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료품·연료비 급등 … 교육지출 많은 고소득층은 '무풍지대'
물가도 양극화 확산, 양대선거 맞아 불만·사회갈등 확대 우려
물가상승압력이 주로 저소득층 등 서민들에게 집중된 반면 교육비 문화비를 많이 소비하는 고소득층에겐 물가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9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소비자물가는 4.0% 상승했으며 이중에서 식료품과 비주류음료의 가격이 8.1% 뛰었다. 이는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고 공산품 가격도 상승세를 이어간 때문으로 풀이된다. 원재료 상승에 따른 음식과 숙박비 역시 4.3% 상승하며 평균 물가상승률을 끌어올렸다.
유가가 급등하면서 주택 수도 전기 및 연료 가격이 4.5%나 뛰어올랐다. 교통비도 7.0% 증가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두바이유와 WTI의 지난말 평균유가는 각각 배럴당 104.89달러, 98.83달러로 전년 78.13달러, 79.61달러에 비해 34.25%, 19.44% 상승했다.
가정용품과 가사서비스(3.7%), 의류 및 신발(3.3%)은 3%대의 물가상승률을 보였다. 보건(1.8%) 교육(1.7%) 오락 및 문화(1.6%)는 1%대의 비교적 낮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통신분야는 1.7%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엥겔지수 높은 서민층 = 식료품과 비주류음료에 들어간 소비 비중이 소득하위 20%인 1분위는 19.55%로 전체 소비액의 20%를 쏟아붓었던 반면 2분위(하위 20~40%)는 15.35%, 3분위는 14.07%로 낮았으며 4분위(소득 상위 20~40%)는 13.21%, 상위 20%인 5분위는 12.09%에 그쳤다.
사실상 식료품 구입과 비슷한 외식비로 나간 지출까지 고려해 식료품과 비주류음료, 음식 숙박비로 나간 소비지출 비중을 따져보면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의 격차가 더 많이 벌어진다. 소득하위 20%는 31.98%를 식료품과 외식 등에 쓰고 상위 20%는 먹는 데에 전체 소비액의 4분의 1 수준인 25.12%를 지출했다.
유가 상승에 따른 부담 역시 서민층에게 더 가중됐다. 주거 수도 광열비 비중이 소득하위 20%(1분위)는 전체 소비의 11.88%를 쓴 데 반해 상위 20%인 5분위는 6.24%에 그쳤다. 절반수준이다. 물가상승에 따른 압력도 그 만큼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고소득층 주로 지출하는 교육비부담 적어 = 고소득층이 가장 많이 소비하는 교육(17%) 부분의 물가상승률은 1.7%에 그쳤다. 교통(14.49%) 음식 숙박(13.03%) 식료품 비주류음료(12.09%)가 뒤를 이었고 물가상승률도 높았으나 비중에서는 저소득층에 크게 못 미쳐 상대적으로 물가부담이 적었던 것으로 보인다. 소비비중이 5번째로 높은 오락과 문화비는 1.6% 상승하는 데 그쳤다.
신창목 삼성경제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지난해 상반기에는 원자재 가격급등, 하반기에는 서비스 가격상승이 이어지면서 소비자물가상승률이 높은 수준을 지속했다"면서 "서민의 가계소비지출 중 비중이 높은 식료품비, 교통비, 연료비 등의 물가가 상대적으로 크게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앞으로도 서민물가부담 커질 듯 = 앞으로 상당기간 서민들의 물가부담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국산 건고추 돼지고기 등은 3분기까지 물량부족으로 가격의 고공행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봄배추와 고랭지배추 역시 재배면적이 줄어 가격상승이 우려된다.
기획재정부는 "쌀 돼지고기 고춧가루 등 서민들이 자주 찾는 생필품 가격이 상승세를 지속하면서 생활물가 불안이 우려된다"면서 "전세 외식비 등 서비스요금과 그동안 인상이 억제됐던 학원비 의료비 등의 인상압력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신 수석연구원은 "경제 부문 간의 격차 확대로 소득양극화가 사회 전반의 양극화로 확산되면서 사회 불만과 갈등이 표면화되고 있다"면서 "지역 세대 이념 등 기존의 갈등요인에 양극화가 결합해 사회갈등이 복잡해지고 양대선거를 앞둔 정치일정에 편승해 불만 표출과 사회갈등이 심화되면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박준규 기자 jkpar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물가도 양극화 확산, 양대선거 맞아 불만·사회갈등 확대 우려
물가상승압력이 주로 저소득층 등 서민들에게 집중된 반면 교육비 문화비를 많이 소비하는 고소득층에겐 물가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9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소비자물가는 4.0% 상승했으며 이중에서 식료품과 비주류음료의 가격이 8.1% 뛰었다. 이는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고 공산품 가격도 상승세를 이어간 때문으로 풀이된다. 원재료 상승에 따른 음식과 숙박비 역시 4.3% 상승하며 평균 물가상승률을 끌어올렸다.
유가가 급등하면서 주택 수도 전기 및 연료 가격이 4.5%나 뛰어올랐다. 교통비도 7.0% 증가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두바이유와 WTI의 지난말 평균유가는 각각 배럴당 104.89달러, 98.83달러로 전년 78.13달러, 79.61달러에 비해 34.25%, 19.44% 상승했다.
가정용품과 가사서비스(3.7%), 의류 및 신발(3.3%)은 3%대의 물가상승률을 보였다. 보건(1.8%) 교육(1.7%) 오락 및 문화(1.6%)는 1%대의 비교적 낮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통신분야는 1.7%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엥겔지수 높은 서민층 = 식료품과 비주류음료에 들어간 소비 비중이 소득하위 20%인 1분위는 19.55%로 전체 소비액의 20%를 쏟아붓었던 반면 2분위(하위 20~40%)는 15.35%, 3분위는 14.07%로 낮았으며 4분위(소득 상위 20~40%)는 13.21%, 상위 20%인 5분위는 12.09%에 그쳤다.
사실상 식료품 구입과 비슷한 외식비로 나간 지출까지 고려해 식료품과 비주류음료, 음식 숙박비로 나간 소비지출 비중을 따져보면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의 격차가 더 많이 벌어진다. 소득하위 20%는 31.98%를 식료품과 외식 등에 쓰고 상위 20%는 먹는 데에 전체 소비액의 4분의 1 수준인 25.12%를 지출했다.
유가 상승에 따른 부담 역시 서민층에게 더 가중됐다. 주거 수도 광열비 비중이 소득하위 20%(1분위)는 전체 소비의 11.88%를 쓴 데 반해 상위 20%인 5분위는 6.24%에 그쳤다. 절반수준이다. 물가상승에 따른 압력도 그 만큼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고소득층 주로 지출하는 교육비부담 적어 = 고소득층이 가장 많이 소비하는 교육(17%) 부분의 물가상승률은 1.7%에 그쳤다. 교통(14.49%) 음식 숙박(13.03%) 식료품 비주류음료(12.09%)가 뒤를 이었고 물가상승률도 높았으나 비중에서는 저소득층에 크게 못 미쳐 상대적으로 물가부담이 적었던 것으로 보인다. 소비비중이 5번째로 높은 오락과 문화비는 1.6% 상승하는 데 그쳤다.
신창목 삼성경제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지난해 상반기에는 원자재 가격급등, 하반기에는 서비스 가격상승이 이어지면서 소비자물가상승률이 높은 수준을 지속했다"면서 "서민의 가계소비지출 중 비중이 높은 식료품비, 교통비, 연료비 등의 물가가 상대적으로 크게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앞으로도 서민물가부담 커질 듯 = 앞으로 상당기간 서민들의 물가부담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국산 건고추 돼지고기 등은 3분기까지 물량부족으로 가격의 고공행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봄배추와 고랭지배추 역시 재배면적이 줄어 가격상승이 우려된다.
기획재정부는 "쌀 돼지고기 고춧가루 등 서민들이 자주 찾는 생필품 가격이 상승세를 지속하면서 생활물가 불안이 우려된다"면서 "전세 외식비 등 서비스요금과 그동안 인상이 억제됐던 학원비 의료비 등의 인상압력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신 수석연구원은 "경제 부문 간의 격차 확대로 소득양극화가 사회 전반의 양극화로 확산되면서 사회 불만과 갈등이 표면화되고 있다"면서 "지역 세대 이념 등 기존의 갈등요인에 양극화가 결합해 사회갈등이 복잡해지고 양대선거를 앞둔 정치일정에 편승해 불만 표출과 사회갈등이 심화되면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박준규 기자 jkpar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