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여성일자리센터 '틈새' 공략 화제 … 2989명에 새 일자리
전북 전주시 덕진동 전주종합경기장 옆, 곡선미가 돋보이는 우아한 외형이 한스타일 전통도시의 이미지에 걸맞다. (재)전북여성교육문화센터가 들어선 건물이다. 여성교육문화센터는 지난해 여성가족부 지원을 받아 전국에서 처음 문을 연 여성일자리센터를 위탁·운영하고 있다.
지난해 9월 센터가 문을 연 후 이 곳은 출산이나 결혼, 가사 등을 이유로 사회적 경력이 중단된 30~50대 여성들의 능력을 개발해 취업은 물론 사회적 기여의 기반을 닦는 곳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지난해 이 센터를 통해 직장을 얻은 여성이 2989명에 달한다.
특히 취업자 가운데 60%가 상용직 직장을 잡았다. 김보금(53) 센터장은 "일자리를 찾는 여성과 인력을 찾는 기업의 요구와 상황을 꼼꼼히 따져 연결하기 때문에 가능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기존 여성취업센터가 요양보호사·가사도우미 등 사회서비스 분야에 치중한 것과 달리 전기·전자·식품 등 다양한 분야의 인력을 양성한다. 센터에서 운영중인 교육프로그램만 9개에 달한다. 각종 자격증은 물론 반도체(검사조리원), 식품(품질관리), 탄소기계(장비 설치·정비원), 자동차(부품조립), 정수기(부품조립), 아웃도어(기능사), 급식(조리) 등 다양한 분야의 교육을 실시한다. 교육을 이수한 여성들은 센터와 네트워크를 맺은 도내 유망 기업 100여 곳에 바로 연결된다. 이른바 '틈새 일자리 찾기'가 성과를 나타낸 것으로 평가된다.
김 센터장은 "10인 미만 기업에 대한 20대 청년층의 선호도는 높지 않지만 30~50대 여성은 시간활용과 안정성 측면에서 유리한 일자리가 되기도 한다"고 말했다.
전주한옥마을 관광객을 염두에 둔 '한옥생활 체험지도사' 양성이 대표적 사례다. 한옥 인테리어는 물론 시설관리, 서비스 예절 등에 대해 교육한 후 한옥마을 내 22개 숙박시설과 체험관에 취업을 연결하는 것이다.
센터에서 하는 교육이 전부는 아니다. 도내 14개 시·군을 돌면서 '찾아가는 일자리센터'를 운영한다. 해당 지역에 있는 기업 인사담당자를 초청해 구직계획을 모아 자료로 축적하는 것도 병행한다.
서선녀 교육사업팀장은 "자동차 부품회사가 많은 완주에서는 자동차부품 조립원을 양성하고, 고등어·뽕잎·오디 등 전자상거래가 활발하게 진행중인 부안군에선 전자상거래관리자 양성반을 운영하는 등 현장 중심의 프로그램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문화강좌·꽃꽂이 등 교양강좌를 주로 해온 각 지역 여성회관이 취업기관으로 진화하는 것이다. 또 3개 대형마트와 협약을 맺어 매주 수요일과 목요일 낮시간에 전주시내 대형마트에 취업상담코너를 두고 상담을 벌이는 것도 눈길을 끈다.
이명환 기자 mha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전북 전주시 덕진동 전주종합경기장 옆, 곡선미가 돋보이는 우아한 외형이 한스타일 전통도시의 이미지에 걸맞다. (재)전북여성교육문화센터가 들어선 건물이다. 여성교육문화센터는 지난해 여성가족부 지원을 받아 전국에서 처음 문을 연 여성일자리센터를 위탁·운영하고 있다.
지난해 9월 센터가 문을 연 후 이 곳은 출산이나 결혼, 가사 등을 이유로 사회적 경력이 중단된 30~50대 여성들의 능력을 개발해 취업은 물론 사회적 기여의 기반을 닦는 곳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지난해 이 센터를 통해 직장을 얻은 여성이 2989명에 달한다.
특히 취업자 가운데 60%가 상용직 직장을 잡았다. 김보금(53) 센터장은 "일자리를 찾는 여성과 인력을 찾는 기업의 요구와 상황을 꼼꼼히 따져 연결하기 때문에 가능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기존 여성취업센터가 요양보호사·가사도우미 등 사회서비스 분야에 치중한 것과 달리 전기·전자·식품 등 다양한 분야의 인력을 양성한다. 센터에서 운영중인 교육프로그램만 9개에 달한다. 각종 자격증은 물론 반도체(검사조리원), 식품(품질관리), 탄소기계(장비 설치·정비원), 자동차(부품조립), 정수기(부품조립), 아웃도어(기능사), 급식(조리) 등 다양한 분야의 교육을 실시한다. 교육을 이수한 여성들은 센터와 네트워크를 맺은 도내 유망 기업 100여 곳에 바로 연결된다. 이른바 '틈새 일자리 찾기'가 성과를 나타낸 것으로 평가된다.
김 센터장은 "10인 미만 기업에 대한 20대 청년층의 선호도는 높지 않지만 30~50대 여성은 시간활용과 안정성 측면에서 유리한 일자리가 되기도 한다"고 말했다.
전주한옥마을 관광객을 염두에 둔 '한옥생활 체험지도사' 양성이 대표적 사례다. 한옥 인테리어는 물론 시설관리, 서비스 예절 등에 대해 교육한 후 한옥마을 내 22개 숙박시설과 체험관에 취업을 연결하는 것이다.
센터에서 하는 교육이 전부는 아니다. 도내 14개 시·군을 돌면서 '찾아가는 일자리센터'를 운영한다. 해당 지역에 있는 기업 인사담당자를 초청해 구직계획을 모아 자료로 축적하는 것도 병행한다.
서선녀 교육사업팀장은 "자동차 부품회사가 많은 완주에서는 자동차부품 조립원을 양성하고, 고등어·뽕잎·오디 등 전자상거래가 활발하게 진행중인 부안군에선 전자상거래관리자 양성반을 운영하는 등 현장 중심의 프로그램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문화강좌·꽃꽂이 등 교양강좌를 주로 해온 각 지역 여성회관이 취업기관으로 진화하는 것이다. 또 3개 대형마트와 협약을 맺어 매주 수요일과 목요일 낮시간에 전주시내 대형마트에 취업상담코너를 두고 상담을 벌이는 것도 눈길을 끈다.
이명환 기자 mha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