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측 "이규형 주중대사 판단, 더 정확해"
MB '과잉' 기자회견 후 특별만찬에 후진타오 주석 불참 … 부시 압박해 종전선언 발언케 했던 '노무현의 결례' 연상
한중 정상회담에서 북한이 민생발전에 집중하도록 촉구했다는 후진타오(胡錦濤·70) 중국 국가주석의 발언에 대해 이명박 대통령이 과잉홍보에 나서면서 외교적 결례를 범한 것이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정상회담에 배석했던 이규형 주중대사가 이 대통령의 소개내용과 다르게 받아들인 소감을 밝혀 논란이 일고 있다. 이 주중대사는 29일 베이징의 한 음식점에서 가진 특파원들과의 오찬 간담회에서 '후 주석이 북한에 민생이나 챙기라는 식의 발언을 했나'라는 질문에 "북·중 관계에 비춰 주석이 비난조의 이야기를 하지는 않는다"며 "(광명성 3호 발사 선언이) 뜻밖의 일이라곤 했으나 비난하지는 않았다. 민생을 챙기라는 얘기는 코멘트하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이 대사는 이어 "그때 내가 딴생각을 했는지 모르겠으나 그런 얘기를 들은 것 같지 않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3월 26일 한중정상회담 직후 청와대는 "후 주석이 북에게 민생이나 챙기라고 했다"는 회담발언내용을 공개했다. 이어서 이명박 대통령은 핵안보정상회의 마무리를 위한 27일 의장 기자회견장에서 "중국의 대표께서도 북한은 주민들의 민생을 오히려 챙겨야지 수억 불의 돈을 그렇게 쓰는 것은 온당치 않다는 지적을 해 주셨다"고 이 대목을 다시 끄집어 환기시켰다. 이 발언은 중국 국가주석이 한국을 방문한 자리에서 자신들의 혈맹인 북한을 민생이나 챙기라며 비난 발언을 한 것으로 일부언론이 대서특필했다. 로켓발사를 앞두고 북이 사면초가에 몰린 상황을 가장 잘 보여주는 장면이었다.
그러나 회담에 배석했던 주중대사가 다른 말을 하고 나섬으로써 정상회담내용을 우리 정부가 과잉홍보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 대사는 중국이 기존의 입장에서 큰 변화가 없으며 북중관계에 비춰 비난발언을 할 수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
당시 후 주석을 수행했던 중국측 관계자는 30일 "이 대사의 판단이 더 정확한 것 같다"며 "중국은 북한에 '민생을 챙겨야 한다'는 말을 틈틈이 해 왔으며, 이번에 새로운 것이 아니다"고 말했다. 후 주석이 평소에도 북에게 민생을 챙겨야 한다는 당부를 해 왔다는 것인데 우리 정부가 이번 로켓발사를 앞두고 한 발언으로 과대포장했다는 얘기다.
자기 목적을 위해 언론을 앞에 두고 정상회담 내용을 특정방향으로 몰고가는 것은 외교적인 결례라는 지적이 많다. 과거 노무현 대통령이 부시를 압박해 '종전선언' 발언은 반복하게 만든 예가 있다. 라이스 전 미 국무장관은 자신의 회고록에서 노무현 대통령을 "이해하기 어려운 대통령 이었다"고 평가하며 그 근거로 2007년 9월 호주 시드니에서 열린 한ㆍ미 정상회담 후 가진 언론회동을 예로 들었다.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하면 북한과 관계 정상화를 추진하겠다는 뜻을 기자들에게 말해달라고 요청한 노 대통령은 부시와의 기자회견 중에 "조금 전 말씀하실 때 종전선언에 대해 말을 빠뜨리신 것 같은데…, 명확히 말씀을 해주셨으면 한다"고 요청해 부시를 당황하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당시 노 대통령은 '부시의 종전선언 약속'을 가지고 10.4 남북정상회담장에 선물로 들고갈 계획이었다.
이번 한중 정상회담에서 이 대통령은 후 주석의 평소 북한을 향한 당부발언을 과장함으로써 북한의 로켓발사를 고립시키는 데 최대효과를 얻어냈다. 그러나 청와대와 이 대통령의 거듭된 과잉홍보를 접한 후 주석은 이 대통령의 기자회견 직후 열린 특별만찬에 불참한 것으로 자신의 심경을 내비쳤다. 후 주석은 27일 핵안보정상회의 오전 오후 본행사에는 참석했으나, 신라호텔에서 열린 핵안보정상회의 특별만찬에 불참하고 호텔에 머물렀다. 후 주석과 함께 방한한 류융칭(劉永淸) 여사도 모든 공식행사에 불참했다.
김기수 기자 ks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MB '과잉' 기자회견 후 특별만찬에 후진타오 주석 불참 … 부시 압박해 종전선언 발언케 했던 '노무현의 결례' 연상
한중 정상회담에서 북한이 민생발전에 집중하도록 촉구했다는 후진타오(胡錦濤·70) 중국 국가주석의 발언에 대해 이명박 대통령이 과잉홍보에 나서면서 외교적 결례를 범한 것이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정상회담에 배석했던 이규형 주중대사가 이 대통령의 소개내용과 다르게 받아들인 소감을 밝혀 논란이 일고 있다. 이 주중대사는 29일 베이징의 한 음식점에서 가진 특파원들과의 오찬 간담회에서 '후 주석이 북한에 민생이나 챙기라는 식의 발언을 했나'라는 질문에 "북·중 관계에 비춰 주석이 비난조의 이야기를 하지는 않는다"며 "(광명성 3호 발사 선언이) 뜻밖의 일이라곤 했으나 비난하지는 않았다. 민생을 챙기라는 얘기는 코멘트하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이 대사는 이어 "그때 내가 딴생각을 했는지 모르겠으나 그런 얘기를 들은 것 같지 않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3월 26일 한중정상회담 직후 청와대는 "후 주석이 북에게 민생이나 챙기라고 했다"는 회담발언내용을 공개했다. 이어서 이명박 대통령은 핵안보정상회의 마무리를 위한 27일 의장 기자회견장에서 "중국의 대표께서도 북한은 주민들의 민생을 오히려 챙겨야지 수억 불의 돈을 그렇게 쓰는 것은 온당치 않다는 지적을 해 주셨다"고 이 대목을 다시 끄집어 환기시켰다. 이 발언은 중국 국가주석이 한국을 방문한 자리에서 자신들의 혈맹인 북한을 민생이나 챙기라며 비난 발언을 한 것으로 일부언론이 대서특필했다. 로켓발사를 앞두고 북이 사면초가에 몰린 상황을 가장 잘 보여주는 장면이었다.
그러나 회담에 배석했던 주중대사가 다른 말을 하고 나섬으로써 정상회담내용을 우리 정부가 과잉홍보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 대사는 중국이 기존의 입장에서 큰 변화가 없으며 북중관계에 비춰 비난발언을 할 수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
당시 후 주석을 수행했던 중국측 관계자는 30일 "이 대사의 판단이 더 정확한 것 같다"며 "중국은 북한에 '민생을 챙겨야 한다'는 말을 틈틈이 해 왔으며, 이번에 새로운 것이 아니다"고 말했다. 후 주석이 평소에도 북에게 민생을 챙겨야 한다는 당부를 해 왔다는 것인데 우리 정부가 이번 로켓발사를 앞두고 한 발언으로 과대포장했다는 얘기다.
자기 목적을 위해 언론을 앞에 두고 정상회담 내용을 특정방향으로 몰고가는 것은 외교적인 결례라는 지적이 많다. 과거 노무현 대통령이 부시를 압박해 '종전선언' 발언은 반복하게 만든 예가 있다. 라이스 전 미 국무장관은 자신의 회고록에서 노무현 대통령을 "이해하기 어려운 대통령 이었다"고 평가하며 그 근거로 2007년 9월 호주 시드니에서 열린 한ㆍ미 정상회담 후 가진 언론회동을 예로 들었다.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하면 북한과 관계 정상화를 추진하겠다는 뜻을 기자들에게 말해달라고 요청한 노 대통령은 부시와의 기자회견 중에 "조금 전 말씀하실 때 종전선언에 대해 말을 빠뜨리신 것 같은데…, 명확히 말씀을 해주셨으면 한다"고 요청해 부시를 당황하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당시 노 대통령은 '부시의 종전선언 약속'을 가지고 10.4 남북정상회담장에 선물로 들고갈 계획이었다.
이번 한중 정상회담에서 이 대통령은 후 주석의 평소 북한을 향한 당부발언을 과장함으로써 북한의 로켓발사를 고립시키는 데 최대효과를 얻어냈다. 그러나 청와대와 이 대통령의 거듭된 과잉홍보를 접한 후 주석은 이 대통령의 기자회견 직후 열린 특별만찬에 불참한 것으로 자신의 심경을 내비쳤다. 후 주석은 27일 핵안보정상회의 오전 오후 본행사에는 참석했으나, 신라호텔에서 열린 핵안보정상회의 특별만찬에 불참하고 호텔에 머물렀다. 후 주석과 함께 방한한 류융칭(劉永淸) 여사도 모든 공식행사에 불참했다.
김기수 기자 ks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