에 학생용 고전 번역·발간에 5억원을 지원한다.
교과부 관계자는 "독서 활성화 방안이 정착되면 학생들은 학교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책과 친해지고, 보다 다양한 독후활동 등 독서 체험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며 "교사와 학부모 또한 독서이력 지도·관리 부담을 줄이고 내실 있는 독서지도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주호 교과부 장관은 이날 서울 목원초에서 6학년2반 교실을 찾아 '아빠는 내 친구'라는 제목의 책에 대한 감상을 나누고 직접 쓴 '아빠의 편지'를 읽었다.
장세풍 기자 spj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초·중·고생을 위한 각종 독서체험 프로그램이 확대된다. 또 독서 기록이 대학입시와 연결돼 학생들에게 지나친 독후감 기록·관리의 부담을 주고, 독서의 재미와 자발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는 지적에 따라 독서교육종합시스템과 에듀팟의 연계도 분리된다.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4일 오전 서울 양천구 목원초등학교를 방문, 이런 내용을 담은 '초중등학교 독서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독서활성화 방안은 국어교과의 '읽기' 영역을 실제 책을 읽고, 쓰고, 말하고, 토론하는 실천 중심의 독서활동으로 운영하고, 다른 교과에서도 독서와 연계한 주제탐구학습을 늘리도록 했다.
이를 위해 교과부는 교과 시간, 창의적 체험활동, 방과후 활동 등 모든 학교생활 속에서 독서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정규교과에서는 국어교과의 '읽기' 영역을 실천 중심의 독서활동으로 운영하고, 타 교과에서도 독서 연계 주제탐구학습을 확대한다. 창의적 체험활동과 방과후학교에서도 사제동행 독서토론동아리, 독서문학기행, 독서캠프, 문예창작, NIE(신문활용교육) 등 다양한 독서체험프로그램을 활성화한다. 이를 위해 교과별 독서연계형 수업모델을 개발하고, 학교회계에 '독서활동지원' 항목을 신설한다.
학생들의 독서를 도울 수 있도록 교사와 학부모들에 대한 지원도 강화할 계획이다.
교과부는 하반기부터교사 독서교육연구회 500개(교사 5000명)를 지원해 교수법 연구와 실기 연수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지원 대상을 2013년까지 1000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학부모를 위해서는 내년부터 학부모 독서토론 동아리, 자녀 독서지도법 연수 등을 활성화하고, 시도교육청별로 학부모 명예사서과정을 운영한다.
학교 전체에 책을 배치해 언제라도 책을 접할 수 있는 독서환경도 조성된다. 이에 따라 학교도서관을 지속적으로 정비해 나가면서 학급문고, 복도문고를 학교 곳곳에 설치한다. 또 교과교실제 운영학교와 창의경영학교 사업비의 일부를 도서 확충, 독서프로그램 운영 등에 활용하도록 할 계획이다.
교과부는 이에 앞서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독서교육 포털)과 에듀팟(창의적체험활동 기록·관리시스템)을 지난 6월부터 분리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는 에듀팟이 상급학교 진학자료로도 활용되는 상황에서 독서기록을 연계해 학생들에게 과중한 독후감 기록ㆍ관리의 부담을 주고, 독서에 대한 흥미와 자발성을 떨어뜨린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이 밖에 학교·교육청 중심으로 책읽기 운동을 추진하고 '학급문고의 날' '책의 날' '독서의 달' 행사 등 자율운동도 펼친다. '2011년 인문주간'(9.19∼25)에 청소년 인문교양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내년에 학생용 고전 번역·발간에 5억원을 지원한다.
교과부 관계자는 "독서 활성화 방안이 정착되면 학생들은 학교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책과 친해지고, 보다 다양한 독후활동 등 독서 체험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며 "교사와 학부모 또한 독서이력 지도·관리 부담을 줄이고 내실 있는 독서지도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주호 교과부 장관은 이날 서울 목원초에서 6학년2반 교실을 찾아 '아빠는 내 친구'라는 제목의 책에 대한 감상을 나누고 직접 쓴 '아빠의 편지'를 읽었다.
장세풍 기자 spj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