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총점을 공개하지 않아 학부모·학생·일선 진학지도교사들이 혼란을 거듭하고 있는 가운데 교육인적자원부가 4일 ‘수능총점 비공개’원칙을 재차 밝히면서 이를 둘러싼 반발과 혼란은 더욱 심해질 전망이다.
교육부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수능 총점을 전형기준으로 활용하는 것은 학생들의 특기·적성 개발의 교육과정 운영을 근원적으로 어렵게 할 수 있다”며 “총점 사용은 전 과목을 준비해야함으로써 수험생 부담과 사교육비를 늘리며 총점에 따른 대학 서열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고 석차 공개 불가방침을 밝혔다.
총점 따른 석차 공개가 대학지원을 위해 현실적으로 필요하다는 여론에 대해서도 “진로지도 교사와 학생들의 불안을 야기할 수 있음을 이해하지만 총점 위주의 선발이 주는 폐해를 방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교육정책의 방향”이라고 전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부의 입장에 대해 학생·학부모들은 불만을 토로하고 나섰다.
올해 재수를 한 오 모(20·광주시 동구)씨는 “성적이 잘 나왔어도 총점을 알 수 없어 막막하다”며 “원하던 대학으로의 합격을 자신할 수 없어 분산지원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오씨는 현재 소신지원과 안정지원을 겸해 서울 소재 상위권 인기학과 한 곳과 지방 대학에 지원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고3생 수험생인 강 모(19·경기도 남양주)씨는 “성적이 나오자마자 주변에 재수하겠다고 나서는 친구들이 많다”며 “자신의 석차를 제대로 모르니까 나쁜 성적에만 연연하게 돼 무작정 재수를 결심하게 되는 등 문제가 많다”고 말했다.
고3 수험생을 둔 김 모(52·부천시 원미동)씨도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으로 문제가 출제돼 평균성적이 차이 없었다면 작년 합격선 등을 참고해 지원가능하므로 석차공개를 하지 않아도 된다”며 “그러나 갑자기 폭락한 점수 때문에 비교할 객관적 자료가 없는 데 무조건 석차 공개를 하지 않는다는 것은 교육부가 명분에만 연연해 정작 학생에게 무엇이 필요한지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씨는 또 “대학들은 지원학생들을 보고 석차를 매길 수 있을 텐데 정작 지원자들은 수능 총점을 알려주지 않느냐”라며 “결국 피해자는 학생 당사자일 수 밖에 없다”며 총점 공개의 필요성에 대해 역설했다.
교육부의 총점 비공개 방침을 재차 발표한 이후 교육부 홈페이지에는 ‘더 늦기 전에 공개하라’는 학부모·학생들의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
‘안티에듀(antiedu)’라고 밝힌 네티즌은 “총점누적인원이 별 의미가 없다면 왜 이렇게 당사자들이 날뛰고 있겠습니까. 이번에도 83년생 너희들이 희생타가 되라는 겁니까”라며 “처음부터 졸속으로 시작한 83년 교육정책을 끝까지 졸속으로 끌고 나가려고 하는 것 같다”고 비난했다.
‘삼수생’아이디를 쓴 수험생도 “시험 어렵게 내고 감으로 풀게 하더니 이젠 자기점수가 어느정돈지 파악도 못하게 하고 대학지원하라는 건가”라며 “총점 분포표를 공개하지 않는다고 과연 대학서열이 없어질지 의문이다”고 꼬집었다.
총점 분포표를 비공개 원칙에 대해 일선 학교 진학지도 교사들의 불만도 터져나오고 있다.
10년 동안 입시 지도를 해왔다는 서울 S고 진학담당교사도 “교육부가 총점 분포표를 공개하지 않아 진학 지도를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며 “객관적 자료가 없는 탓에 사설 입시 기관에서 내놓는 점수대별 지원가능 대학을 참고하고는 있지만 각 기관별로 편차가 커서 혼란스럽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수능 총점을 전형기준으로 활용하는 것은 학생들의 특기·적성 개발의 교육과정 운영을 근원적으로 어렵게 할 수 있다”며 “총점 사용은 전 과목을 준비해야함으로써 수험생 부담과 사교육비를 늘리며 총점에 따른 대학 서열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고 석차 공개 불가방침을 밝혔다.
총점 따른 석차 공개가 대학지원을 위해 현실적으로 필요하다는 여론에 대해서도 “진로지도 교사와 학생들의 불안을 야기할 수 있음을 이해하지만 총점 위주의 선발이 주는 폐해를 방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교육정책의 방향”이라고 전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부의 입장에 대해 학생·학부모들은 불만을 토로하고 나섰다.
올해 재수를 한 오 모(20·광주시 동구)씨는 “성적이 잘 나왔어도 총점을 알 수 없어 막막하다”며 “원하던 대학으로의 합격을 자신할 수 없어 분산지원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오씨는 현재 소신지원과 안정지원을 겸해 서울 소재 상위권 인기학과 한 곳과 지방 대학에 지원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고3생 수험생인 강 모(19·경기도 남양주)씨는 “성적이 나오자마자 주변에 재수하겠다고 나서는 친구들이 많다”며 “자신의 석차를 제대로 모르니까 나쁜 성적에만 연연하게 돼 무작정 재수를 결심하게 되는 등 문제가 많다”고 말했다.
고3 수험생을 둔 김 모(52·부천시 원미동)씨도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으로 문제가 출제돼 평균성적이 차이 없었다면 작년 합격선 등을 참고해 지원가능하므로 석차공개를 하지 않아도 된다”며 “그러나 갑자기 폭락한 점수 때문에 비교할 객관적 자료가 없는 데 무조건 석차 공개를 하지 않는다는 것은 교육부가 명분에만 연연해 정작 학생에게 무엇이 필요한지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씨는 또 “대학들은 지원학생들을 보고 석차를 매길 수 있을 텐데 정작 지원자들은 수능 총점을 알려주지 않느냐”라며 “결국 피해자는 학생 당사자일 수 밖에 없다”며 총점 공개의 필요성에 대해 역설했다.
교육부의 총점 비공개 방침을 재차 발표한 이후 교육부 홈페이지에는 ‘더 늦기 전에 공개하라’는 학부모·학생들의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
‘안티에듀(antiedu)’라고 밝힌 네티즌은 “총점누적인원이 별 의미가 없다면 왜 이렇게 당사자들이 날뛰고 있겠습니까. 이번에도 83년생 너희들이 희생타가 되라는 겁니까”라며 “처음부터 졸속으로 시작한 83년 교육정책을 끝까지 졸속으로 끌고 나가려고 하는 것 같다”고 비난했다.
‘삼수생’아이디를 쓴 수험생도 “시험 어렵게 내고 감으로 풀게 하더니 이젠 자기점수가 어느정돈지 파악도 못하게 하고 대학지원하라는 건가”라며 “총점 분포표를 공개하지 않는다고 과연 대학서열이 없어질지 의문이다”고 꼬집었다.
총점 분포표를 비공개 원칙에 대해 일선 학교 진학지도 교사들의 불만도 터져나오고 있다.
10년 동안 입시 지도를 해왔다는 서울 S고 진학담당교사도 “교육부가 총점 분포표를 공개하지 않아 진학 지도를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며 “객관적 자료가 없는 탓에 사설 입시 기관에서 내놓는 점수대별 지원가능 대학을 참고하고는 있지만 각 기관별로 편차가 커서 혼란스럽다”고 말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