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은 육체보다 인간을 지배하는 힘이 강하다. 몸이 힘든 건 견뎌도 마음이 아픈 건 더 견디기 힘든 일이라고들 한다. 살아 가다보면 누구나 한번쯤 겪게되는 정신적인 방황과 고통, 이 고비를 어떻게 넘기느냐에 따라 우리의 삶은 새로운 모습으로 변화되기도 한다.
옛말에 병은 널리 알리라고 했던가. 이럴 땐 주변의 상담소나 치료기관을 찾아 적극적인 방법으로 대처하는 것도 좋은 해결방법이 될 수 있다.
고양시정신보건센터
덕양구 보건소 2층에 위치한 이 곳은 정신과전문의를 비롯하여 정신보건간호사, 정신보건 사회복지사 등 전문인력이 참여해 정신장애인들이 재활 및 사회복귀에 성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사회적 고정관념이 많이 완화되기는 했지만 아직 우리사회는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이 심한 편.
돌출적인 행동이나 비상식적인 행동을 하는 경우는 격리수용이 필요한 중증의 환자들로 우리가 알고 있는 정신질환자의 극소수이며 대부분의 정신질환은 사회성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가벼운 정신질환일수록 초기에 만성화되기 전 적극적인 상담과 치료, 재활로 세상과 손을 잡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고양시정신보건센터는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에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의 계획과 시행을 위탁, 1997년부터 현재까지 5년 동안 정신질환자의 등록관리, 주간재활프로그램 운영, 직업재활프로그램 운영, 주민대상 정신건강강좌, 지역사회참여와 지역사회 기관에 대한 자문을 통한 정신보건 환경조성, 조사연구 사업 등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주요사업으로는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해소와 이해증진을 위한 대중홍보, 정신의학 세미나, 사례집담회 등 기관에 대한 자문지원, 우울증예방 교육과 다양한 주제에 정신건강강좌, 그리고 만성질환자를 위한 정신보건서비스(가정방문을 포함하는 사례관리, 주간재활프로그램, 직업재활프로그램, 보호작업장 '디딤터'운영)등을 제공하고 있다. 주간재활프로그램은 주3회(월 수 금)운영하며 회원과 자원봉사자가 함께 자치적으로 참여하는 '동아리의 날'을 주2회(화 목)운영한다.
지난 21일에는 센터의 송년잔치인 '제 5회 나눔제'가 고양시 농업기술센터강당에서 열려 회원과 직원, 가족들이 지난 1년간 관심을 가지고 도움과 격려를 준 관계기관과 자원봉사자들과 함께 하는 자리를 마련하였다. 직원들과 함께 사물놀이, 합창 등 나눔 한마당에 참여하는 회원들의 무대 위 공연을 지켜본 이 센터 금 란 간호사는 "매년 이런 시간을 갖지만 무언가 조금씩 달라지는 회원들의 모습이 늘 감동적이다"라며 자신들의 조그만 도움과 봉사로 그들이 사회의 일원으로 당당히 자리잡을 때 가장 보람된다고 말한다.
이 행사 제2부에 있었던 가족 한마당 '영상편지'와 '가족에게 드리는 글'은 회원들이 자신들로 가슴앓이 하는 가족들에게 전하는 감사의 장으로 함께 자리한 모든 이들에게 잔잔한 감동을 주는 자리가 되었다.
고양시정신보건센터는 2002년에 재정지원과 전문인력 확보 등 정신보건사업의 제도적 시스템 정비, 연 1회 실시하던 정신보건강좌를 연 2회로 늘리는 정신보건 수혜 주민 확대, 청소년 정서 및 행동장애 고 위험군 집단 중점관리, 홈페이지 활성화, 정신재활프로그램의 다양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031-968-2333/ 홈페이지 www.goyangmaum.wo.to.
광성상담실
일산4동 광성교회에서 운영하는 상담전화. 율동 초등학교 앞 '10대들의 둥지' 안에 자리잡고 있다. 무겁고 힘든 짐을 진 이웃들의 고통을 함께 하는 나눔의 이념으로 시작한 일인만큼 카운셀러 담당자들은 김순자 실장을 비롯해 박경옥 전춘미씨 등 이 교회의 교인들. 하지만 종교에 대한 벽은 없다. 누구든 정신적인 방황이나 문제점이 있을 때 부담없이 털어놓고 조언을 구할 수 있는 곳이다.
생명의 전화에서 오랫동안 봉사활동을 해 온 전춘미씨는 "전화 상담자들의 대부분이 자신의 문제해결방법이 무엇인가를 잘 알고 있다"고 하면서 "그런 방법이 옳은 줄 알지만 그 것을 실행하기까지의 외부의 시선, 자기자신과의 내면갈등에 더 괴로워하는 경우가 많다"고 전한다. 자신들은 문제의 해결점을 제시한다기보다는 상담자들이 가슴에 쌓아둔 많은 얘기들을 들어줌으로서 정신적 카타르시스를 도와주고 어렵고 힘들더라도 상식적이고 원만한 해결방법을 할 수 있도록 용기를 불어 넣어주는 정도라고 하지만 남의 얘기를 길게는 서너 시간씩 들어주는 일은 쉽지 않은 일이다.
하지만 드물게 좋아졌다는 전화를 해 주기도 하는 상담자들이 있어 이 일에 보람을 느낀다는 전춘미씨. 자신도 가족을 잃은 상실의 아픔을 겪은 바 있어 상담자들의 전화가 남의 일처럼 느껴지지 않는다고. 심한 경우에는 도움을 청할 수 있는 기관이나 상담소를 연결해주기도 한다. 이곳의 카운셀러들은 정기적인 외부교육뿐 아니라 교회 자체내의 교육을 수시로 받는 등 카운셀러로서의 자질을 갖추는 자세를 늦추지 않고 있다.
상담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토요일은 오전만 운영한다. 031-918-9188.
이난숙 리포터 success62@hanmail.net
옛말에 병은 널리 알리라고 했던가. 이럴 땐 주변의 상담소나 치료기관을 찾아 적극적인 방법으로 대처하는 것도 좋은 해결방법이 될 수 있다.
고양시정신보건센터
덕양구 보건소 2층에 위치한 이 곳은 정신과전문의를 비롯하여 정신보건간호사, 정신보건 사회복지사 등 전문인력이 참여해 정신장애인들이 재활 및 사회복귀에 성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사회적 고정관념이 많이 완화되기는 했지만 아직 우리사회는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이 심한 편.
돌출적인 행동이나 비상식적인 행동을 하는 경우는 격리수용이 필요한 중증의 환자들로 우리가 알고 있는 정신질환자의 극소수이며 대부분의 정신질환은 사회성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가벼운 정신질환일수록 초기에 만성화되기 전 적극적인 상담과 치료, 재활로 세상과 손을 잡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고양시정신보건센터는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에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의 계획과 시행을 위탁, 1997년부터 현재까지 5년 동안 정신질환자의 등록관리, 주간재활프로그램 운영, 직업재활프로그램 운영, 주민대상 정신건강강좌, 지역사회참여와 지역사회 기관에 대한 자문을 통한 정신보건 환경조성, 조사연구 사업 등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주요사업으로는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해소와 이해증진을 위한 대중홍보, 정신의학 세미나, 사례집담회 등 기관에 대한 자문지원, 우울증예방 교육과 다양한 주제에 정신건강강좌, 그리고 만성질환자를 위한 정신보건서비스(가정방문을 포함하는 사례관리, 주간재활프로그램, 직업재활프로그램, 보호작업장 '디딤터'운영)등을 제공하고 있다. 주간재활프로그램은 주3회(월 수 금)운영하며 회원과 자원봉사자가 함께 자치적으로 참여하는 '동아리의 날'을 주2회(화 목)운영한다.
지난 21일에는 센터의 송년잔치인 '제 5회 나눔제'가 고양시 농업기술센터강당에서 열려 회원과 직원, 가족들이 지난 1년간 관심을 가지고 도움과 격려를 준 관계기관과 자원봉사자들과 함께 하는 자리를 마련하였다. 직원들과 함께 사물놀이, 합창 등 나눔 한마당에 참여하는 회원들의 무대 위 공연을 지켜본 이 센터 금 란 간호사는 "매년 이런 시간을 갖지만 무언가 조금씩 달라지는 회원들의 모습이 늘 감동적이다"라며 자신들의 조그만 도움과 봉사로 그들이 사회의 일원으로 당당히 자리잡을 때 가장 보람된다고 말한다.
이 행사 제2부에 있었던 가족 한마당 '영상편지'와 '가족에게 드리는 글'은 회원들이 자신들로 가슴앓이 하는 가족들에게 전하는 감사의 장으로 함께 자리한 모든 이들에게 잔잔한 감동을 주는 자리가 되었다.
고양시정신보건센터는 2002년에 재정지원과 전문인력 확보 등 정신보건사업의 제도적 시스템 정비, 연 1회 실시하던 정신보건강좌를 연 2회로 늘리는 정신보건 수혜 주민 확대, 청소년 정서 및 행동장애 고 위험군 집단 중점관리, 홈페이지 활성화, 정신재활프로그램의 다양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031-968-2333/ 홈페이지 www.goyangmaum.wo.to.
광성상담실
일산4동 광성교회에서 운영하는 상담전화. 율동 초등학교 앞 '10대들의 둥지' 안에 자리잡고 있다. 무겁고 힘든 짐을 진 이웃들의 고통을 함께 하는 나눔의 이념으로 시작한 일인만큼 카운셀러 담당자들은 김순자 실장을 비롯해 박경옥 전춘미씨 등 이 교회의 교인들. 하지만 종교에 대한 벽은 없다. 누구든 정신적인 방황이나 문제점이 있을 때 부담없이 털어놓고 조언을 구할 수 있는 곳이다.
생명의 전화에서 오랫동안 봉사활동을 해 온 전춘미씨는 "전화 상담자들의 대부분이 자신의 문제해결방법이 무엇인가를 잘 알고 있다"고 하면서 "그런 방법이 옳은 줄 알지만 그 것을 실행하기까지의 외부의 시선, 자기자신과의 내면갈등에 더 괴로워하는 경우가 많다"고 전한다. 자신들은 문제의 해결점을 제시한다기보다는 상담자들이 가슴에 쌓아둔 많은 얘기들을 들어줌으로서 정신적 카타르시스를 도와주고 어렵고 힘들더라도 상식적이고 원만한 해결방법을 할 수 있도록 용기를 불어 넣어주는 정도라고 하지만 남의 얘기를 길게는 서너 시간씩 들어주는 일은 쉽지 않은 일이다.
하지만 드물게 좋아졌다는 전화를 해 주기도 하는 상담자들이 있어 이 일에 보람을 느낀다는 전춘미씨. 자신도 가족을 잃은 상실의 아픔을 겪은 바 있어 상담자들의 전화가 남의 일처럼 느껴지지 않는다고. 심한 경우에는 도움을 청할 수 있는 기관이나 상담소를 연결해주기도 한다. 이곳의 카운셀러들은 정기적인 외부교육뿐 아니라 교회 자체내의 교육을 수시로 받는 등 카운셀러로서의 자질을 갖추는 자세를 늦추지 않고 있다.
상담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토요일은 오전만 운영한다. 031-918-9188.
이난숙 리포터 success62@hanmail.net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