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발 물러난 개포1단지 소형 25%로
… 수정안 통과 `미지수`
서울 개포주공1단지가 소형 아파트(전용 60㎡ 이하) 비율을 기존 22.4%에서 25.6%로 높이기로 했다. 그러나 소형 비율 30%를 권고하고 있는 서울시가 이를 받아들일지는 미지수다.
9일 강남구에 따르면 개포주공1단지 재건축조합은 소형 비율을 기존 22.4%에서 25.6%로 상향 조정하는 안을 강남구청에 제출했다. 1단지는 서울시의 소형 30% 권고에도 불구하고 지난달 22%대의 소형안을 마련해 심의를 받은 바 있다.
수정안에 따르면 현재 5040가구를 6628가구로 재건축하면서 소형주택을 1699가구(25.6%) 들인다. 면적별로는 △36㎡ 509가구(임대 348가구) △46㎡ 294가구(임대 80가구) △59㎡ 896가구(임대 80가구) △84㎡ 2476가구 △101㎡ 748가구 △112㎡ 1084가구 △125㎡ 379가구 △156㎡ 139가구 △168㎡ 103가구 등이다. 84㎡ 초과 중대형이 129가구 줄어들고, 60㎡ 이하 소형은 239가구 증가했다. 36㎡ 단일형이었던 임대주택도 36·46·59㎡로 다양해졌다. 같은 동에 임대와 분양 주택을 혼합배치하는 소셜믹스 확보 권고도 받아들이기로 했다.
개포1단지 조합 관계자는 “단지를 관통하는 도로와 학교, 통경축 등에 따른 건축제한으로 소형주택 비율을 20%만 적용하더라도 28.6%와 같은 효과가 있다”며 “기존 소형비율(22.4%)이 적정하지만 인근 단지와의 형평성을 감안해 소형비율을 확대했다”고 설명했다. 강남구 관계자는 “개포1단지가 제출한 정비계획안을 다음주 초 서울시에 제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소형 확대 굴복한 가락시영, 8개월만에 결정고시
소형주택비율 30%로 정비계획안 수정…조합 "건축심의, 사업시행인가 변경 추진"
국내 최대 재건축 단지인 서울 송파구 가락시영아파트가 도시계획위원회의 종(種) 상향 승인 이후 8개월만에 정비구역 지정 고시되면서 마침내 착공을 눈앞에 뒀다.
서울시는 16일 시보를 통해 ''가락시영아파트 주택재건축정비구역 지정안''을 결정 고시했다. 지정안에 따르면 가락시영은 기존 6600가구를 헐고 신축하는 9578가구 중 30%인 2874가구를 60㎡(이하 전용면적) 미만 소형으로 짓기로 했다.
면적별 가구수는 △39㎡ 1473가구 △49㎡ 601가구 △59㎡ 800가구 △85㎡ 5140가구 △99㎡ 600가구 △111㎡ 800가구 △136㎡ 140가구 △158㎡ 24가구 등이다. 시공은 삼성물산 (69,000원 400 0.6%)건설부문, 현대건설 (65,000원 100 0.1%), 현대산업 (22,600원 200 0.9%)개발이 공동으로 맡는다.
가락시영은 지난해 12월 도계위 통과 당시 소형주택비율 25% 이상 확보를 조건으로 제시받았지만 시의 소형주택 추가 확보 권고로 갈등을 겪으며 8개월간 결정고시가 미뤄져 왔다.
결국 조합측이 최근 소형주택 비율을 5%포인트 상향 조정해 30%로 맞추면서 이날 고시가 이뤄진 것이다. 지난 1월 조합이 마련했던 당초 계획안은 60㎡ 미만 소형주택을 신축가구수 대비 25% 수준인 2292가구로 구상했다.
조합은 계획안 변경을 통해 100㎡ 초과 대형 주택을 기존안에 비해 260가구 줄인 반면 소형주택을 582가구 늘렸고 선호도가 높은 85㎡도 302가구를 추가로 계획했다.
현재 선이주가 진행 중인 가락시영 재건축 사업은 결정고시가 남에 따라 사업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조합 관계자는 "건축심의를 거쳐 사업시행인가 변경 작업에 들어간 뒤 내년 쯤 관리처분 총회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가락시영이 시의 소형주택 비율 30%를 받아들이면서 강동구 둔촌주공과 강남구 개포주공1단지 등도 소형주택 추가 확보 압력이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현재 둔촌주공은 종 상향을 통해 기존 5930가구를 1만729가구로 재건축할 계획이지만 소형이 신축가구수의 20% 수준인 2174가구에 불과해 도계위 심의를 통과하지 못하고 있다.
개포주공1단지의 경우에도 22.4%의 소형비율을 고집하다 최근 25.6% 수정안을 시에 제출했지만 시가 원하고 있는 30%와는 격차가 커서 통과여부는 여전히 미지수다.
서울시 ‘소형주택비율 30%’ 재확인
2012-07-26 오후 1:36:36 게재
개포주공1단지 소형 22.4% 재건축안 또 제동
시 관계자 "다른 단지와의 형평성 … 재심의"
서울시가 개포주공1단지 재건축안에 대해 소형주택비율을 30%까지 확대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26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 24일 열린 시 도시계획위원회 소위원회는 60㎡미만 소형주택 비율이 22.4%인 개포주공1단지 정비계획안을 도계위 본회의 심의에 붙이지 않고 조합으로 되돌려보냈다.
서울시 관계자는 "이날 논의에서 결론이 나지 않았지만 심의 자체가 보류된 것은 아니다"면서도 "다른 단지와의 형평성이 있어서 소형주택 비율을 추가로 늘리는 등 정비계획안을 수정해 오면 다시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가 임대아파트와 소형평형을 확대하기 위해 내놓은 '소형30%' 원칙을 재확인한 것이다.
이번 계획안을 보면 지난 4월 도계위에서 보류된 계획안보다 소형가구가 늘었지만 전체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0%에는 못미친다. 소형가구수가 1282가구에서 1460가구로 178가구 늘면서 신축가구 수도 6340가구에서 6518가구로 확대됐다. 면적별로는 △60㎡미만 소형주택 1460가구(22.4%) △60~85㎡이하 2530가구(38.8%) △85㎡초과 2528가구(38.8%)로 계획했다. 이는 시가 권고하고 있는 소형비율과는 상당한 격차가 있어 이날 심의에서 상당한 논란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서울시의회는 개포주공1단지 조합이 제출한 소형비율 22.4%를 포함한 재건축 수정안의 조속한 심의를 촉구하는 주민청원을 받아들여 시에 권고했다. 시의회는 지난 9일 열린 본회의에서 "재건축 사업이 민간 부담으로 행해지는 사업임을 고려할 때 사업계획 기준을 과도하게 강화해 소형주택 비중을 큰 폭으로 높일 경우 사업을 지연시킬 수 있고 거주민의 주거환경도 개선되기 어렵다"며 "정비계획은 민간조합이 받아들일 수 있는 범위 안에서 결정함이 타당하다"고 밝혔다.
조합측도 소형주택 비율을 22.4%에서 추가로 늘리기 어렵다는 내용의 정비계획안 설명자료를 시 주택정책실에 제출했다. 하지만 시는 시의회 권고와 조합측의 의사를 반영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개포1단지 조합 관계자는 "지금보다 소형주택 비율을 높이면 사업성이 떨어지는 등 사업 추진에 어려움이 많다"면서도 "시의 입장을 전달받는대로 조합원들과 논의를 거쳐 소형비율 추가 확대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심의에 같이 상정된 개포주공4단지 정비계획안도 다음번 소위원회에서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 4단지는 당초 소형주택 비율을 신축가구수 대비 23.5%에서 27%대로 높여 재상정했지만 소위원회 문턱을 넘지 못했다. 하지만 4단지는 서울시의 권고를 받아들여 당초 신축 가구수 대비 27%안을 수정, 30%로 확대키로 했다. 이번 소위원회에서 소형주택비율을 30%대로 끌어올리기로 합의하면서 60㎡미만 소형아파트를 기존안(854가구)보다 100여가구를 더 짓게 된다.
도계위 소위원회는 이날 개포주공4단지 정비계획안에 대해 60㎡미만 소형주택 비율을 30%로 확대하는 것을 조건으로 본회의 심의에 상정키로 결정했다.
김선일 기자 si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 수정안 통과 `미지수`
서울 개포주공1단지가 소형 아파트(전용 60㎡ 이하) 비율을 기존 22.4%에서 25.6%로 높이기로 했다. 그러나 소형 비율 30%를 권고하고 있는 서울시가 이를 받아들일지는 미지수다.
9일 강남구에 따르면 개포주공1단지 재건축조합은 소형 비율을 기존 22.4%에서 25.6%로 상향 조정하는 안을 강남구청에 제출했다. 1단지는 서울시의 소형 30% 권고에도 불구하고 지난달 22%대의 소형안을 마련해 심의를 받은 바 있다.
수정안에 따르면 현재 5040가구를 6628가구로 재건축하면서 소형주택을 1699가구(25.6%) 들인다. 면적별로는 △36㎡ 509가구(임대 348가구) △46㎡ 294가구(임대 80가구) △59㎡ 896가구(임대 80가구) △84㎡ 2476가구 △101㎡ 748가구 △112㎡ 1084가구 △125㎡ 379가구 △156㎡ 139가구 △168㎡ 103가구 등이다. 84㎡ 초과 중대형이 129가구 줄어들고, 60㎡ 이하 소형은 239가구 증가했다. 36㎡ 단일형이었던 임대주택도 36·46·59㎡로 다양해졌다. 같은 동에 임대와 분양 주택을 혼합배치하는 소셜믹스 확보 권고도 받아들이기로 했다.
개포1단지 조합 관계자는 “단지를 관통하는 도로와 학교, 통경축 등에 따른 건축제한으로 소형주택 비율을 20%만 적용하더라도 28.6%와 같은 효과가 있다”며 “기존 소형비율(22.4%)이 적정하지만 인근 단지와의 형평성을 감안해 소형비율을 확대했다”고 설명했다. 강남구 관계자는 “개포1단지가 제출한 정비계획안을 다음주 초 서울시에 제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소형 확대 굴복한 가락시영, 8개월만에 결정고시
소형주택비율 30%로 정비계획안 수정…조합 "건축심의, 사업시행인가 변경 추진"
국내 최대 재건축 단지인 서울 송파구 가락시영아파트가 도시계획위원회의 종(種) 상향 승인 이후 8개월만에 정비구역 지정 고시되면서 마침내 착공을 눈앞에 뒀다.
서울시는 16일 시보를 통해 ''가락시영아파트 주택재건축정비구역 지정안''을 결정 고시했다. 지정안에 따르면 가락시영은 기존 6600가구를 헐고 신축하는 9578가구 중 30%인 2874가구를 60㎡(이하 전용면적) 미만 소형으로 짓기로 했다.
면적별 가구수는 △39㎡ 1473가구 △49㎡ 601가구 △59㎡ 800가구 △85㎡ 5140가구 △99㎡ 600가구 △111㎡ 800가구 △136㎡ 140가구 △158㎡ 24가구 등이다. 시공은 삼성물산 (69,000원 400 0.6%)건설부문, 현대건설 (65,000원 100 0.1%), 현대산업 (22,600원 200 0.9%)개발이 공동으로 맡는다.
가락시영은 지난해 12월 도계위 통과 당시 소형주택비율 25% 이상 확보를 조건으로 제시받았지만 시의 소형주택 추가 확보 권고로 갈등을 겪으며 8개월간 결정고시가 미뤄져 왔다.
결국 조합측이 최근 소형주택 비율을 5%포인트 상향 조정해 30%로 맞추면서 이날 고시가 이뤄진 것이다. 지난 1월 조합이 마련했던 당초 계획안은 60㎡ 미만 소형주택을 신축가구수 대비 25% 수준인 2292가구로 구상했다.
조합은 계획안 변경을 통해 100㎡ 초과 대형 주택을 기존안에 비해 260가구 줄인 반면 소형주택을 582가구 늘렸고 선호도가 높은 85㎡도 302가구를 추가로 계획했다.
현재 선이주가 진행 중인 가락시영 재건축 사업은 결정고시가 남에 따라 사업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조합 관계자는 "건축심의를 거쳐 사업시행인가 변경 작업에 들어간 뒤 내년 쯤 관리처분 총회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가락시영이 시의 소형주택 비율 30%를 받아들이면서 강동구 둔촌주공과 강남구 개포주공1단지 등도 소형주택 추가 확보 압력이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현재 둔촌주공은 종 상향을 통해 기존 5930가구를 1만729가구로 재건축할 계획이지만 소형이 신축가구수의 20% 수준인 2174가구에 불과해 도계위 심의를 통과하지 못하고 있다.
개포주공1단지의 경우에도 22.4%의 소형비율을 고집하다 최근 25.6% 수정안을 시에 제출했지만 시가 원하고 있는 30%와는 격차가 커서 통과여부는 여전히 미지수다.
서울시 ‘소형주택비율 30%’ 재확인
2012-07-26 오후 1:36:36 게재
개포주공1단지 소형 22.4% 재건축안 또 제동
시 관계자 "다른 단지와의 형평성 … 재심의"
서울시가 개포주공1단지 재건축안에 대해 소형주택비율을 30%까지 확대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26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 24일 열린 시 도시계획위원회 소위원회는 60㎡미만 소형주택 비율이 22.4%인 개포주공1단지 정비계획안을 도계위 본회의 심의에 붙이지 않고 조합으로 되돌려보냈다.
서울시 관계자는 "이날 논의에서 결론이 나지 않았지만 심의 자체가 보류된 것은 아니다"면서도 "다른 단지와의 형평성이 있어서 소형주택 비율을 추가로 늘리는 등 정비계획안을 수정해 오면 다시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가 임대아파트와 소형평형을 확대하기 위해 내놓은 '소형30%' 원칙을 재확인한 것이다.
이번 계획안을 보면 지난 4월 도계위에서 보류된 계획안보다 소형가구가 늘었지만 전체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0%에는 못미친다. 소형가구수가 1282가구에서 1460가구로 178가구 늘면서 신축가구 수도 6340가구에서 6518가구로 확대됐다. 면적별로는 △60㎡미만 소형주택 1460가구(22.4%) △60~85㎡이하 2530가구(38.8%) △85㎡초과 2528가구(38.8%)로 계획했다. 이는 시가 권고하고 있는 소형비율과는 상당한 격차가 있어 이날 심의에서 상당한 논란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서울시의회는 개포주공1단지 조합이 제출한 소형비율 22.4%를 포함한 재건축 수정안의 조속한 심의를 촉구하는 주민청원을 받아들여 시에 권고했다. 시의회는 지난 9일 열린 본회의에서 "재건축 사업이 민간 부담으로 행해지는 사업임을 고려할 때 사업계획 기준을 과도하게 강화해 소형주택 비중을 큰 폭으로 높일 경우 사업을 지연시킬 수 있고 거주민의 주거환경도 개선되기 어렵다"며 "정비계획은 민간조합이 받아들일 수 있는 범위 안에서 결정함이 타당하다"고 밝혔다.
조합측도 소형주택 비율을 22.4%에서 추가로 늘리기 어렵다는 내용의 정비계획안 설명자료를 시 주택정책실에 제출했다. 하지만 시는 시의회 권고와 조합측의 의사를 반영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개포1단지 조합 관계자는 "지금보다 소형주택 비율을 높이면 사업성이 떨어지는 등 사업 추진에 어려움이 많다"면서도 "시의 입장을 전달받는대로 조합원들과 논의를 거쳐 소형비율 추가 확대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심의에 같이 상정된 개포주공4단지 정비계획안도 다음번 소위원회에서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 4단지는 당초 소형주택 비율을 신축가구수 대비 23.5%에서 27%대로 높여 재상정했지만 소위원회 문턱을 넘지 못했다. 하지만 4단지는 서울시의 권고를 받아들여 당초 신축 가구수 대비 27%안을 수정, 30%로 확대키로 했다. 이번 소위원회에서 소형주택비율을 30%대로 끌어올리기로 합의하면서 60㎡미만 소형아파트를 기존안(854가구)보다 100여가구를 더 짓게 된다.
도계위 소위원회는 이날 개포주공4단지 정비계획안에 대해 60㎡미만 소형주택 비율을 30%로 확대하는 것을 조건으로 본회의 심의에 상정키로 결정했다.
김선일 기자 si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