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수능에서는 대학마다 논술·심층면접 실시 여부가 다르고 점수 반영비율 등도 등이 제각기 다르므로 자신이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의 전형 요강을 미리 꼼꼼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이번 대학입시에서는 원점수를 활용하는 대학이 거의 없고 대부분의 대학이 변환표준점수와 수능 등급 등을 사용하므로 자신의 점수에 유리한 부분을 많이 반영하는 대학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서울대= 16개 모집단위에서 2단계 전형을 거치며 논술고사는 없으며 심층면접으로 학생을 선발한다.
수능성적 1등급 및 수능성적 2등급자 중 2개 영역 이상 만점자나 최상위 3% 이내에 속해야 지원이 가능하다.
1단계에서는 수능 3∼4개 영역별 합산점수와 봉사활동내역·추천서·자기소개서·수상경력 등 비교과영역 성적을 토대로 정원의 2배수(미대는 3배수)를 뽑는다. 2단계에서 학교생활기록부상의 교과성적 60%(자연대·공대 50%), 비교과성적 25%·심층면접·구술고사 15%(자연대·공대 25%) 등을 반영해 합격자를 선발한다.
1단계 영역별 반영 내용은 인문대, 법대, 사범대, 농생명대는 언어+사탐+외국어+제2외국어(292점 만점), 사회대, 경영대는 언어+수리+사탐+외국어(352점 만점), 자연계는 언어+수리+외국어(272점만점)로 단과대별로 반영 영역이 다르다.
영역별 점수는 언어, 수리, 외국어 영역은 원점수를 반영하고 사탐, 과탐은 서울대가 자체적으로 산출한 표준점수를 제2외국어영역은 표준점수의 백분위점수를 활용한 후 서울대가 자체적으로 산출한 점수를 반영한다.
◇연세대 = 수능성적(476점 만점)과 학생부 성적(400점 만점)만으로 모집인원의50%를 뽑고, 나머지 50%는 수능성적(400점)과 학생부성적(400점), 논술(35점), 서류평가(15점)로 학생을 선발한다.
학생부 성적 반영을 평어(수우미양가)로 하기 때문에 수능성적이 당락에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또 수능 가중치도 적용돼 인문계는 사탐, 자연계는 과탐에 각각 50%를 적용한다.
서울캠퍼스 인문계열에만 반영되는 제2외국어 점수는 10점 만점이다.
◇고려대 = 수능성적(50%)과 학생부(40%), 논술(10%) 점수를 합산한다.
수능점수는 인문계열은 과탐을 제외한 4개 영역을 자연계는 사탐을 제외한 4개영역을 반영한다. 가중치도 적용돼 인문계는 수리와 외국어, 자연계는 수리와 과탐에 50%씩 부여된다.
서울캠퍼스 인문계열에만 반영되는 제2외국어 점수는 4점 만점으로 통일했다.
◇서강대 = 1단계로 수능시험 4개 영역의 성적을 합산, 모집인원의 250%를 걸러낸 뒤 2단계에서 수능영역별 점수로 모집인원의 20%를 뽑고 3단계에서 나머지 인원을 수능성적과 학생부성적 논술을 합산해 합격자를 확정한다.
◇이화여대 = 수능 1등급 지원자 중에서 수능시험 4개 영역 점수를 합산한 성적만으로 최대 절반까지 선발한다.
모집인원의 10%는 인문계의 경우 수능시험의 언어·외국어영역·논술 총점으로 뽑고 자연계는 수능시험의 수리·과학탐구·외국어영역의 총점으로 선발한다. 인문과학대학 및 사회과학대학 모집자 중 10%는 4점 만점으로 환산한 제2외국어 영역 성적을 합산한 수능 총점으로 선발한다. 나머지는 수능성적, 학생부성적, 논술, 자기소개서를 합산해 합격자를 가린다.
◇성균관대 = 수능(57%), 학생부(40%), 논술(3%) 점수를 일괄 합산해 선발한다.
정시모집 심층면접은 없고 논술고사 시험시간과 양을 120분, 1500자로 늘렸으며 내용도 통합교과형으로 출제한다.
◇한양대 = 가, 나, 다 3개군으로 나눠 3758명을 모집한다.
‘가’군은 인문·사회, 자연, 예체능계열 대부분의 학과에서 모집하며 인문사회계열의 경우 수능성적(58%), 학생부성적(40%), 논술(2%)을 합산하며, 자연계는 수능(60%)과 학생부(40%) 성적을 반영한다. ‘나’군은 공대 4개학부와 생활체육과학대, ‘다’군은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사회과학부, 법학과, 경제학부를 선발한다.
특히 이번 대학입시에서는 원점수를 활용하는 대학이 거의 없고 대부분의 대학이 변환표준점수와 수능 등급 등을 사용하므로 자신의 점수에 유리한 부분을 많이 반영하는 대학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서울대= 16개 모집단위에서 2단계 전형을 거치며 논술고사는 없으며 심층면접으로 학생을 선발한다.
수능성적 1등급 및 수능성적 2등급자 중 2개 영역 이상 만점자나 최상위 3% 이내에 속해야 지원이 가능하다.
1단계에서는 수능 3∼4개 영역별 합산점수와 봉사활동내역·추천서·자기소개서·수상경력 등 비교과영역 성적을 토대로 정원의 2배수(미대는 3배수)를 뽑는다. 2단계에서 학교생활기록부상의 교과성적 60%(자연대·공대 50%), 비교과성적 25%·심층면접·구술고사 15%(자연대·공대 25%) 등을 반영해 합격자를 선발한다.
1단계 영역별 반영 내용은 인문대, 법대, 사범대, 농생명대는 언어+사탐+외국어+제2외국어(292점 만점), 사회대, 경영대는 언어+수리+사탐+외국어(352점 만점), 자연계는 언어+수리+외국어(272점만점)로 단과대별로 반영 영역이 다르다.
영역별 점수는 언어, 수리, 외국어 영역은 원점수를 반영하고 사탐, 과탐은 서울대가 자체적으로 산출한 표준점수를 제2외국어영역은 표준점수의 백분위점수를 활용한 후 서울대가 자체적으로 산출한 점수를 반영한다.
◇연세대 = 수능성적(476점 만점)과 학생부 성적(400점 만점)만으로 모집인원의50%를 뽑고, 나머지 50%는 수능성적(400점)과 학생부성적(400점), 논술(35점), 서류평가(15점)로 학생을 선발한다.
학생부 성적 반영을 평어(수우미양가)로 하기 때문에 수능성적이 당락에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또 수능 가중치도 적용돼 인문계는 사탐, 자연계는 과탐에 각각 50%를 적용한다.
서울캠퍼스 인문계열에만 반영되는 제2외국어 점수는 10점 만점이다.
◇고려대 = 수능성적(50%)과 학생부(40%), 논술(10%) 점수를 합산한다.
수능점수는 인문계열은 과탐을 제외한 4개 영역을 자연계는 사탐을 제외한 4개영역을 반영한다. 가중치도 적용돼 인문계는 수리와 외국어, 자연계는 수리와 과탐에 50%씩 부여된다.
서울캠퍼스 인문계열에만 반영되는 제2외국어 점수는 4점 만점으로 통일했다.
◇서강대 = 1단계로 수능시험 4개 영역의 성적을 합산, 모집인원의 250%를 걸러낸 뒤 2단계에서 수능영역별 점수로 모집인원의 20%를 뽑고 3단계에서 나머지 인원을 수능성적과 학생부성적 논술을 합산해 합격자를 확정한다.
◇이화여대 = 수능 1등급 지원자 중에서 수능시험 4개 영역 점수를 합산한 성적만으로 최대 절반까지 선발한다.
모집인원의 10%는 인문계의 경우 수능시험의 언어·외국어영역·논술 총점으로 뽑고 자연계는 수능시험의 수리·과학탐구·외국어영역의 총점으로 선발한다. 인문과학대학 및 사회과학대학 모집자 중 10%는 4점 만점으로 환산한 제2외국어 영역 성적을 합산한 수능 총점으로 선발한다. 나머지는 수능성적, 학생부성적, 논술, 자기소개서를 합산해 합격자를 가린다.
◇성균관대 = 수능(57%), 학생부(40%), 논술(3%) 점수를 일괄 합산해 선발한다.
정시모집 심층면접은 없고 논술고사 시험시간과 양을 120분, 1500자로 늘렸으며 내용도 통합교과형으로 출제한다.
◇한양대 = 가, 나, 다 3개군으로 나눠 3758명을 모집한다.
‘가’군은 인문·사회, 자연, 예체능계열 대부분의 학과에서 모집하며 인문사회계열의 경우 수능성적(58%), 학생부성적(40%), 논술(2%)을 합산하며, 자연계는 수능(60%)과 학생부(40%) 성적을 반영한다. ‘나’군은 공대 4개학부와 생활체육과학대, ‘다’군은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사회과학부, 법학과, 경제학부를 선발한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