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SOS 안심서비스 전국 확대"
2012년 보호시설 아동정보 실시간 확인
위기상황에 처한 어린이가 휴대전화나 스마트폰 단추 하나만 누르면 112신고센터에서 바로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전국 보호시설 아동정보도 실시간 제공받을 수 있다. 행정안전부는 28일 2012년 주요 업무계획을 대통령에 보고했다.

◆112센터 표준화 = 행안부는 내년 어린이 생활안전을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우선 서울 경기 강원 등 일부 지역에서 시행하고 있는 SOS 국민안심서비스를 내년 말까지 전국으로 확대한다. 위기상황에 처한 어린이가 휴대전화나 스마트폰 또는 전용단말기를 통해 112와 보호자에게 위치를 알리면 경찰이 바로 출동해 구조하는 제도다.
휴대전화를 갖고 있는 초등학생은 단축번호를 눌러 긴급신고할 수 있다. 현재 서울과 경기남부 강원 지역에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내년 7월에는 충북 경남 전남 제주, 내년 말이면 전국 초등학생에 확대된다.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어린이는 112앱을 이용해 위치정보를 알릴 수 있다. 휴대전화도 스마트폰도 없는 기초생활수급자 가정 초등학생 중 희망자 2만명에게는 전용단말기(U-안심)를 무료로 보급, 같은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용료도 지원한다.
행안부는 안심서비스 전국 확대에 발맞춰 지역별로 운영되던 전국 112신고센터를 표준화할 계획이다. 범죄 사전 예방과 신속한 현장출동을 위해 경찰서별로 설치된 센터를 지방경찰청 중심으로 통합, 프로그램을 표준화한다. 행안부는 "위치정보 오차를 줄이기 위해 통신사와 협력을 강화하고 어린이 학부모 학교장 등 이용자 중심 교육·홍보를 통해 오류신고를 방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어린이 실종이 장기화되는 일은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행안부는 내년부터 경찰청에서 운영하는 실종아동찾기 시스템에 관련 기관 정보를 통합·연계한다. 전국 4000여개 보호시설이 갖고 있는 무연고 아동 정보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지금은 무연고 아동 정보와 실종신고 정보가 여러 기관에 분산돼 실종 아동 발견까지 시간이 걸린다.
이달부터 서울 송파와 강동에서 시범 운영 중인 '실종대비 사전등록제'를 내년에는 전국 2190개 경찰관서로 확대한다. 어린이를 비롯해 지적장애인 치매노인의 사진과 지문 인적사항을 사전에 등록하는 제도. 보호자가 확인되지 않은 아동 등이 발견될 경우 해당 정보와 비교 검색, 신속한 신원확인이 가능하다. 아동 실종신고는 2008년 1만8580건에서 2009년 2만463건, 지난해 2만4094건으로 해마다 늘고 있다. 올해는 11월까지 2만4637건이 접수됐다.
◆실종대비 사전등록, 전국 경찰서에서 = 학교폭력 예방활동도 한층 강화한다. 학교 내 폭력과 따돌림으로 자살하는 학생이 잇따르고 있어서다. 행안부는 교육과학기술부와 연계, 학교폭력 자진신고와 집중단속을 강화하는 한편 범죄예방교실 지원도 내실있게 추진할 방침이다.
행안부는 이와 함께 지역경제 활성화, 지방재정 건실화를 위해 전통시장 주변도로 주차, 취약계층 공직진출 확대, 지역공동체 일자리 2만개 창출, 마을기업 700개 발굴 등 정책을 진행할 예정이다. 공공기관이 보유한 디지털 공공정보 개방확대, 모바일 행정서비스 종류 다양화, 개도국 대상 정보화 지원 등도 계획 중이다.
김진명 기자 jm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012년 보호시설 아동정보 실시간 확인
위기상황에 처한 어린이가 휴대전화나 스마트폰 단추 하나만 누르면 112신고센터에서 바로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전국 보호시설 아동정보도 실시간 제공받을 수 있다. 행정안전부는 28일 2012년 주요 업무계획을 대통령에 보고했다.

◆112센터 표준화 = 행안부는 내년 어린이 생활안전을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우선 서울 경기 강원 등 일부 지역에서 시행하고 있는 SOS 국민안심서비스를 내년 말까지 전국으로 확대한다. 위기상황에 처한 어린이가 휴대전화나 스마트폰 또는 전용단말기를 통해 112와 보호자에게 위치를 알리면 경찰이 바로 출동해 구조하는 제도다.
휴대전화를 갖고 있는 초등학생은 단축번호를 눌러 긴급신고할 수 있다. 현재 서울과 경기남부 강원 지역에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내년 7월에는 충북 경남 전남 제주, 내년 말이면 전국 초등학생에 확대된다.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어린이는 112앱을 이용해 위치정보를 알릴 수 있다. 휴대전화도 스마트폰도 없는 기초생활수급자 가정 초등학생 중 희망자 2만명에게는 전용단말기(U-안심)를 무료로 보급, 같은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용료도 지원한다.
행안부는 안심서비스 전국 확대에 발맞춰 지역별로 운영되던 전국 112신고센터를 표준화할 계획이다. 범죄 사전 예방과 신속한 현장출동을 위해 경찰서별로 설치된 센터를 지방경찰청 중심으로 통합, 프로그램을 표준화한다. 행안부는 "위치정보 오차를 줄이기 위해 통신사와 협력을 강화하고 어린이 학부모 학교장 등 이용자 중심 교육·홍보를 통해 오류신고를 방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어린이 실종이 장기화되는 일은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행안부는 내년부터 경찰청에서 운영하는 실종아동찾기 시스템에 관련 기관 정보를 통합·연계한다. 전국 4000여개 보호시설이 갖고 있는 무연고 아동 정보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지금은 무연고 아동 정보와 실종신고 정보가 여러 기관에 분산돼 실종 아동 발견까지 시간이 걸린다.
이달부터 서울 송파와 강동에서 시범 운영 중인 '실종대비 사전등록제'를 내년에는 전국 2190개 경찰관서로 확대한다. 어린이를 비롯해 지적장애인 치매노인의 사진과 지문 인적사항을 사전에 등록하는 제도. 보호자가 확인되지 않은 아동 등이 발견될 경우 해당 정보와 비교 검색, 신속한 신원확인이 가능하다. 아동 실종신고는 2008년 1만8580건에서 2009년 2만463건, 지난해 2만4094건으로 해마다 늘고 있다. 올해는 11월까지 2만4637건이 접수됐다.
◆실종대비 사전등록, 전국 경찰서에서 = 학교폭력 예방활동도 한층 강화한다. 학교 내 폭력과 따돌림으로 자살하는 학생이 잇따르고 있어서다. 행안부는 교육과학기술부와 연계, 학교폭력 자진신고와 집중단속을 강화하는 한편 범죄예방교실 지원도 내실있게 추진할 방침이다.
행안부는 이와 함께 지역경제 활성화, 지방재정 건실화를 위해 전통시장 주변도로 주차, 취약계층 공직진출 확대, 지역공동체 일자리 2만개 창출, 마을기업 700개 발굴 등 정책을 진행할 예정이다. 공공기관이 보유한 디지털 공공정보 개방확대, 모바일 행정서비스 종류 다양화, 개도국 대상 정보화 지원 등도 계획 중이다.
김진명 기자 jm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