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3국은 28일 남북대화의 중요성과 1994년 제네바 합의의 지속적인 이행에 대해 기존의 지지 입장을 재확인하고 북한이 국제사회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해 나갈 것을 촉구했다.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대북정책조정감독그룹(TCOG) 회의의 공동언론발표문을 통해 3국은 이같이 밝혔다.
3국은 또 북한이 2개의 테러 관련 국제협약에 가입한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국제 반테러 노력에 대한 협력 및 국제 테러리즘에 대한 반대입장을 확인하기 위해 추가적인 조치를 취할 것을 거듭 촉구했다.
미국 대표단은 전제조건 없이 북한과의 진지한 대화를 재개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입장을 재확인하고 언제 어디서나 북한측과 만날 용의가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일본은 북・일 관계 정상화가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에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미측 수석대표인 제임스 켈리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는 부시 미국 대통령의 북한 대량살상무기 확산을 경고한 것과 관련 “기존 대북정책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고 해명한 바 있다.
3국은 식량지원 등 대북 인도적 지원문제와 관련, 인도적인 문제는 대북정책과 연계하지 않겠다는 기존 방침을 재확인하고 대북 지원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미국은 이번 회의에서 제6차 남북 장관급 회담이 뚜렷한 합의사항 없이 결렬된 데 대해 아쉬움을 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당국자는 “북한측이 취할 수 있는 추가적인 반테러 조치는 미가입 테러협약 가입 등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면서 “북한의 핵, 미사일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를 해소하라는 의미도 담겨져 있다”고 말했다.
이번 회의에는 한국에서 임성준 외교통상부 차관보, 미국에서 제임스켈리 국무부 동아태담당 차관보, 일본에서는 다나카 히토시 외무성 아주국장이 각각 수석대표로 참석했다.
이숙현 기자 shlee@naeil.com
3국은 또 북한이 2개의 테러 관련 국제협약에 가입한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국제 반테러 노력에 대한 협력 및 국제 테러리즘에 대한 반대입장을 확인하기 위해 추가적인 조치를 취할 것을 거듭 촉구했다.
미국 대표단은 전제조건 없이 북한과의 진지한 대화를 재개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입장을 재확인하고 언제 어디서나 북한측과 만날 용의가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일본은 북・일 관계 정상화가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에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미측 수석대표인 제임스 켈리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는 부시 미국 대통령의 북한 대량살상무기 확산을 경고한 것과 관련 “기존 대북정책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고 해명한 바 있다.
3국은 식량지원 등 대북 인도적 지원문제와 관련, 인도적인 문제는 대북정책과 연계하지 않겠다는 기존 방침을 재확인하고 대북 지원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미국은 이번 회의에서 제6차 남북 장관급 회담이 뚜렷한 합의사항 없이 결렬된 데 대해 아쉬움을 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당국자는 “북한측이 취할 수 있는 추가적인 반테러 조치는 미가입 테러협약 가입 등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면서 “북한의 핵, 미사일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를 해소하라는 의미도 담겨져 있다”고 말했다.
이번 회의에는 한국에서 임성준 외교통상부 차관보, 미국에서 제임스켈리 국무부 동아태담당 차관보, 일본에서는 다나카 히토시 외무성 아주국장이 각각 수석대표로 참석했다.
이숙현 기자 shlee@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