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전 성균관대 초빙교수 / 삼정KPMG부회장
장마가 온 산하를 덮었다. 그리고 온갖 오염물과 묶은 찌꺼기들까지 씻어갔다. 그 와중에 하필이면 6월 25일, 6·25를 기억하기 위해 재건한 '호국의 다리'가 끊어졌다.
우리의 6월은 6·15 남북정상회담, 6·25, 6·29 등 역사를 격동치게 했던 기록들로 차고 넘친다. 그런 6월을 이 정부가 출범하고 네번째, 4년을 흘려보냈다.
지난달 21일, 이명박 대통령이 민주평통 간부위원 임명장 수여식에서 "통일은 도둑같이 올 것이다. 통일까지는 그렇게 오래 걸리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한 것으로 보도됐다. 정말로 통일이 도둑처럼 와 통일을 도둑맞으면 어쩌나 걱정된다.
내년은 국회의원 총선거와 대통령선거가 겹쳐 선거로 시작해 선거로 끝나게 되어있다. 어찌 보면 남북문제에 있어 이 정부가 일할 수 있는 기간은 길어야 올 6개월이다. 우선, 당장 현안이 되어 있는 것은 금강산 관광특구 문제다. 북한이 금강산특구에 부동산을 가지고 있는 우리 기업의 재산 처리를 압박하고 있기 때문이다.
북한은 이미 기존의 '금강산관광지구법'을 무효화하고 중국 등 외국인에 대한 금강산 관광 개방을 목적으로 제정한 '금강산국제관광특구법'을 발효시키기 위한 최종 수순을 밟고 있다.
어떻게든 풀어야 한다. 정부는 전 재산을 금강산 관광에 쏟아 붓고 피눈물을 흘리고 있는 우리 기업인들의 피해를 방치해서는 안된다.
MB "통일은 도둑같이 올 것"
정부가 주장하는 금강산관광 재개의 3대 조건(금강산 자산몰수 및 동결조치 철회, 관광객 피격사건의 진상규명과 신변안전보장 및 재발방지,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및 북핵에 대한 태도변화)도 이제는 유연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북측의 변화를 유도하면서 관광객의 숫자를 제한적으로 허용하는 등 북의 호응에 응답하는 단계적인 대응으로 전환했으면 싶다. 특히, 단기간에 해결이 어려운 북핵이나 천안함 및 연평도 포격 같은 정치 군사적인 문제와 연계시킬 경우 금강산 관광 재개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렇게 되면 현대아산의 금강산관광독점권의 박탈로 인한 국익의 손실도 엄청나다. 금강산관광에서 북측으로 흘러 들어가는 현금이 걱정이라면 이 또한 적절한 수준으로 통제하는 장치는 얼마든지 만들 수 있다. 북한의 변화를 압박할 수 있는 카드 또한 금강산 말고도 많다.
최근 북한의 남북비밀접촉 폭로로 남북관계를 개선하고자 하는 정부의 의지는 확인됐다. 기왕에 정부가 그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다면 굳이 '남북정상회담' 같은 대형 이벤트로 일거에 남북관계를 개선시키기보다는 오히려 점진적이면서 안정성 있는 관계 정상화가 더 바람직하다.
통일이 도둑처럼 와 우왕좌왕하는 것보다는 시민사회 차원에서 평화적 교류과 정서적 통합을 확고히 함으로써 남북관계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금강산 관광, 포기해선 안돼
중국은 북한으로 다리를 놓고 길을 닦는데 정작, 남북은 길도 막히고 다리도 끊겼다. 호국의 다리가 무너진 것도 역사는 기억하되 상처는 지우라는 뜻 같다.
정부가 과거에 내세웠던 조건에 얽매어 남북문제를 진전시키지 못한다면, 이 정부의 대북정책은 정치적 목적에 활용하기 위한 하나의 이벤트일 뿐이라는 불신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다. 어떤 상황에서라도 북한에 대한 실효적 지배권이 중국으로 넘어가는 것만은 막아야 하지 않겠는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장마가 온 산하를 덮었다. 그리고 온갖 오염물과 묶은 찌꺼기들까지 씻어갔다. 그 와중에 하필이면 6월 25일, 6·25를 기억하기 위해 재건한 '호국의 다리'가 끊어졌다.
우리의 6월은 6·15 남북정상회담, 6·25, 6·29 등 역사를 격동치게 했던 기록들로 차고 넘친다. 그런 6월을 이 정부가 출범하고 네번째, 4년을 흘려보냈다.
지난달 21일, 이명박 대통령이 민주평통 간부위원 임명장 수여식에서 "통일은 도둑같이 올 것이다. 통일까지는 그렇게 오래 걸리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한 것으로 보도됐다. 정말로 통일이 도둑처럼 와 통일을 도둑맞으면 어쩌나 걱정된다.
내년은 국회의원 총선거와 대통령선거가 겹쳐 선거로 시작해 선거로 끝나게 되어있다. 어찌 보면 남북문제에 있어 이 정부가 일할 수 있는 기간은 길어야 올 6개월이다. 우선, 당장 현안이 되어 있는 것은 금강산 관광특구 문제다. 북한이 금강산특구에 부동산을 가지고 있는 우리 기업의 재산 처리를 압박하고 있기 때문이다.
북한은 이미 기존의 '금강산관광지구법'을 무효화하고 중국 등 외국인에 대한 금강산 관광 개방을 목적으로 제정한 '금강산국제관광특구법'을 발효시키기 위한 최종 수순을 밟고 있다.
어떻게든 풀어야 한다. 정부는 전 재산을 금강산 관광에 쏟아 붓고 피눈물을 흘리고 있는 우리 기업인들의 피해를 방치해서는 안된다.
MB "통일은 도둑같이 올 것"
정부가 주장하는 금강산관광 재개의 3대 조건(금강산 자산몰수 및 동결조치 철회, 관광객 피격사건의 진상규명과 신변안전보장 및 재발방지,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및 북핵에 대한 태도변화)도 이제는 유연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북측의 변화를 유도하면서 관광객의 숫자를 제한적으로 허용하는 등 북의 호응에 응답하는 단계적인 대응으로 전환했으면 싶다. 특히, 단기간에 해결이 어려운 북핵이나 천안함 및 연평도 포격 같은 정치 군사적인 문제와 연계시킬 경우 금강산 관광 재개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렇게 되면 현대아산의 금강산관광독점권의 박탈로 인한 국익의 손실도 엄청나다. 금강산관광에서 북측으로 흘러 들어가는 현금이 걱정이라면 이 또한 적절한 수준으로 통제하는 장치는 얼마든지 만들 수 있다. 북한의 변화를 압박할 수 있는 카드 또한 금강산 말고도 많다.
최근 북한의 남북비밀접촉 폭로로 남북관계를 개선하고자 하는 정부의 의지는 확인됐다. 기왕에 정부가 그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다면 굳이 '남북정상회담' 같은 대형 이벤트로 일거에 남북관계를 개선시키기보다는 오히려 점진적이면서 안정성 있는 관계 정상화가 더 바람직하다.
통일이 도둑처럼 와 우왕좌왕하는 것보다는 시민사회 차원에서 평화적 교류과 정서적 통합을 확고히 함으로써 남북관계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금강산 관광, 포기해선 안돼
중국은 북한으로 다리를 놓고 길을 닦는데 정작, 남북은 길도 막히고 다리도 끊겼다. 호국의 다리가 무너진 것도 역사는 기억하되 상처는 지우라는 뜻 같다.
정부가 과거에 내세웠던 조건에 얽매어 남북문제를 진전시키지 못한다면, 이 정부의 대북정책은 정치적 목적에 활용하기 위한 하나의 이벤트일 뿐이라는 불신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다. 어떤 상황에서라도 북한에 대한 실효적 지배권이 중국으로 넘어가는 것만은 막아야 하지 않겠는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