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33년간 유지될 전망 … 개인·기업·정부 '100세 플랜' 세워야
북한을 제외한 우리나라 인구가 5000만명을 돌파했다. 4000만명을 돌파한 지 29년만이다.
22일 통계청의 '2010~2060년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구는 23일 오후 5시 36분을 기해 5000만명을 넘는다. 같은날 전 세계인구는 70억542만8000명이다.
우리나라 인구는 2030년 5216만명까지 늘었다가 2031년부터 줄어들기 시작한다.
높은 수준의 출산율과 기대수명, 국제순유입을 가정하면 총인구는 2041년에 5715만명으로 정점을 찍는다.
올해는 시간당 52명이 태어나고 31명이 사망해 자연증가로 21명씩 인구가 늘어난다. 4000만명을 넘어섰던 1983년엔 시간당 88명이 태어나고 29명이 사망해 59명의 자연증가를 보였다.
1967년 3000만명을 넘어선 후 1000만명이 더 늘어나는 데 16년이 걸렸다. 1983년 이후 5000만명을 달성한 올해까지는 29년의 시간이 필요했다.
앞으로 5000만명시대는 33년간 지속될 전망이다. 2045년에는 5000만명 밑으로 떨어진다. 2069년에는 4000만명 선이 무너지고 3000만명 수준까지 줄어드는 데는 2091년까지 약 23년이 소요될 전망이다. 낮은 수준의 인구성장을 가정하면 인구정점은 2016년으로 당겨지고 2060년 총인구는 3447만명으로 줄어들게 된다.
지난 30년간 기대수명은 15세 이상 늘어나 10년마다 평균 5세씩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남자와 여자의 기대수명은 2010년 77.2세, 84.1세에서 2040년에는 83.4세, 88.2세로 상승할 전망이다. 이같은 기대수명 증가는 어린이와 중년, 노년층의 사망위험이 줄어든 때문이다.
인구 5000만명 시대에 따른 고령자 대책도 필요하다. 모든 경제활동에서 은퇴하는 실질은퇴연령이 2009년기준으로 남자가 70.3세다. 65세 기대여명은 17.0세로 실질은퇴 이후 11.7년이 남게 된다.
서운주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인구 5000만명을 돌파해 내수가 커진 것은 긍정적이지만 외국인 노동자와 결혼이주 여성 등과의 통합문제, 고령화 저출산 문제에 따른 정책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준규 기자 jkpar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북한을 제외한 우리나라 인구가 5000만명을 돌파했다. 4000만명을 돌파한 지 29년만이다.
22일 통계청의 '2010~2060년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구는 23일 오후 5시 36분을 기해 5000만명을 넘는다. 같은날 전 세계인구는 70억542만8000명이다.
우리나라 인구는 2030년 5216만명까지 늘었다가 2031년부터 줄어들기 시작한다.
높은 수준의 출산율과 기대수명, 국제순유입을 가정하면 총인구는 2041년에 5715만명으로 정점을 찍는다.

1967년 3000만명을 넘어선 후 1000만명이 더 늘어나는 데 16년이 걸렸다. 1983년 이후 5000만명을 달성한 올해까지는 29년의 시간이 필요했다.
앞으로 5000만명시대는 33년간 지속될 전망이다. 2045년에는 5000만명 밑으로 떨어진다. 2069년에는 4000만명 선이 무너지고 3000만명 수준까지 줄어드는 데는 2091년까지 약 23년이 소요될 전망이다. 낮은 수준의 인구성장을 가정하면 인구정점은 2016년으로 당겨지고 2060년 총인구는 3447만명으로 줄어들게 된다.
지난 30년간 기대수명은 15세 이상 늘어나 10년마다 평균 5세씩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남자와 여자의 기대수명은 2010년 77.2세, 84.1세에서 2040년에는 83.4세, 88.2세로 상승할 전망이다. 이같은 기대수명 증가는 어린이와 중년, 노년층의 사망위험이 줄어든 때문이다.
인구 5000만명 시대에 따른 고령자 대책도 필요하다. 모든 경제활동에서 은퇴하는 실질은퇴연령이 2009년기준으로 남자가 70.3세다. 65세 기대여명은 17.0세로 실질은퇴 이후 11.7년이 남게 된다.
서운주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인구 5000만명을 돌파해 내수가 커진 것은 긍정적이지만 외국인 노동자와 결혼이주 여성 등과의 통합문제, 고령화 저출산 문제에 따른 정책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준규 기자 jkpar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