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시장에서 집값 바닥론이 제기되고 있지만 이는 막연한 기대감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최근 수도권 아파트값 하락폭이 커지면서 집값이 바닥을 치고 내년에는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지만 실제로는 하락폭이 미미해 바닥론이 시기상조라는 것이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가 수도권 아파트 345만4630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최고점 이후 현재까지 변동률은 7% 하락하는데 그쳤다고 17일 밝혔다.

부동산써브는 2006년부터 현재까지 3.3㎡당 평균 매매가를 분석했다. 그 결과 2006년부터 최고점을 기록한 2008년 9월까지 43%나 올랐다. 하지만 2008년 9월 이후 현재까지 하락은 7%에 그쳤다.
수도권의 경우 2006년 3.3㎡당 매매가격이 882만원에서 2008년 9월 1260만원으로 올랐다. 지금은 1173만원으로 7% 내렸을 뿐이다.
강남 서초 송파 등 강남3구 지역은 2007년 1월 3001만원까지 올랐으나 지금은 2714만원으로 10% 떨어졌다.
2006년 5월 버블세븐으로 지정됐던 강남 서초 송파 목동(양천) 분당(경기 성남) 평촌 용인 등 7개 지역은 1657만원에서 2168만원까지 상승했다가 현재는 1899만원을 기록하고 있다.
집값이 오를 때는 단기간 폭발적인 속도를 보이지만 하락은 완만한 모습이다. 거품이 꺼지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박정욱 부동산써브 선임연구원은 "앞으로 아파트가격은 추가 가격하락 여지가 있는데다가 대외경제상황도 좋지 않다"며 "집값 상승 기대감도 저하됐기 때문에 집값 하향화 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오승완 기자 osw@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