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남양주, 광역환경에너지센터 민자사업 추진
경기도 구리시와 남양주시가 광역환경에너지센터를 민간투자사업방식으로 건립하기로 해 주목된다. 민간사업자가 음식물쓰레기처리시설 등을 짓고 여기서 발생하는 열에너지로 물놀이시설 등 부대시설을 운영, 투자비를 회수하는 방식이다.
구리시는 "토평동 자원회수시설에 국·도비와 민간자본 등 1533억원을 들여 2017년까지 음식물쓰레기처리시설 등을 신·증설해 광역환경에너지센터로 전환할 계획"이라고 6일 밝혔다.
이를 위해 구리시는 최근 남양주시와 '광역폐기물 처리시설 설치 및 운영에 관한 협약'을 체결했다.
양 시는 이에 따라 하루 200톤 규모의 소각시설을 300톤 규모로 증설하고 하루 200톤 처리규모의 음식물쓰레기처리시설도 신설한다. 동시에 주민편익시설로 물놀이시설과 주차장, 공원 등 부대시설을 갖춘다. 전체 사업비 1500여억원 가운데 600여억원은 민간자본으로, 나머지는 국·도비 등을 지원받아 건립할 계획이다.
민간사업자는 음식물쓰레기처리시설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물놀이시설에 이용, 투자비를 회수하게 된다. 이 시설은 음식물쓰레기를 한 달 이상 숙성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로 전기와 스팀에너지를 만들고, 유기성 폐기물은 폐수와 슬러지로 분리해 하수처리장으로 보내거나 재처리하는 방식이다. 물놀이시설의 수온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막대한 에너지를 음식물폐기물에서 얻어 운영수익을 창출하는 구조다.
서울 동대문구의 경우 이 같은 방식의 음식물쓰레기처리시설에서 전력을 생산하고 폐열은 보일러를 통해 스팀을 만들어 재사용하고 있다. 연간 60만kw의 전력을 생산, 3억8000만원의 수익을 올리는 동시에 이산화탄소 2만4402톤을 감축하는 효과가 있다.
이번 민자사업은 삼성물산의 제안으로 시작됐다. 구리시는 지난해 삼성물산측 의향서를 받아 검토한 결과 타당성이 있다고 판단, 남양주시와 협약을 맺고 사업추진에 나섰다. 양 시는 시의회 승인에 이어 기획재정부 산하 공공투자관리센터의 적격성 검토를 거쳐 내년에 제3자 공모방식을 통해 사업자를 선정할 방침이다.
구리시 관계자는 "폐기물을 자원으로 활용하면 사업비 조달 부담을 덜 수 있어 1석 3조의 효과가 있는 사업"이라며 "시의회 동의를 얻기 위한 절차를 밟고 있다"고 말했다.
구리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경기도 구리시와 남양주시가 광역환경에너지센터를 민간투자사업방식으로 건립하기로 해 주목된다. 민간사업자가 음식물쓰레기처리시설 등을 짓고 여기서 발생하는 열에너지로 물놀이시설 등 부대시설을 운영, 투자비를 회수하는 방식이다.
구리시는 "토평동 자원회수시설에 국·도비와 민간자본 등 1533억원을 들여 2017년까지 음식물쓰레기처리시설 등을 신·증설해 광역환경에너지센터로 전환할 계획"이라고 6일 밝혔다.
이를 위해 구리시는 최근 남양주시와 '광역폐기물 처리시설 설치 및 운영에 관한 협약'을 체결했다.
양 시는 이에 따라 하루 200톤 규모의 소각시설을 300톤 규모로 증설하고 하루 200톤 처리규모의 음식물쓰레기처리시설도 신설한다. 동시에 주민편익시설로 물놀이시설과 주차장, 공원 등 부대시설을 갖춘다. 전체 사업비 1500여억원 가운데 600여억원은 민간자본으로, 나머지는 국·도비 등을 지원받아 건립할 계획이다.
민간사업자는 음식물쓰레기처리시설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물놀이시설에 이용, 투자비를 회수하게 된다. 이 시설은 음식물쓰레기를 한 달 이상 숙성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로 전기와 스팀에너지를 만들고, 유기성 폐기물은 폐수와 슬러지로 분리해 하수처리장으로 보내거나 재처리하는 방식이다. 물놀이시설의 수온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막대한 에너지를 음식물폐기물에서 얻어 운영수익을 창출하는 구조다.
서울 동대문구의 경우 이 같은 방식의 음식물쓰레기처리시설에서 전력을 생산하고 폐열은 보일러를 통해 스팀을 만들어 재사용하고 있다. 연간 60만kw의 전력을 생산, 3억8000만원의 수익을 올리는 동시에 이산화탄소 2만4402톤을 감축하는 효과가 있다.
이번 민자사업은 삼성물산의 제안으로 시작됐다. 구리시는 지난해 삼성물산측 의향서를 받아 검토한 결과 타당성이 있다고 판단, 남양주시와 협약을 맺고 사업추진에 나섰다. 양 시는 시의회 승인에 이어 기획재정부 산하 공공투자관리센터의 적격성 검토를 거쳐 내년에 제3자 공모방식을 통해 사업자를 선정할 방침이다.
구리시 관계자는 "폐기물을 자원으로 활용하면 사업비 조달 부담을 덜 수 있어 1석 3조의 효과가 있는 사업"이라며 "시의회 동의를 얻기 위한 절차를 밟고 있다"고 말했다.
구리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