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이후 낙찰가율 최저 … 용인, 6년만에 반값
버블세븐지역 아파트 낙찰가율이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신규 부동산시장은 물론 경매시장에서도 찬밥신세로 전락한 것이다.
지난달 31일 부동산 경매정보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버블세븐 지역 아파트의 올해 평균 낙찰가율은 71%로 2006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버블세븐은 부동산 가격이 급증한 강남구와 서초구, 송파구, 양천구 목동, 경기도 성남시 분당, 안양시 평촌, 용인시 등 7개 지역을 말하는 것으로 2006년 지정됐다. 2006년 버블세븐으로 지정될 당시 이 지역 아파트의 법원경매 평균 낙찰가율은 93.8%에 달했다.
낙찰가율은 감정가 대비 낙찰가비율이다. 100% 미만일 경우 감정가보다 싸게 팔리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낙찰가율은 6년전보다 평균 23%p나 감소했다.
2006년에는 버블세븐 지역 가운데 낙찰가율이 100%를 넘는 곳은 송파, 분당, 평촌, 용인 4곳에 달했다. 하지만 올해 낙찰가율이 80% 를 넘는 곳이 한 곳도 없다
2006년 낙찰가가 가장 높은 곳은 용인으로 103.8%였다. 다음으로는 분당(101.9%), 평촌(101.4%), 송파(100.4%)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용인의 올해 평균 낙찰가율은 58.3%다. 최고치의 절반으로 떨어진 것이다.
용인 수지구 전용면적 189㎡의 만현마을 두산위브 아파트는 2006년 4월 첫 경매에서 감정가 7억원의 111.6%인 7억8137만원에 낙찰됐다. 하지만 올해 2월 같은 아파트에서 나온 같은 면적의 물건은 두차례 유찰된뒤 4억2599만원에 낙찰됐다. 낙찰가율은 감정가의 65.5%에 불과했다.
하유정 지지옥션 연구원은 "요즘엔 세 번은 유찰돼야 응찰자들이 관심을 갖기 시작한다"며 "낙찰가도 예전의 절반수준인 사례가 많다"고 말했다.
오승완 기자 osw@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버블세븐지역 아파트 낙찰가율이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신규 부동산시장은 물론 경매시장에서도 찬밥신세로 전락한 것이다.
지난달 31일 부동산 경매정보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버블세븐 지역 아파트의 올해 평균 낙찰가율은 71%로 2006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버블세븐은 부동산 가격이 급증한 강남구와 서초구, 송파구, 양천구 목동, 경기도 성남시 분당, 안양시 평촌, 용인시 등 7개 지역을 말하는 것으로 2006년 지정됐다. 2006년 버블세븐으로 지정될 당시 이 지역 아파트의 법원경매 평균 낙찰가율은 93.8%에 달했다.
낙찰가율은 감정가 대비 낙찰가비율이다. 100% 미만일 경우 감정가보다 싸게 팔리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낙찰가율은 6년전보다 평균 23%p나 감소했다.
2006년에는 버블세븐 지역 가운데 낙찰가율이 100%를 넘는 곳은 송파, 분당, 평촌, 용인 4곳에 달했다. 하지만 올해 낙찰가율이 80% 를 넘는 곳이 한 곳도 없다
2006년 낙찰가가 가장 높은 곳은 용인으로 103.8%였다. 다음으로는 분당(101.9%), 평촌(101.4%), 송파(100.4%)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용인의 올해 평균 낙찰가율은 58.3%다. 최고치의 절반으로 떨어진 것이다.
용인 수지구 전용면적 189㎡의 만현마을 두산위브 아파트는 2006년 4월 첫 경매에서 감정가 7억원의 111.6%인 7억8137만원에 낙찰됐다. 하지만 올해 2월 같은 아파트에서 나온 같은 면적의 물건은 두차례 유찰된뒤 4억2599만원에 낙찰됐다. 낙찰가율은 감정가의 65.5%에 불과했다.
하유정 지지옥션 연구원은 "요즘엔 세 번은 유찰돼야 응찰자들이 관심을 갖기 시작한다"며 "낙찰가도 예전의 절반수준인 사례가 많다"고 말했다.
오승완 기자 osw@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