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반 공사·외자유치 중단 위기
시의회, 미사일부대 이전 관련 예산 삭감
인천시 송도 미사일부대 영종도 이전을 위한 시 예산이 시의회로부터 6일 삭감되자 송도신도시 건설이 전면 중단 위기에 부딪혔다.
인천시의회 건설위원회는 6일 예산안 심의를 갖고 미사일부대 이전과 관련한 부지매입비와 건물 건축비 등 87억원의 예산을 삭감했다.
인천시는 미사일부대로 인한 고도제한으로 송도신도시 건설이 차질을 빚자 국방부와 사전 협의해 송도신도시로 이전을 준비중이었다.
그러나 영종도 주민들을 비롯한 인천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은 '영종 미사일 저지 대책위'를 구성해 강력히 반발해왔으며 시의회는 이러한 주민들의 여론을 감안해 미사일부대 이전 예산안을 삭감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사일부대가 송도신도시 인근에 그대로 남겨질 경우 고도제한 등 관련 법안에 따라 현재 계획중이 송도신도시 조성사업 계획이 늦추어질 예정이다.
특히 송도테크노파크는 물로 외자유치를 통한 에이즈백신 공장 설립, 60억 달러 규모의 국제비스니스센터 건립 등도 난항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인천시는 지난 10월 19일 미국 생명공학업체인 백스젠사와 1억5000만 달러를 투자 받아 에이즈백신 등 바이오 신약 생산시설을 세우는 부지를 제공하는 임대협약을 체결했다.
뿐만 아니라 미국의 유명 부동산투자·개발회사인 G&W사가 송도신도시에 120평 규모의 국제비스니스 센터를 세우는 사업을 추진의사를 밝혔으며 인천시는 60억 달러 규모의 외자유치를 추진해왔다.
인천시 관계자는 "외자유치는 물론 모든 공사가 중단될 위기"라며 "5000억원 이상이 투자된 송도신도시 개발 사업이 물거품이 돼 시의원들이 원망스럽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예결위를 통해 다시 한 번 상정할 수 있으나 이번 사태를 수습할 대책이 전혀 없다"고 밝혔다.
인천 오승완 기자 osw@naeil.com
시의회, 미사일부대 이전 관련 예산 삭감
인천시 송도 미사일부대 영종도 이전을 위한 시 예산이 시의회로부터 6일 삭감되자 송도신도시 건설이 전면 중단 위기에 부딪혔다.
인천시의회 건설위원회는 6일 예산안 심의를 갖고 미사일부대 이전과 관련한 부지매입비와 건물 건축비 등 87억원의 예산을 삭감했다.
인천시는 미사일부대로 인한 고도제한으로 송도신도시 건설이 차질을 빚자 국방부와 사전 협의해 송도신도시로 이전을 준비중이었다.
그러나 영종도 주민들을 비롯한 인천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은 '영종 미사일 저지 대책위'를 구성해 강력히 반발해왔으며 시의회는 이러한 주민들의 여론을 감안해 미사일부대 이전 예산안을 삭감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사일부대가 송도신도시 인근에 그대로 남겨질 경우 고도제한 등 관련 법안에 따라 현재 계획중이 송도신도시 조성사업 계획이 늦추어질 예정이다.
특히 송도테크노파크는 물로 외자유치를 통한 에이즈백신 공장 설립, 60억 달러 규모의 국제비스니스센터 건립 등도 난항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인천시는 지난 10월 19일 미국 생명공학업체인 백스젠사와 1억5000만 달러를 투자 받아 에이즈백신 등 바이오 신약 생산시설을 세우는 부지를 제공하는 임대협약을 체결했다.
뿐만 아니라 미국의 유명 부동산투자·개발회사인 G&W사가 송도신도시에 120평 규모의 국제비스니스 센터를 세우는 사업을 추진의사를 밝혔으며 인천시는 60억 달러 규모의 외자유치를 추진해왔다.
인천시 관계자는 "외자유치는 물론 모든 공사가 중단될 위기"라며 "5000억원 이상이 투자된 송도신도시 개발 사업이 물거품이 돼 시의원들이 원망스럽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예결위를 통해 다시 한 번 상정할 수 있으나 이번 사태를 수습할 대책이 전혀 없다"고 밝혔다.
인천 오승완 기자 osw@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