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량 시장은 21일 시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국방부 당국자는 성남시와 시민들에게 약속한 시기인 올 연말까지 고도제한 완화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할 것”을 촉구했다.
김 시장은 “시민의 생존권과 재산권 행사는 물론 주거환경 개선마저 제한 받고 있는 고도제한 문제에 대해 단순한 주장만 한 것이 아니라, 객관적이고 논리적인 분석과 대안을 제시했다”며, “국방부 및 공군본부는 금년말까지 약속한 사항을 지켜야 한다”고 밝혔다.
만일 연말까지 고도제한에 대한 국방부의 긍정적인 입장이 나오지 않는다면 시의 숙원 사업이자 지난달 30일 중앙계획심의위원회의에서 원안 가결된, 기존시가지(수정 중원구) 재개발 지구별 세부계획안 마련에 차질이 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김 시장은 연말까지 가시적 성과가 없을 시, 시민재산권 및 생존권 보장, 시민권리찾기 운동 차원에서 모든 역량을 다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도록 노력하고, 고도제한 저촉을 적게 받는 하대원 지역과 수복재개발 지구부터 먼저 시행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윤수 의원과 조성준 의원은 국회의원 232명의 서명을 받아 군용항공기지법을 개정안 청원을 해 놓았다고 밝혔다.
/백왕순 기자 wspaik@naeil.com
김 시장은 “시민의 생존권과 재산권 행사는 물론 주거환경 개선마저 제한 받고 있는 고도제한 문제에 대해 단순한 주장만 한 것이 아니라, 객관적이고 논리적인 분석과 대안을 제시했다”며, “국방부 및 공군본부는 금년말까지 약속한 사항을 지켜야 한다”고 밝혔다.
만일 연말까지 고도제한에 대한 국방부의 긍정적인 입장이 나오지 않는다면 시의 숙원 사업이자 지난달 30일 중앙계획심의위원회의에서 원안 가결된, 기존시가지(수정 중원구) 재개발 지구별 세부계획안 마련에 차질이 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김 시장은 연말까지 가시적 성과가 없을 시, 시민재산권 및 생존권 보장, 시민권리찾기 운동 차원에서 모든 역량을 다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도록 노력하고, 고도제한 저촉을 적게 받는 하대원 지역과 수복재개발 지구부터 먼저 시행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윤수 의원과 조성준 의원은 국회의원 232명의 서명을 받아 군용항공기지법을 개정안 청원을 해 놓았다고 밝혔다.
/백왕순 기자 wspaik@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