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의 공격으로 붕괴된 아프간 탈레반 정권의 고위 관계자가 9·11 테러 사건의 배후인물로 지목된 오사마 빈 라덴의 장례식에 참석했다고 주장한 것으로 파키스탄 옵서버가 25일 보도했다.
옵서버는 이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빈 라덴의 장례식이 12월 중순께 토라 보라 지역에서 거행됐으며 테러조직인 알-카에다 대원 30명과 빈 라덴의 가족들, ‘라덴의 탈레반 친구들’이 장례식에 참석했다고 전했다.
이 소식통은 또 장례식에서 ‘위대한 지도자’를 기리기 위해 조총이 발사됐으며 시신 매장 전에 빈 라덴의 얼굴을 직접 봤다고 주장하면서 “라덴은 창백했지만 평온한 표정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라덴이 이슬람 와하비 파였기 때문에 무덤이 평평하게 조성됐다고 말했다.
이 소식통은 빈 라덴이 사망하기전에 심한 폐 합병증으로 고생했으나 제때에 치료를 받지 못해 사망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빈 라덴이 묻힌 장소를 묻는 질문에 “토라보라 지역에 대한 미군의 공습으로 그의 매장지도 틀림없이 사라졌을 것”이라고 말했다.
옵서버는 이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빈 라덴의 장례식이 12월 중순께 토라 보라 지역에서 거행됐으며 테러조직인 알-카에다 대원 30명과 빈 라덴의 가족들, ‘라덴의 탈레반 친구들’이 장례식에 참석했다고 전했다.
이 소식통은 또 장례식에서 ‘위대한 지도자’를 기리기 위해 조총이 발사됐으며 시신 매장 전에 빈 라덴의 얼굴을 직접 봤다고 주장하면서 “라덴은 창백했지만 평온한 표정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라덴이 이슬람 와하비 파였기 때문에 무덤이 평평하게 조성됐다고 말했다.
이 소식통은 빈 라덴이 사망하기전에 심한 폐 합병증으로 고생했으나 제때에 치료를 받지 못해 사망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빈 라덴이 묻힌 장소를 묻는 질문에 “토라보라 지역에 대한 미군의 공습으로 그의 매장지도 틀림없이 사라졌을 것”이라고 말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