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적상위 20% 보충학습·특강 실시 … 38억원 투입
전북도내 지자체가 중·고교 성적 우수학생을 선별해 지원하는 인재육성 사업이 도마 위에 올랐다.
전북도와 도내 12개 지자체는 올해 '지역으뜸인재 육성 지원사업'을 하고 있다. 전주와 익산을 제외한 도내 인문고(96개교)와 중학교(208개교)에서 학업성적 상위 20%에 있는 학생들을 선발해 보충학습과 특강을 실시하는 사업이다. 방학과 주말을 이용해 교과과목 보충수업은 물론 논술·면접 등 외부강사 특강을 실시하는데 38억원(도비 30%)을 투입한다.
'교육 때문에 지역을 떠나는 학생들이 나오지 않게 하겠다'며 몇몇 기초지자체가 실시했던 제도를 전북도가 지원하면서 사실상 도내 전체 지자체가 대상이 됐다. 교육여건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전주시와 익산시를 빼고 12개 지자체에서 학교의 신청을 받아 지원자를 선발한다.
도내 지자체의 이같은 선별지원은 시행 초기부터 찬반 양론이 비등했다. 인성중심 교육정책을 강조하는 진보교육감 취임 이후 학력신장 대책을 요구해 온 학부모들은 제도 확대를 요구해 왔다. 반면 전교조 등 교육단체는 시대흐름과 역행한다며 반발하고 있다. 학교 현장에서도 혼란이 불가피하다. 전북도교육청은 보편적 교육복지 확대를 내걸고, 지자체는 경쟁지향 선발제도를 실시하는 형국이다.
전교조전북지부는 4일 "결국 '잘하는 사람 밀어주기'로 다수 학생에게 돌아가야 할 혜택이 줄어드는 역효과가 발생한다"면서 "지자체는 입시 위주 경쟁교육을 부추겨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지자체 관계자는 "아이들 교육 때문에 지역을 떠나는 현실을 외면할 수 없다"며 불가피성을 강조했다.
전주
이명환 기자 mha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전북도내 지자체가 중·고교 성적 우수학생을 선별해 지원하는 인재육성 사업이 도마 위에 올랐다.
전북도와 도내 12개 지자체는 올해 '지역으뜸인재 육성 지원사업'을 하고 있다. 전주와 익산을 제외한 도내 인문고(96개교)와 중학교(208개교)에서 학업성적 상위 20%에 있는 학생들을 선발해 보충학습과 특강을 실시하는 사업이다. 방학과 주말을 이용해 교과과목 보충수업은 물론 논술·면접 등 외부강사 특강을 실시하는데 38억원(도비 30%)을 투입한다.
'교육 때문에 지역을 떠나는 학생들이 나오지 않게 하겠다'며 몇몇 기초지자체가 실시했던 제도를 전북도가 지원하면서 사실상 도내 전체 지자체가 대상이 됐다. 교육여건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전주시와 익산시를 빼고 12개 지자체에서 학교의 신청을 받아 지원자를 선발한다.
도내 지자체의 이같은 선별지원은 시행 초기부터 찬반 양론이 비등했다. 인성중심 교육정책을 강조하는 진보교육감 취임 이후 학력신장 대책을 요구해 온 학부모들은 제도 확대를 요구해 왔다. 반면 전교조 등 교육단체는 시대흐름과 역행한다며 반발하고 있다. 학교 현장에서도 혼란이 불가피하다. 전북도교육청은 보편적 교육복지 확대를 내걸고, 지자체는 경쟁지향 선발제도를 실시하는 형국이다.
전교조전북지부는 4일 "결국 '잘하는 사람 밀어주기'로 다수 학생에게 돌아가야 할 혜택이 줄어드는 역효과가 발생한다"면서 "지자체는 입시 위주 경쟁교육을 부추겨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지자체 관계자는 "아이들 교육 때문에 지역을 떠나는 현실을 외면할 수 없다"며 불가피성을 강조했다.
전주
이명환 기자 mha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