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익위 발표 … 670개 기관 광범위 조사

공공기관 종합청렴도가 지난해에 비해 소폭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부문별로 행복도시청과 경기도, 경북교육청 등이 최상위 등급을 받은 반면 문화재청과 부산시, 광물자원공사 등이 최하위 평가를 받았다.
국민권익위원회는 670개 공공기관에 대한 종합청렴도 평가 결과 10점 만점에 8.43점을 기록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8.44점보다 0.01점 하락한 것이다. 권익위는 설문조사에 의한 외부·내부 청렴도는 전년대비 상승했지만 '부패행위 징계자 감점'이 평가에 신규 반영되고 '신뢰도 저해행위 감점'이 강화되면서 전체 점수 하락으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조사결과 지난 1년간 공공기관에 대한 금품·향응·편의 제공 경험자는 전체 조사대상자의 0.8%로 지난해(1.0%)에 비해 조금 떨어졌다. 하지만 교육청 업무 중에서 '운동부 운영'의 경우 금품·향응·편의 제공률이 6.8%로 나타나 평균을 크게 웃돌았다. 외국기업인의 금품·편의 제공율도 3.9%에 달했다.
이번 평가에서 강화된 민원인 사전접촉, 호의적 응답유도 등 '신뢰도 저해행위' 점검에서는 전체 대상기관의 76.7%에 달하는 513개 기관이 적발됐다. 이에 따라 서울시(0.55점), 국민건강보험공단(0.42점), 충남교육청(0.37점) 등의 기관이 감점을 받았다.
증·수뢰와 향응수수, 공금횡령 등의 사유로 인한 부패행위 징계는 총 155개 기관에서 789건이 조사됐다. 기관별로는 교장 등 관리직 징계가 많은 시도 교육청의 감점이 가장 컸다. 감점에 반영된 부패금액은 123억4400만원에 달했다.
권익위는 "청렴도 미흡기관은 향후 청렴도 개선계획을 수립·추진토록 권고하고, 이행실적·성과 등에 대해서는 반부패 경쟁력 평가에서 따로 관리·반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허신열 기자 syhe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공공기관 종합청렴도가 지난해에 비해 소폭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부문별로 행복도시청과 경기도, 경북교육청 등이 최상위 등급을 받은 반면 문화재청과 부산시, 광물자원공사 등이 최하위 평가를 받았다.
국민권익위원회는 670개 공공기관에 대한 종합청렴도 평가 결과 10점 만점에 8.43점을 기록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8.44점보다 0.01점 하락한 것이다. 권익위는 설문조사에 의한 외부·내부 청렴도는 전년대비 상승했지만 '부패행위 징계자 감점'이 평가에 신규 반영되고 '신뢰도 저해행위 감점'이 강화되면서 전체 점수 하락으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조사결과 지난 1년간 공공기관에 대한 금품·향응·편의 제공 경험자는 전체 조사대상자의 0.8%로 지난해(1.0%)에 비해 조금 떨어졌다. 하지만 교육청 업무 중에서 '운동부 운영'의 경우 금품·향응·편의 제공률이 6.8%로 나타나 평균을 크게 웃돌았다. 외국기업인의 금품·편의 제공율도 3.9%에 달했다.
이번 평가에서 강화된 민원인 사전접촉, 호의적 응답유도 등 '신뢰도 저해행위' 점검에서는 전체 대상기관의 76.7%에 달하는 513개 기관이 적발됐다. 이에 따라 서울시(0.55점), 국민건강보험공단(0.42점), 충남교육청(0.37점) 등의 기관이 감점을 받았다.
증·수뢰와 향응수수, 공금횡령 등의 사유로 인한 부패행위 징계는 총 155개 기관에서 789건이 조사됐다. 기관별로는 교장 등 관리직 징계가 많은 시도 교육청의 감점이 가장 컸다. 감점에 반영된 부패금액은 123억4400만원에 달했다.
권익위는 "청렴도 미흡기관은 향후 청렴도 개선계획을 수립·추진토록 권고하고, 이행실적·성과 등에 대해서는 반부패 경쟁력 평가에서 따로 관리·반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허신열 기자 syhe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