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강남지역 아파트 가격이 급격한 상승세를 보였다.
이에 따라 지난주 서울지역의 아파트 매매가격이 0.68%나 올라 올들어 최고치를 기록했다.
17일 부동산정보제공업체인 ‘부동산114(www.R114.co.kr)’에 따르면 지난주 강남구, 강동구 등 강남권 아파트가격이 급상승, 서울지역의 아파트 매매가격이 0.68%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동대문구(-0.39%), 금천구(-0.05%) 등 강북권을 비롯한 서울의 대부분 지역이 하락세를 보인 반면 강남구(1.32%), 강동구(1.46%), 서초구(0.81%), 송파구(1.93%) 등 강남권 4곳이 높은 상승세를 보였다.
평형별로는 20평이하 소형아파트 상승률이 2.34%로 매매가격 상승을 주도했으며 특히 강남구(3.12%), 강동구(2.58%), 송파구(4.88%) 등의 소형아파트가격은 급등양상을 보였다.
이에비해 신도시와 수도권의 지난주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각각 0.26%, 0.15%로 상승폭이 미미했다.
서울지역 전세가격은 0.2% 상승에 머물러 안정세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광진구(0.9%), 강남구(0.78%), 성동구(0.6%), 서초구(0.58%), 관악구(0.5%), 영등포구(0.46%),양천구(0.41%)가 30평형대를 중심으로 오름세를 보였다. 반면 강북(-1.37%), 중(-0.91%), 송파(-0.6%), 금천(-0.3%), 구로(-0.3%), 성북(-0.24%), 도봉(-0.18%) 지역은 소폭 하락했다.
신도시 일산(0.69%), 중동(0.54%), 평촌(0.28%), 분당(0.13%) 등이 비교적 큰 폭으로 상승한 것에 힘입어 전주(12월2∼8일)의 하락세(-0.07%)에서 벗어나 0.29% 올랐다. 그러나 수도권은 전주에 0.05% 하락한데 이어 지난주에도 0.11% 내려 하락폭이 더 커졌다.
‘부동산 114’는 “강북권 등 서울 대부분 지역이 약보합세 행진을 하고 있는데 반해 강남, 송파 등 강남권 인기지역에서는 가격이 상대적으로 약세인 때를 이용해 아파트를 매입하려는 수요자가 급증하면서 아파트값이 다시 가파른 상승세로 반전됐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지난주 서울지역의 아파트 매매가격이 0.68%나 올라 올들어 최고치를 기록했다.
17일 부동산정보제공업체인 ‘부동산114(www.R114.co.kr)’에 따르면 지난주 강남구, 강동구 등 강남권 아파트가격이 급상승, 서울지역의 아파트 매매가격이 0.68%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동대문구(-0.39%), 금천구(-0.05%) 등 강북권을 비롯한 서울의 대부분 지역이 하락세를 보인 반면 강남구(1.32%), 강동구(1.46%), 서초구(0.81%), 송파구(1.93%) 등 강남권 4곳이 높은 상승세를 보였다.
평형별로는 20평이하 소형아파트 상승률이 2.34%로 매매가격 상승을 주도했으며 특히 강남구(3.12%), 강동구(2.58%), 송파구(4.88%) 등의 소형아파트가격은 급등양상을 보였다.
이에비해 신도시와 수도권의 지난주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각각 0.26%, 0.15%로 상승폭이 미미했다.
서울지역 전세가격은 0.2% 상승에 머물러 안정세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광진구(0.9%), 강남구(0.78%), 성동구(0.6%), 서초구(0.58%), 관악구(0.5%), 영등포구(0.46%),양천구(0.41%)가 30평형대를 중심으로 오름세를 보였다. 반면 강북(-1.37%), 중(-0.91%), 송파(-0.6%), 금천(-0.3%), 구로(-0.3%), 성북(-0.24%), 도봉(-0.18%) 지역은 소폭 하락했다.
신도시 일산(0.69%), 중동(0.54%), 평촌(0.28%), 분당(0.13%) 등이 비교적 큰 폭으로 상승한 것에 힘입어 전주(12월2∼8일)의 하락세(-0.07%)에서 벗어나 0.29% 올랐다. 그러나 수도권은 전주에 0.05% 하락한데 이어 지난주에도 0.11% 내려 하락폭이 더 커졌다.
‘부동산 114’는 “강북권 등 서울 대부분 지역이 약보합세 행진을 하고 있는데 반해 강남, 송파 등 강남권 인기지역에서는 가격이 상대적으로 약세인 때를 이용해 아파트를 매입하려는 수요자가 급증하면서 아파트값이 다시 가파른 상승세로 반전됐다”고 설명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