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타워크레인기사노조(위원장 채수봉)은 2일 오후 서울 명동성당 한빛은행 앞에서 집회를 갖고 “지난달 26일 타워크레인 붕괴사고를 롯데건설 흥화타워 건설교통부 노동부 등이 조장했다”며 강력 규탄했다.
노조는 이날 집회에서 서울 도봉구 방학동 717번지 롯데마그넷 신축건설현장에서 타워크레인이 쓰러져 크레인 기사 등 2명이 즉사하고, 4명이 중상을 입은 사건을 ‘예고된 사고’였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우선 타워크레인이 아직까지 건설기계로 등록돼 있지 않아 ‘산업안전 사각지대’에 방치돼 있는 점을 꼽았다.
노조 관계자는 “건교부는 사고 일주일 전 타워크레인 건설기계 등록과 그에 따른 산업안전 강화를 입법예고했지만 2002년 신규제작 또는 수입할 타워크레인만으로 한정해 그간 문제시 돼왔던 기존 타워크레인은 여전히 방치했다”면서 “건교부의 이런 방침은 타워 등록비와 세금징수를 부담스러워했던 타워 임대업자들의 요구를 수용한 것으로 산업안전을 도외시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노조는 또 사고 당사자인 흥화타워는 경비절감을 위해 한국산업안전관리공단의 완성검사도 받지 않은 채 무리한 상승작업을 지시했다고 강조했다.
뿐만 아니라 원청회사인 롯데건설은 ‘공정이 늦다, 안전관리비가 없다’며 위험작업을 강요하고, 노동부와 산안공단은 눈 가리고 아웅식의 관리만 반복하고 있다는 것이 노조 쪽의 주장이다.
이들은 이에 따라 △롯데건설 방학동 현장에 대한 철저한 사고경위 조사 △흥화타워 등 관련자 처벌 △타워크레인 건설기계 등록 즉각 시행 △유가족들에 대한 성의있는 보상 등을 촉구했다.
노조는 이날 집회에서 서울 도봉구 방학동 717번지 롯데마그넷 신축건설현장에서 타워크레인이 쓰러져 크레인 기사 등 2명이 즉사하고, 4명이 중상을 입은 사건을 ‘예고된 사고’였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우선 타워크레인이 아직까지 건설기계로 등록돼 있지 않아 ‘산업안전 사각지대’에 방치돼 있는 점을 꼽았다.
노조 관계자는 “건교부는 사고 일주일 전 타워크레인 건설기계 등록과 그에 따른 산업안전 강화를 입법예고했지만 2002년 신규제작 또는 수입할 타워크레인만으로 한정해 그간 문제시 돼왔던 기존 타워크레인은 여전히 방치했다”면서 “건교부의 이런 방침은 타워 등록비와 세금징수를 부담스러워했던 타워 임대업자들의 요구를 수용한 것으로 산업안전을 도외시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노조는 또 사고 당사자인 흥화타워는 경비절감을 위해 한국산업안전관리공단의 완성검사도 받지 않은 채 무리한 상승작업을 지시했다고 강조했다.
뿐만 아니라 원청회사인 롯데건설은 ‘공정이 늦다, 안전관리비가 없다’며 위험작업을 강요하고, 노동부와 산안공단은 눈 가리고 아웅식의 관리만 반복하고 있다는 것이 노조 쪽의 주장이다.
이들은 이에 따라 △롯데건설 방학동 현장에 대한 철저한 사고경위 조사 △흥화타워 등 관련자 처벌 △타워크레인 건설기계 등록 즉각 시행 △유가족들에 대한 성의있는 보상 등을 촉구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