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5.7명의 노인이 교통사고로 사망하고, 70명이 부상을 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사실은 ‘바른 운전자들의 모임’(공동대표 설재훈 최재수)이 노인의 날(2일)을 맞아 노인 교통사고 실태를 조사한 결과 드러났다.
이 모임은 “지난 10년간의 경찰청 통계를 분석한 결과, 14세 이하 어린이 교통사고는 65.7% 감소한 반면, 60세 이상 노인은 5.0% 증가했다”면서 “노인들의 특성을 고려한 교통사고 안전대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노인 교통사고 사망자수는 연간 2066명, 부상자수는 2만5462명. 노인 10만명 당 교통사고 사망자수는 67.9명으로 영국(8.5명) 노르웨이(10.4명) 독일(10.7명) 스웨덴(11.1명) 오스트레일리아(12.7명) 등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주요국 평균의 6배에 달한다.
설재훈 공동대표는 “노인들의 걸음 속도는 일반인(1.2m/초)의 3분의 2에 불과, 노인 보행자 사고의 70%가 횡단보도 후반부에서 발생한다”면서 “보행자의 움직임을 주시하는 운전 습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같은 사실은 ‘바른 운전자들의 모임’(공동대표 설재훈 최재수)이 노인의 날(2일)을 맞아 노인 교통사고 실태를 조사한 결과 드러났다.
이 모임은 “지난 10년간의 경찰청 통계를 분석한 결과, 14세 이하 어린이 교통사고는 65.7% 감소한 반면, 60세 이상 노인은 5.0% 증가했다”면서 “노인들의 특성을 고려한 교통사고 안전대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노인 교통사고 사망자수는 연간 2066명, 부상자수는 2만5462명. 노인 10만명 당 교통사고 사망자수는 67.9명으로 영국(8.5명) 노르웨이(10.4명) 독일(10.7명) 스웨덴(11.1명) 오스트레일리아(12.7명) 등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주요국 평균의 6배에 달한다.
설재훈 공동대표는 “노인들의 걸음 속도는 일반인(1.2m/초)의 3분의 2에 불과, 노인 보행자 사고의 70%가 횡단보도 후반부에서 발생한다”면서 “보행자의 움직임을 주시하는 운전 습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