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규모 … 연간 발전량 소양강댐 1.56배
가로림만 등 4곳 추가 추진 … 시민단체 "환경파괴" 반발
국토해양부와 지식경제부는 29일 오후 3시 경기도 안산시 시화방조제에서 '시화호 조력발전소 녹색발전 기념행사'를 개최한다고 29일 밝혔다.
이 자리에는 박재완 기획재정부장관, 권도엽 국토해양부 장관, 최중경지식경제부장관, 장광근 국토해양위원장, 김문수 경기도지사 등 정·관계 인사와 지역주민 1200여명이 참석해 시화호 조력발전소의 성공적인 준공을 축하한다.
시화호 조력발전소는 2004년 12월 착공, 7년간의 공사 끝에 12월 준공을 앞두고 있다. 현재 발전시설에 대한 공사는 마무리했고, 발전소 외부 조경공사와 발전소 옆에 들어설 공원, 홍보관 마무리 공사만 남겨두고 있는 상태다. 시화호 조력발전소의 공식적인 발전은 11월 시작할 예정이다. 하지만 늘어나는 여름철 전력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이달 초부터 총 10기의 발전기 중 시험운전을 마친 6기를 우선 가동 중이다.
시화호 조력발전소 시설용량은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프랑스 랑스 조력발전소(24만kW)보다 큰 25만4000kW 규모다. 연간 발전량은 5억5200만kWh. 소양강댐의 1.56배다. 인구 50만 도시의 가정에 공급할 수 있는 양이다.
시화호 조력발전소는 환경적인 면에서도 효과를 발휘한다.
수문을 통해 하루 1억5000만톤의 해수가 순환된다. 이렇게 되면 시화호 수질이 현재의 화학적산소요구량(COD) 3.7ppm에서 먼 바다와 같은 2ppm 수준으로 개선된다. 시화방조제로 폐쇄됐던 상류 지역에는 새로운 갯벌이 형성돼 철새 등 다양한 생물이 서식할 것으로 국토부는 기대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시화호 조력발전소는 연간 약 942억원의 유류 수입비용을 절약하고, 31만5000톤의 이산화탄소가 저감돼 66억원이 절감되는 등 국가에너지 자급도 향상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화호 조력발전소 위치도. 사진 국토해양부 제공
이런 이유로 국내에서는 시화조력발전소 외에도 충남 태안군과 서산 앞바다(가로림),인천 강화군 앞바다(강화만),충남 당진군과 경기 평택 앞바다(아산만),인천 영종도 북단(인천만) 등 서해안 4곳에 추가로 조력발전소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가로림만 조력발전소는 2014년 완공을 목표로 환경영향평가가 실시 중이다. 그러나 조력발전소 건립이 정부 계획대로 진행될 지는 미지수다. 조력발전에 대한 반대도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조력발전이 갯벌을 훼손함에 따라 환경을 파괴하고, 서해안 수산자원에 심각한 영향을 미쳐 어민 생존권을 위협한다는 지적이다.
현재 정부의 조력발전소 건설에 반대하는 시민·환경단체들이 모여 입법 청원운동을 펼치고 있다. 조력발전을 신재생에너지로 규정한 관련 법을 개정하기 위해 주민서명을 받은 입법 청원서를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다.
김병국 기자 bg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가로림만 등 4곳 추가 추진 … 시민단체 "환경파괴" 반발
국토해양부와 지식경제부는 29일 오후 3시 경기도 안산시 시화방조제에서 '시화호 조력발전소 녹색발전 기념행사'를 개최한다고 29일 밝혔다.
이 자리에는 박재완 기획재정부장관, 권도엽 국토해양부 장관, 최중경지식경제부장관, 장광근 국토해양위원장, 김문수 경기도지사 등 정·관계 인사와 지역주민 1200여명이 참석해 시화호 조력발전소의 성공적인 준공을 축하한다.
시화호 조력발전소는 2004년 12월 착공, 7년간의 공사 끝에 12월 준공을 앞두고 있다. 현재 발전시설에 대한 공사는 마무리했고, 발전소 외부 조경공사와 발전소 옆에 들어설 공원, 홍보관 마무리 공사만 남겨두고 있는 상태다. 시화호 조력발전소의 공식적인 발전은 11월 시작할 예정이다. 하지만 늘어나는 여름철 전력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이달 초부터 총 10기의 발전기 중 시험운전을 마친 6기를 우선 가동 중이다.
시화호 조력발전소 시설용량은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프랑스 랑스 조력발전소(24만kW)보다 큰 25만4000kW 규모다. 연간 발전량은 5억5200만kWh. 소양강댐의 1.56배다. 인구 50만 도시의 가정에 공급할 수 있는 양이다.
시화호 조력발전소는 환경적인 면에서도 효과를 발휘한다.
수문을 통해 하루 1억5000만톤의 해수가 순환된다. 이렇게 되면 시화호 수질이 현재의 화학적산소요구량(COD) 3.7ppm에서 먼 바다와 같은 2ppm 수준으로 개선된다. 시화방조제로 폐쇄됐던 상류 지역에는 새로운 갯벌이 형성돼 철새 등 다양한 생물이 서식할 것으로 국토부는 기대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시화호 조력발전소는 연간 약 942억원의 유류 수입비용을 절약하고, 31만5000톤의 이산화탄소가 저감돼 66억원이 절감되는 등 국가에너지 자급도 향상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화호 조력발전소 위치도. 사진 국토해양부 제공
이런 이유로 국내에서는 시화조력발전소 외에도 충남 태안군과 서산 앞바다(가로림),인천 강화군 앞바다(강화만),충남 당진군과 경기 평택 앞바다(아산만),인천 영종도 북단(인천만) 등 서해안 4곳에 추가로 조력발전소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가로림만 조력발전소는 2014년 완공을 목표로 환경영향평가가 실시 중이다. 그러나 조력발전소 건립이 정부 계획대로 진행될 지는 미지수다. 조력발전에 대한 반대도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조력발전이 갯벌을 훼손함에 따라 환경을 파괴하고, 서해안 수산자원에 심각한 영향을 미쳐 어민 생존권을 위협한다는 지적이다.
현재 정부의 조력발전소 건설에 반대하는 시민·환경단체들이 모여 입법 청원운동을 펼치고 있다. 조력발전을 신재생에너지로 규정한 관련 법을 개정하기 위해 주민서명을 받은 입법 청원서를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다.
김병국 기자 bg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