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빗물 우회 하수관거 설치 검토 … 설계·시공만 3년
서울 강남역 일대가 2010년부터 3년 연속 침수돼 서울시가 대책을 내놨지만 최소 3년은 지나야 공사가 마무리돼 폭우로 인한 침수피해가 되풀이 될 전망이다.

<광복절인 15일="" 서울에="" 시간당="" 50㎜="" 안팎의="" 폭우가="" 쏟아져="" 시내="" 일부="" 상습="" 침수구역과="" 도로가="" 물바다로="" 변했다.="" 지난해="" 집중호우="" 당시="" 침수="" 피해가="" 컸던="" 강남역="" 인근="" 도로가="" 이날="" 또="" 물에="" 잠기면서="" 차량과="" 보행자가="" 통행하는="" 데="" 큰="" 불편을="" 겪었다.="" 사진은="" 누리꾼들이="" 트위터에="" 올린="" 강남역="" 침수="" 장면="" 모음.="" 사진="" 연합뉴스="">
서울시는 15일 폭우에 강남역 일대가 침수되자 그 대책으로 서울교대역~강남고속터미널 구간에 하수관거를 신설해 강남역으로 유입되는 빗물을 분산시키는 '하수관거 유역분리'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고 16일 밝혔다. 하지만 유역분리 방안이 확정되더라도 설계 1년, 시공 2년 등 최소한 3년은 지나야 공사가 마무리된다. 그 전까지는 강남역 일대에 집중호우가 쏟아질 경우 침수피해가 되풀이될 것으로 보인다.
고태규 서울시 수방정책보좌관은 "다음달 강남역 침수대책을 확정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설계에 1년, 시공에 2년이 걸리는 등 최소 3년은 지나야 공사가 마무리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가 내놓은 '하수관거 유역분리' 방안의 주요 골자는 교대역~고속터미널 구간에 지름 7m, 길이 900m의 하수관거를 새로 묻어 고지대에서 저지대인 강남역 일대로 내려오는 빗물을 반포천으로 돌리는 방안이다. 이를 통해 반포천 상류의 통수능력을 추가로 확보해 강남역 일대의 침수를 방지하는 것이다. 또 늘어난 통수능력만큼 서초빗물펌프장을 증설하고, 용허리공원에 1만5000톤 규모의 빗물 저류조도 만든다는 계획이다. 이 방안을 추진하는데 드는 총 사업비는 607억원이다.
권기욱 서울시 물관리정책관은 "하수관거 유역분리 방안은 차량이 한꺼번에 몰리는 큰 도로의 숨통을 틔우기 위해 우회도로를 새로 만드는 것처럼 물길을 돌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서울시가 검토해온 강남역 침수대책으로는 △빗물저류 배수시설 설치(사업비 1317억원) △주변 땅을 사들인 뒤 반포천 복개구간 단면 확장(4006억원) △빗물저류시설 설치(1500억원) 방안 등이 있다.
당초 시는 2010년 집중호우로 강남역이 침수되자 빗물저류 배수시설을 설치하는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이 방안은 지하 40m에 지름 7.5m 길이 3.1㎞ 터널형 대형관을 묻어 강남역에 몰리는 빗물을 한강으로 직접 방출하는 것으로 근본적인 배수 개선 방안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시는 공사비가 1317억원이 넘는데다 유지관리비가 비싸다는 이유로 이 방안을 사실상 포기했다.
김선일 기자 si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광복절인>
서울 강남역 일대가 2010년부터 3년 연속 침수돼 서울시가 대책을 내놨지만 최소 3년은 지나야 공사가 마무리돼 폭우로 인한 침수피해가 되풀이 될 전망이다.

<광복절인 15일="" 서울에="" 시간당="" 50㎜="" 안팎의="" 폭우가="" 쏟아져="" 시내="" 일부="" 상습="" 침수구역과="" 도로가="" 물바다로="" 변했다.="" 지난해="" 집중호우="" 당시="" 침수="" 피해가="" 컸던="" 강남역="" 인근="" 도로가="" 이날="" 또="" 물에="" 잠기면서="" 차량과="" 보행자가="" 통행하는="" 데="" 큰="" 불편을="" 겪었다.="" 사진은="" 누리꾼들이="" 트위터에="" 올린="" 강남역="" 침수="" 장면="" 모음.="" 사진="" 연합뉴스="">
서울시는 15일 폭우에 강남역 일대가 침수되자 그 대책으로 서울교대역~강남고속터미널 구간에 하수관거를 신설해 강남역으로 유입되는 빗물을 분산시키는 '하수관거 유역분리'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고 16일 밝혔다. 하지만 유역분리 방안이 확정되더라도 설계 1년, 시공 2년 등 최소한 3년은 지나야 공사가 마무리된다. 그 전까지는 강남역 일대에 집중호우가 쏟아질 경우 침수피해가 되풀이될 것으로 보인다.
고태규 서울시 수방정책보좌관은 "다음달 강남역 침수대책을 확정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설계에 1년, 시공에 2년이 걸리는 등 최소 3년은 지나야 공사가 마무리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가 내놓은 '하수관거 유역분리' 방안의 주요 골자는 교대역~고속터미널 구간에 지름 7m, 길이 900m의 하수관거를 새로 묻어 고지대에서 저지대인 강남역 일대로 내려오는 빗물을 반포천으로 돌리는 방안이다. 이를 통해 반포천 상류의 통수능력을 추가로 확보해 강남역 일대의 침수를 방지하는 것이다. 또 늘어난 통수능력만큼 서초빗물펌프장을 증설하고, 용허리공원에 1만5000톤 규모의 빗물 저류조도 만든다는 계획이다. 이 방안을 추진하는데 드는 총 사업비는 607억원이다.
권기욱 서울시 물관리정책관은 "하수관거 유역분리 방안은 차량이 한꺼번에 몰리는 큰 도로의 숨통을 틔우기 위해 우회도로를 새로 만드는 것처럼 물길을 돌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서울시가 검토해온 강남역 침수대책으로는 △빗물저류 배수시설 설치(사업비 1317억원) △주변 땅을 사들인 뒤 반포천 복개구간 단면 확장(4006억원) △빗물저류시설 설치(1500억원) 방안 등이 있다.
당초 시는 2010년 집중호우로 강남역이 침수되자 빗물저류 배수시설을 설치하는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이 방안은 지하 40m에 지름 7.5m 길이 3.1㎞ 터널형 대형관을 묻어 강남역에 몰리는 빗물을 한강으로 직접 방출하는 것으로 근본적인 배수 개선 방안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시는 공사비가 1317억원이 넘는데다 유지관리비가 비싸다는 이유로 이 방안을 사실상 포기했다.
김선일 기자 si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광복절인>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