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에 따른 소비둔화 영향 … 곡물가격 급등 등 우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국제유가 하락과 농축수산물 가격이 안정된데다 경기침체로 소비까지 둔화돼 물가상승률을 크게 떨어지게 만들었다.
1일 통계청이 발표한 7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지난달 물가는 작년 7월보다 1.5% 올랐다. 이는 2000년 5월 1.1% 이후 가장 낮은 상승률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대로 내려간 것은 2009년 7월(1.6%) 이후 처음이다.
전년동월 대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2월 3.1%에서 3월 2.6%로 낮아졌으며 4월과 5월에는 2.5%, 6월에는 2.2%로 떨어졌다.
기획재정부는 "장마 피해가 크지 않아 농축수산물 가격이 안정되고 기름 값이 내려가면서 공급측 불안요인이 해소됐다"면서 "수요 측면에서는 경기 불확실성으로 경제 주체들이 소비를 미루면서 공업제품 등 가격이 안정된 점도 있다"고 평가했다.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1년전보다 1.2% 오르고, 전달과 비교해서는 보합세를 유지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에너지제외지수의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도 1.2%로 나타났다.
생활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0.8% 오르고, 전달보다는 0.5% 떨어졌다. 신선식품지수는 전월 대비 2.4% 내리며 상승세가 꺾였다.
지난해 같은 달보다 신선어개(어류와 조개류)는 2.0%, 신선과실은 7.6% 각각 올랐다. 신선채소는 1.0%, 기타신선식품은 5.5% 내렸다.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에 미친 부문별 기여도를 보면 서비스(0.59%p)가 가장 컸고 공업제품(0.46%p), 전기 수도 가스(0.30%p), 농축수산물(0.12%p) 순이었다.
◆여전히 높은 집값 = 지출 목적별로는 작년 7월 대비로 기타상품ㆍ서비스(-5.5%), 통신(-3.4%) 등이 하락했다. 의류 및 신발(5.0%), 주택ㆍ수도ㆍ전기 및 연료(4.8%) 등 나머지 부문은 모두 상승했다.
품목 성질별로 보면 농축수산물이 전월보다 1.6% 내리고 작년 같은 달보다는 1.5% 올랐다. 고춧가루(70.3%), 파(73.4%), 배추(34.6%) 등이 작년 7월보다 급등했다.
공업제품에서는 휘발유(-0.9%) 등 석유류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0.7% 내렸으나, 전기 수도 가스는 6.2% 올랐다. 집세는 전세(4.9%)가 높은 상승률을 유지한 탓에 지난해 7월보다 4.2% 올랐다.
공공서비스는 0.3%, 개인서비스는 0.6%로 소폭 상승했다.
공공서비스 중 하수도료(13.4%), 전철료(13.2%), 시내버스료(9.9%) 등이 올랐고 이동전화료(-6.4%), 스마트폰이용료(-1.8%) 등은 내
렸다.
개인서비스에선 중학생 학원비(6.0%), 고등학생 학원비(5.4%), 초등학생 학원비(4.9%) 등 사교육비가 상승세를 주도했다.
◆복병을 잡아라 = 정부는 국제곡물가격 급등과 공급측 애로요인의 재부각 등을 물가불안요인으로 짚었다.
성창훈 기획재정부 물가정책과장은 "국제 곡물가격 급등은 4~7개월의 시차를 두고 가공식품, 사료가격 인상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최근 국제유가가 재상승하면서 국내석유류 가격의 상승압력이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제곡물 중 옥수수 가격은 연초에 부셸 당 659센트에서 지난달 30일엔 최고수준인 814센트까지 치솟았다. 소맥은 957센트에서 915센트로 올랐으며 대두는 1228센트에서 1644센트로 급등했다.
두바이유 역시 지난 6월에는 배럴당 94.4달러로 떨어졌으나 7월엔 99.1달러까지 상승했다. 100달러선을 재돌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국제휘발유가격은 리터당 지난 6월에 101.2원이었으나 7월엔 110.2원으로 반등했다.
기획재정부는 또 "태풍, 추석명절 수요 등으로 국내 농산물 가격도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국제곡물가격 상승을 기회로 가공식품 축산물 등의 편승인상 가능성에 대해 면밀히 점검하고 대응하겠다"면서 "국내 기름값 안정을 위해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알뜰주유소 확대, 혼합판매 활성화, 전자상거래시장 조기 정착 등 석유산업 경쟁촉진 대책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박준규 기자 jkpar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국제유가 하락과 농축수산물 가격이 안정된데다 경기침체로 소비까지 둔화돼 물가상승률을 크게 떨어지게 만들었다.
1일 통계청이 발표한 7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지난달 물가는 작년 7월보다 1.5% 올랐다. 이는 2000년 5월 1.1% 이후 가장 낮은 상승률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대로 내려간 것은 2009년 7월(1.6%) 이후 처음이다.
전년동월 대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2월 3.1%에서 3월 2.6%로 낮아졌으며 4월과 5월에는 2.5%, 6월에는 2.2%로 떨어졌다.
기획재정부는 "장마 피해가 크지 않아 농축수산물 가격이 안정되고 기름 값이 내려가면서 공급측 불안요인이 해소됐다"면서 "수요 측면에서는 경기 불확실성으로 경제 주체들이 소비를 미루면서 공업제품 등 가격이 안정된 점도 있다"고 평가했다.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1년전보다 1.2% 오르고, 전달과 비교해서는 보합세를 유지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에너지제외지수의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도 1.2%로 나타났다.
생활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0.8% 오르고, 전달보다는 0.5% 떨어졌다. 신선식품지수는 전월 대비 2.4% 내리며 상승세가 꺾였다.
지난해 같은 달보다 신선어개(어류와 조개류)는 2.0%, 신선과실은 7.6% 각각 올랐다. 신선채소는 1.0%, 기타신선식품은 5.5% 내렸다.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에 미친 부문별 기여도를 보면 서비스(0.59%p)가 가장 컸고 공업제품(0.46%p), 전기 수도 가스(0.30%p), 농축수산물(0.12%p) 순이었다.
◆여전히 높은 집값 = 지출 목적별로는 작년 7월 대비로 기타상품ㆍ서비스(-5.5%), 통신(-3.4%) 등이 하락했다. 의류 및 신발(5.0%), 주택ㆍ수도ㆍ전기 및 연료(4.8%) 등 나머지 부문은 모두 상승했다.
품목 성질별로 보면 농축수산물이 전월보다 1.6% 내리고 작년 같은 달보다는 1.5% 올랐다. 고춧가루(70.3%), 파(73.4%), 배추(34.6%) 등이 작년 7월보다 급등했다.
공업제품에서는 휘발유(-0.9%) 등 석유류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0.7% 내렸으나, 전기 수도 가스는 6.2% 올랐다. 집세는 전세(4.9%)가 높은 상승률을 유지한 탓에 지난해 7월보다 4.2% 올랐다.
공공서비스는 0.3%, 개인서비스는 0.6%로 소폭 상승했다.
공공서비스 중 하수도료(13.4%), 전철료(13.2%), 시내버스료(9.9%) 등이 올랐고 이동전화료(-6.4%), 스마트폰이용료(-1.8%) 등은 내
렸다.
개인서비스에선 중학생 학원비(6.0%), 고등학생 학원비(5.4%), 초등학생 학원비(4.9%) 등 사교육비가 상승세를 주도했다.
◆복병을 잡아라 = 정부는 국제곡물가격 급등과 공급측 애로요인의 재부각 등을 물가불안요인으로 짚었다.
성창훈 기획재정부 물가정책과장은 "국제 곡물가격 급등은 4~7개월의 시차를 두고 가공식품, 사료가격 인상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최근 국제유가가 재상승하면서 국내석유류 가격의 상승압력이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제곡물 중 옥수수 가격은 연초에 부셸 당 659센트에서 지난달 30일엔 최고수준인 814센트까지 치솟았다. 소맥은 957센트에서 915센트로 올랐으며 대두는 1228센트에서 1644센트로 급등했다.
두바이유 역시 지난 6월에는 배럴당 94.4달러로 떨어졌으나 7월엔 99.1달러까지 상승했다. 100달러선을 재돌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국제휘발유가격은 리터당 지난 6월에 101.2원이었으나 7월엔 110.2원으로 반등했다.
기획재정부는 또 "태풍, 추석명절 수요 등으로 국내 농산물 가격도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국제곡물가격 상승을 기회로 가공식품 축산물 등의 편승인상 가능성에 대해 면밀히 점검하고 대응하겠다"면서 "국내 기름값 안정을 위해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알뜰주유소 확대, 혼합판매 활성화, 전자상거래시장 조기 정착 등 석유산업 경쟁촉진 대책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박준규 기자 jkpar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