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성공장 재가동 결정 … 박카스D는 계속 약국에만 공급
동아제약이 판매를 중단했던 박카스F를 슈퍼판매용으로 다시 생산키로 했다. 박카스D는 계속 약국에만 공급할 방침이다.
동아제약은 17일 "생산이 중단됐던 박카스F를 약국 외 유통채널에 공급키로 했다"며 "오늘 (박카스F를) 의약외품으로 제조품목 허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박카스F는 지난 2005년 3월 현재의 박카스D로 변경되면서 생산이 중단된 품목이다. 새로 생산되는 제품은 현재 유통되고 있는 박카스D(100ml)보다 용량이 20ml 늘어났으며 타우린 함량을 낮추고 카르니틴을 함유하게 된다.
가격은 박카스D보다 다소 비싸질 전망이다.
카르니틴은 지방산을 대사하여 에너지로 변환되는데 필요한 영양소로 소화기능 항진, 심장활력 증대 등에 효과가 있다는 설명이다.
동아제약은 박카스F를 생산하기 위해 올 2월 폐쇄했던 달성공장을 재가동키로 했다. 유해성논란을 낳았던 보존제 '벤조산나트륨'을 첨가하는 대신 열처리 방식의 무균시설을 우선 설치·가동할 방침이다.
무균시설을 가동할 경우 최대 월 400만병 정도를 추석 전까지 약국 외 일반유통망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동아제약 관계자는 "8개월 후 저온살균처리공법의 후살균처리시설까지 완전히 갖추어 지면 대량생산이 가능해질 것"이라며 "소비자들도 보존제 고민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박카스D와 F를 별도로 생산·유통키로 한 것은 한 가지 제품을 약국과 슈퍼에서 동시에 팔 경우 가격관리가 어려워질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동아제약은 "향후 박카스 유통에 관해 내부적으로 많이 고민한 결과"라며 "유통가격에 대한 우려가 큰 만큼 고심 끝에 내린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재걸 기자 claritas@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동아제약이 판매를 중단했던 박카스F를 슈퍼판매용으로 다시 생산키로 했다. 박카스D는 계속 약국에만 공급할 방침이다.
동아제약은 17일 "생산이 중단됐던 박카스F를 약국 외 유통채널에 공급키로 했다"며 "오늘 (박카스F를) 의약외품으로 제조품목 허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박카스F는 지난 2005년 3월 현재의 박카스D로 변경되면서 생산이 중단된 품목이다. 새로 생산되는 제품은 현재 유통되고 있는 박카스D(100ml)보다 용량이 20ml 늘어났으며 타우린 함량을 낮추고 카르니틴을 함유하게 된다.
가격은 박카스D보다 다소 비싸질 전망이다.
카르니틴은 지방산을 대사하여 에너지로 변환되는데 필요한 영양소로 소화기능 항진, 심장활력 증대 등에 효과가 있다는 설명이다.
동아제약은 박카스F를 생산하기 위해 올 2월 폐쇄했던 달성공장을 재가동키로 했다. 유해성논란을 낳았던 보존제 '벤조산나트륨'을 첨가하는 대신 열처리 방식의 무균시설을 우선 설치·가동할 방침이다.
무균시설을 가동할 경우 최대 월 400만병 정도를 추석 전까지 약국 외 일반유통망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동아제약 관계자는 "8개월 후 저온살균처리공법의 후살균처리시설까지 완전히 갖추어 지면 대량생산이 가능해질 것"이라며 "소비자들도 보존제 고민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박카스D와 F를 별도로 생산·유통키로 한 것은 한 가지 제품을 약국과 슈퍼에서 동시에 팔 경우 가격관리가 어려워질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동아제약은 "향후 박카스 유통에 관해 내부적으로 많이 고민한 결과"라며 "유통가격에 대한 우려가 큰 만큼 고심 끝에 내린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재걸 기자 claritas@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